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담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8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과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S시의 D구, S구, N구, K구, G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이중언어 강사 6명으로 중국 2명, 베트남 1명, 일본 출신 3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각 개인 당 2회, 1회 1시간~1시간 30분씩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중언어 강사로 활동하게 된 동기, 이중언어 강사로서 가지는 보람과 어려움,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미래자원으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엄마 나라를 이해하고 엄마를 비롯한 가족들과의 정서적 소통도구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을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사회의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한국어교육의 담당자로서 아버지 역할이 강조되고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들은 일상의 삶과 두 나라간의 문화 경험 속에서 이중언어 교육이 자연스럽게 실시되어야 하며, 습득된 이중언어를 활용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과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S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과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S시의 D구, S구, N구, K구, G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이중언어 강사 6명으로 중국 2명, 베트남 1명, 일본 출신 3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각 개인 당 2회, 1회 1시간~1시간 30분씩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중언어 강사로 활동하게 된 동기, 이중언어 강사로서 가지는 보람과 어려움,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미래자원으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엄마 나라를 이해하고 엄마를 비롯한 가족들과의 정서적 소통도구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을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사회의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한국어교육의 담당자로서 아버지 역할이 강조되고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들은 일상의 삶과 두 나라간의 문화 경험 속에서 이중언어 교육이 자연스럽게 실시되어야 하며, 습득된 이중언어를 활용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sirable plans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bilingual teachers working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D., S., N., K. and G. Districts in S. City, one from Vietnam, two from China and three from Japan.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individual for 1 to 1 hour and 30 minutes, individually, in a relaxed atmosphere, focused on the contents,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their activity as bilingual teachers, rewards and difficulties as bilingual teachers,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biling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rawn through th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as important as a future resource and most of them understood their mother’s country and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ould be important as a tool of an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other.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bilingual teachers’ proposal of desirable direction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onsensus of Korean society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precede and that the role of the fathers as person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and practiced.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aturally in everyday life and cultural experi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opportunities and times to utilize and share the two learned languages should be provid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sirable plans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bilingual teachers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sirable plans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bilingual teachers working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D., S., N., K. and G. Districts in S. City, one from Vietnam, two from China and three from Japan.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individual for 1 to 1 hour and 30 minutes, individually, in a relaxed atmosphere, focused on the contents,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their activity as bilingual teachers, rewards and difficulties as bilingual teachers,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biling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rawn through th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as important as a future resource and most of them understood their mother’s country and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ould be important as a tool of an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other.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bilingual teachers’ proposal of desirable direction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onsensus of Korean society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precede and that the role of the fathers as person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and practiced.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aturally in everyday life and cultural experi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opportunities and times to utilize and share the two learned languages should be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진영,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중 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2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4 Seidman, I. E.,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대한민국] 2009

      5 이귀옥,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13-130, 2004

      6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7 정해숙, "이중언어교육 실태 및 여성연구" 여성가족부 2013

      8 이명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9 김윤주,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민족어문학회 (79) : 139-163, 2017

      10 고은,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대한 가치기준과 경험적 의미" 한국언어치료학회 15 (15): 143-162, 2006

      1 황진영,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중 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2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4 Seidman, I. E.,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대한민국] 2009

      5 이귀옥,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13-130, 2004

      6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7 정해숙, "이중언어교육 실태 및 여성연구" 여성가족부 2013

      8 이명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9 김윤주,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민족어문학회 (79) : 139-163, 2017

      10 고은,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대한 가치기준과 경험적 의미" 한국언어치료학회 15 (15): 143-162, 2006

      11 주현숙, "이중언어 구사능력과 습득요인에 관한 연구-한국어 일본어 이중언어 환경 자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12 Baker, C., "이중언어 교육 길라잡이" 넥서스 2006

      13 Nakajima Kazuko, "이중 언어와 다언어의 교육" 한글파크 2012

      14 Paradis, J., "이중 언어발달과 언어장애" 박학사 2012

      15 황혜정, "이중 언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21 (21): 69-79, 2006

      16 카제노바 아셀, "이중 언어 환경 아동의 어휘발달 특성과 이중 언어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17 Bialystok, E., "이중 언어 발달: 언어와 문해력, 그리고 인지" 한국문화사 2011

      18 황혜신, "유아의 조기영어교육과 이중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Children's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he Factors on their Bilingual e Development" 한국생활과학회 16 (16): 22-33, 2007

      19 김영실,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57-176, 2013

      20 강선자, "영아기 자녀를 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 결혼이주여성 4인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61-188, 2011

      21 이은경,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77-205, 2012

      22 이귀옥, "아동의 이중 언어 경험과 마음이론 발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77-92, 2006

      23 먼리리, "서울다솜학교에서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24 황상심,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사용 추이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23-134, 2016

      25 박정은, "다문화사회에서 생각하는 모어교육: 이주가정과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일지사 2007

      26 Save the Children, "다문화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다양 한국 만들기" Save the Children 2011

      27 김이선, "다문화가족의 언어, 문화사용 및 세대 간 전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28 원인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프로그램이 자아 존중감과 부모 자녀 관계에 미치는 효과" 16 (16): 89-105, 2012

      29 박은애,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조사 연구 : 경상남도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0 박혜림,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주언어교육 선호도 조사" 26 : 197-225, 2010

      31 이승숙,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경험 탐색: 어머니 모국어 발달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49-378, 2013

      32 권경숙, "다문화가정 영아의 이중 언어 습득 과정 탐색"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107-134, 2015

      33 권경숙,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아 양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9-58, 2014

      34 조승석,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549-5558, 2013

      35 이수정,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 K-BNT-C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6 김현정, "다문화가정 부모의 이중언어 교육 태도 연구 : 광주광역시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37 장명림,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를 위한 이중언어 프로그램 시범적용 및 모니터링" 한국교육개발원, 육아정책연구소 2012

      38 장명림,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를 위한 이중 언어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39 홍종명,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결혼이민자 모국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6 (16): 279-302, 2012

      40 윤인진, "다문화 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이중언어학회 (48) : 273-308, 2012

      41 박현선,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65-388, 2012

      42 봉진영,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과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3 곽정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에 관한 사례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4 황상심,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81-102, 2008

      45 윤명숙,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2) : 103-135, 2011

      46 이영애, "결혼이주 여성들의 결혼생활과 육아경험에서 오는 갈등과 소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35-457, 2012

      47 이승숙,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어려움 및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99-126, 2014

      48 Bialystok, E., "On precision and the virtue of simplicity in metalingustics: A reply to menyuk" 31 (31): 261-264, 1985

      49 Tunmer, W, E., "Metalinguistic awareness in children" Springer-Verlag 169-170, 1984

      50 Morrow, L. M., "Literacy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helping children read and write" Allyn & Bacon 2011

      51 Cummins, J., "Language processing in bilingual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89, 1991

      52 Zhang, 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word knowledge development : A study of young leaners of chinese as a heritage language" 34 (34): 4-18, 2011

      53 Dopke, "Discourse structures on bilingual families" 7 (7): 493-507, 1986

      54 Gonzalez, "Bilingual education an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Program models"

      55 이귀옥, "3-5세 아동의 이중언어 경험과 인지능력 및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인지적 복잡성에 따른 분석과 통제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4 (24): 1-1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