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유방의 검사방법으로는 유방 촬영술과 유방 초음파 검사가 있으나 최근 보조적인 검사법으로 유방 자기공명영상이 유방암을 발견하고 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검사법으로 사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787401
아산: 順天鄕大學校, 2006
학위논문(박사) -- 順天鄕大學校 大學院 , 醫學科 , 2006
2006
한국어
513.99449 판사항(4)
616.99449 판사항(21)
충청남도
iv, 61장: 삽화; 26 cm
참고문헌: 장 30-3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유방의 검사방법으로는 유방 촬영술과 유방 초음파 검사가 있으나 최근 보조적인 검사법으로 유방 자기공명영상이 유방암을 발견하고 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검사법으로 사용...
배경
유방의 검사방법으로는 유방 촬영술과 유방 초음파 검사가 있으나 최근 보조적인 검사법으로 유방 자기공명영상이 유방암을 발견하고 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검사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유방의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은 병변의 형태학적 분석이 가능할 뿐 아니라 역동적인 조영증강을 통한 혈역학적인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수술 전 유방암의 병기결정, 다른 곳에 전이가 있으나 기원을 찾기 어려운 유방암의 발견, 수술 후 남아있는 병변과 수술흔을 감별하거나 고위험군 여성에서 검색, 선별 목적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유방암의 예후인자는 액와 림프절 전이유무, 종양의 크기, 종양의 분화도, 병리적 염색 표식자등이 임상경과를 예측하고 보조적 치료를 위한 대상군을 선별하는 예후인자로 이용되고 있으나 침습적인 방법으로 조직을 얻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유방암의 자기공명영상소견과 병리학적인 예후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기위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며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예후인자로 가치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유방암의 자기공명영상이 병리적 예후인자들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유방 자기공명영상에서 유방암이 조영증강 되는 병리 생태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자기 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치료나 항혈관형성치료(anti-angiogenic therapy)의 대상군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적
유방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분석하여 유방암의 특징적인 형태학적, 혈역학적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알아보고 자기공명영상소견과 알려진 유방암의 예후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방 자기공명영상소견으로 유방암의 예후 예측이 가능한지 분석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136명의 151개의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고 1.5T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사용하여 T1강조영상 삼차원 FLASH기법으로 역동적 자기공명상을 얻었다. 자기공명영상의 형태적 소견은 종괴 조영증강의 경우 크기, 모양, 변연, 내부조영증강을 분석하였으며 종괴가 아닌 조영증강의 경우 분포와 내부조영증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의 혈역학적 소견은 시간에 따른 신호강도 변화곡선을 분석하여 최고 조영증강 시간과 지연기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초기 조영 증강도를 구하였다. 병리학적 예후인자인 액와 림프절 전이, 종양의 핵등급,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c-erbB2 유전자의 과발현, Ki-67 지수, 미세혈관형성정도를 조사하여 자기공명영상소견과 병리적 예후인자들의 관계를 Pearson X2-test와 Mann Whitney U 검정법으로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p 값이 0.05 이하일 때를 의미 있다고 판정하였다. 독립변수인 각각의 자기공명 소견이 종속변수인 예후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계선택 확률기준은 진입 0.05, 제거 0.1로 하여 로지스틱 회기분석법(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유방암은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형태적으로 불규칙한 경계(56%) 혹은 침상변연(41%)을 가지며 비균질(54%) 혹은 테두리 조영증강(46%)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혈역학적으로 조영제 주입 후 첫 번째 영상에서 최고 조영증강이 61예(43%), 두번째 영상에서 최고 조영증강이 73예(48%)로 많았으며 지연기 조영증강은 조영증강의 빠른 감소(54%)를 보이거나 고평부 조영증강(44%)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초기 조영증강도를 구하였을 때 급속조영증강이 132예(87%)였다. 예후인자와의 통계분석에서 종양의 침상변연, 테두리 조영증강, 조영제 주입 후 첫 번째 영상의 최고 조영증강과 지연기 조영증강의 빠른 감소의 자기공명소견은 예후인자들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침상변연은 저도 및 중등도의 핵등급(p<0.001)과 양성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0.009)와, 테두리 조영증강은 종양 크기 증가(p<0.011), 액와 림프절 전이(p<0.023), Ki-67 지수의 증가(p<0.010), 미세혈관 밀도의 증가(p<0.014)와 단변량,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영증강 후 첫 번째 영상에서 최고 조영증강을 가지는 경우 음성 에스트로겐 수용체(p<0.006), 양성 c-erbB2 (p<0.037)와, 지연기 조영증강의 빠른 감소는 고도의 핵등급(p<0.033), 액와 림프절 전이(p<0.029)와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었으나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유방암은 불규칙 혹은 침상변연을 보이며 비균질 혹은 테두리조영증강을 보이는 예가 많았으며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영상에서 최고 조영증강 되었다가 지연기 조영증강의 빠른 감소나 고평부 조영증강을 보이는 예가 많았다. 침상변연은 양호한 예후인자인 저도 및 중등도의 핵등급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과, 테두리 조영증강은 불량한 예후인자인 종양의 크기증가, 액와 림프절 전이, Ki-67 지수의 증가, 미세혈관 밀도의 증가와 통계적인 의미를 보이므로 이들 자기공명 영상 소견 들은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유방암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는 유방의 자기공명 영상은 유방암을 감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침상변연이나 테두리 조영증강의 소견은 악성도를 예측하거나 미세혈관 밀도의 증가 등의 예후 인자들과 관련을 보이므로 호르몬 치료나 항 혈관형성 치료 등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임상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