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장기 가정 금융사회화가 성인기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및 객관적 금융지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Financial Socialization and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8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22 금융웰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성장기 가정에서의 금융의사소통과 금융경험을 통한 금융사회화가 객관적 및 주관적 금융지식을 매개로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TATA 17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다항로짓분석, 비선형 확률모형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KHB(Karlson-Holm-Breen)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금융지식과 주관적 금융지식 사이의 상관계수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두 개념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금융의사소통은 주관적 금융지식, 금융경험은 객관적 금융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대해 주관적 금융지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객관적 금융지식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성장기 부모와의 금융의사소통은 직접적으로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주관적 금융지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연관이 있으나,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서로 다른 금융지식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방법과 접근법이 필요하며, 노후 대비 금융교육프로그램 설계에 객관적 금융지식뿐만 아니라 주관적 금융지식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22 금융웰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성장기 가정에서의 금융의사소통과 금융경험을 통한 금융사회화가 객관적 및 주관적 금융지식을 매개로 개인연금 ...

      본 연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22 금융웰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성장기 가정에서의 금융의사소통과 금융경험을 통한 금융사회화가 객관적 및 주관적 금융지식을 매개로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TATA 17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다항로짓분석, 비선형 확률모형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KHB(Karlson-Holm-Breen)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금융지식과 주관적 금융지식 사이의 상관계수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두 개념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금융의사소통은 주관적 금융지식, 금융경험은 객관적 금융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대해 주관적 금융지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객관적 금융지식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성장기 부모와의 금융의사소통은 직접적으로 개인연금 계좌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주관적 금융지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연관이 있으나,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서로 다른 금융지식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방법과 접근법이 필요하며, 노후 대비 금융교육프로그램 설계에 객관적 금융지식뿐만 아니라 주관적 금융지식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during the growth period, and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in adulthood. We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between family financial socialization and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Financial Well-being Survey, we appli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the Karlson-Holm-Breen (KHB) method to analyze mediation effec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as very low, suggesting that these two concepts are distinct. Second,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hile financia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ir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unlike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Fourth, the influence of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on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ith the direct effect being more pronounced than the indirect effect. Our results suggest that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should focus on enhancing both types of financial knowledge, with an emphasis on the subjective aspect to more effectively influence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behavior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during the growth period, and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in adulthood. We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during the growth period, and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in adulthood. We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between family financial socialization and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Financial Well-being Survey, we appli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the Karlson-Holm-Breen (KHB) method to analyze mediation effec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as very low, suggesting that these two concepts are distinct. Second,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hile financia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ir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unlike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Fourth, the influence of parental financial communication on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practice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ith the direct effect being more pronounced than the indirect effect. Our results suggest that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should focus on enhancing both types of financial knowledge, with an emphasis on the subjective aspect to more effectively influence retirement account management behavi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영 ; 최현자, "청소년의 금융사회화가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금융 지식, 돈에 대한 태도 및 위험수용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9 (19): 1-29, 2023

      2 심현우 ; 하가영 ; 최양호, "중년층의 개인연금 보유 및 납입액에 관한 연구" 한국보험학회 (129) : 23-50, 2022

      3 이창선, "주관적 기대수명에 따른 성별 개인연금 수요 분석" 보험연구원 31 (31): 95-123, 2020

      4 박영규 ; 이상엽, "적립식투자전략과 거치식투자전략의 펀드투자 성과비교" 한국재무학회 23 (23): 55-88, 2010

      5 김옥정 ; 서용구, "재무지식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재무지식과 객관적 재무지식" 사회과학연구원 26 (26): 59-84, 2019

      6 한진수 ; 장경호, "우리나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결정 요인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4 (54): 69-88, 2022

      7 오창수 ; 박영준, "연금보험 가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험학회 (112) : 99-123, 2017

      8 이의선, "소비자의 주관적 금융지식과 객관적 금융지식이 금융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금융 상품군 별 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19 (19): 111-134, 2016

      9 한지형 ; 최현자,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6 (6): 81-118, 2013

      10 김대환 ; 안장혁 ; 성미언, "사적연금 수요자의 행태 분석: 공적연금의 부족분을 사적연금으로 보완하고 있는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56-580, 2020

      1 조선영 ; 최현자, "청소년의 금융사회화가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금융 지식, 돈에 대한 태도 및 위험수용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9 (19): 1-29, 2023

      2 심현우 ; 하가영 ; 최양호, "중년층의 개인연금 보유 및 납입액에 관한 연구" 한국보험학회 (129) : 23-50, 2022

      3 이창선, "주관적 기대수명에 따른 성별 개인연금 수요 분석" 보험연구원 31 (31): 95-123, 2020

      4 박영규 ; 이상엽, "적립식투자전략과 거치식투자전략의 펀드투자 성과비교" 한국재무학회 23 (23): 55-88, 2010

      5 김옥정 ; 서용구, "재무지식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재무지식과 객관적 재무지식" 사회과학연구원 26 (26): 59-84, 2019

      6 한진수 ; 장경호, "우리나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결정 요인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4 (54): 69-88, 2022

      7 오창수 ; 박영준, "연금보험 가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험학회 (112) : 99-123, 2017

      8 이의선, "소비자의 주관적 금융지식과 객관적 금융지식이 금융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금융 상품군 별 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19 (19): 111-134, 2016

      9 한지형 ; 최현자,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6 (6): 81-118, 2013

      10 김대환 ; 안장혁 ; 성미언, "사적연금 수요자의 행태 분석: 공적연금의 부족분을 사적연금으로 보완하고 있는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56-580, 2020

      11 이지혜 ; 주소현, "대학생의 재무스트레스와 재무지식 및 재무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6 (6): 45-70, 2013

      12 오영수 ; 곽영일, "대구지역 고등학생의 금융이해력 수준과 결정 요인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233-251, 2015

      13 권세훈 ; 반주일, "금융지식이 금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관리학회 38 (38): 29-60, 2021

      14 양덕순, "금융이해력이 소비자의 노후 재무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8 (18): 83-103, 2022

      15 손준호 ; 박소정, "금융이해력, 거주지와 개인연금 및 보장성 보험 가입의 관계" 보험연구원 33 (33): 3-39, 2022

      16 최현자 ; 조혜진, "금융교육과 금융거래경험이 대학생의 금융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2 (22): 55-75, 2011

      17 이윤호, "객관적 금융이해력과 주관적 금융이해력의 설명변수 체계에 대한 실증적 비교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25 (25): 65-91, 2015

      18 오창수 ; 강정실, "개인연금의 보유 행태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Retention Behavior of Personal Annuity" 한국보험학회 (116) : 67-94, 2018

      19 주소현, "개인연금 보유 및 연금불입액의 관련요인 분석: 상속동기를 포함하여" 한국소비자학회 22 (22): 183-206, 2011

      20 이찬희 ; 정홍주, "개인연금 가입과 선호의 결정요인분석 : 인지요인, 정서요인, 금융이해력,신뢰, 위험감수성향을 중심으로" 한국금융학회 27 (27): 25-51, 2013

      21 차경욱, "개인연금 가입결정과 납입액 규모 및 가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FP학회 8 (8): 89-122, 2015

      22 Boto-García, D., "The role of financial socialization and self-control on saving habits" 100 : 101903-, 2022

      23 LeBaron, A. B., "Teaching children about money : Prospective parenting ideas from undergraduate students" 29 (29): 259-271, 2018

      24 Zhao, H., "Talking money at home : the value of family financial socialization" 38 (38): 1617-1634, 2020

      25 조진호,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Korea Baby boomers’ Retirement Preparation" 한국FP학회 12 (12): 35-59, 2019

      26 Shim, S., "Socialization processes and pathways to healthy financial development for emerging young adults" 38 : 29-38, 2015

      27 Gutter, M. S., "Social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 financi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38 (38): 387-404, 2010

      28 Danes, S. M.,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ren's financial socialization" 5 : 127-149, 1994

      29 Serido, J., "Handbook of Consumer Finance Research" 291-300, 2016

      30 Drever, A. I., "Foundations of financial well-being : Insights into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 financial socialization, and experience-based learning in childhood and youth" 49 (49): 13-38, 2015

      31 Alessie, R.,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Netherlands" 10 (10): 527-545, 2011

      32 Lusardi, A.,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10 (10): 509-525, 2011

      33 Almenberg, J.,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planning in Sweden" 10 (10): 585-598, 2011

      34 Crossan, D.,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planning in New Zealand" 10 (10): 619-635, 2011

      35 Sekita, S.,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planning in Japan" 10 (10): 637-656, 2011

      36 Bucher-Koenen, T.,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planning in Germany" 10 (10): 565-584, 2011

      37 Fornero, E., "Financial literacy and pension plan participation in Italy" 10 (10): 547-564, 2011

      38 Robb, C. A., "Financial Behavior,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Satisfaction" 22 (22): 60-70, 2011

      39 LeBaron, A. B., "Financial socialization: A decade in review" 42 (42): 195-206, 2021

      40 Gudmunson, C. G., "Family financial socialization : Theory and critical review" 32 : 644-667, 2011

      41 Jang, Y., "Contextual analysis of retirement anxiety among Koreans : benefits of retirement coaching" 49 (49): 726-735, 2023

      42 Jin, M., "Comparing financial socialization and formal financial education : Building financial capability" 149 (149): 641-656, 2020

      43 Kohler, U., "Comparing coefficients of nested nonlinear probability models" 11 (11): 420-438, 2011

      44 Grohmann, A., "Childhood roots of financial literacy" 51 : 114-133, 2015

      45 Kim, J., "Childhood financial socialization and young adults' financial management" 24 (24): 61-, 2013

      46 Lusardi, A., "Baby boomer retirement security : The roles of planning, financial literacy, and housing wealth" 54 (54): 205-224, 2007

      47 Sohn, S. H., "Adolescents’ financial literacy : The role of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s, financial experiences, and money attitudes in shaping financial literacy among South Korean youth" 35 (35): 969-980, 2012

      48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2022년 금융웰빙 현황 조사 결과 보도자료"

      49 통계청, "2016~2021년 ‘연금통계’ 개발 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