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 -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Silla and Baekje Character Cultures and Japanese Character Cul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1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and Baekje on the Japanese literary culture based on the excavated text materials. 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Silla and Baekje were discussed. The literary...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and Baekje on the Japanese literary culture based on the excavated text materials. 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Silla and Baekje were discussed.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Baekje, and Goguryeo has the same parts, but each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cannot be regarded as the same, but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text materials of Silla and Baekje with those of Japan, the differences in text culture in each region of Japan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usage situation of “𤭖” in the Saikaido(西海道) area with “甕”, it was concluded that “𤭖” came to be used in various parts of Japa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aekje people. Also, the use of “甕” (瓮)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Silla. Also, there are cases where the shape of the letters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 such as “伊” in the Wooden Documents of Wakasano-guni(若狹國), but this is also presumed to be related to Sill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목간을 비롯한 출토문자자료를 기초자료로 신라의 문자문화, 백제의 문자문화가 일본 문자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신라와 백제의 한자문화의 특성에...

      본고는 목간을 비롯한 출토문자자료를 기초자료로 신라의 문자문화, 백제의 문자문화가 일본 문자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신라와 백제의 한자문화의 특성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 것이다. 신라, 백제, 그리고 고구려의 문자문화는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제각기 자기 나라의 특성도 갖고 있다. 즉 한반도 고대 삼국의 한자 용법은 같다고만 볼 수 없고 각 나라에 특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본고에서는 신라, 백제의 문자자료를 일본의 문자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일본의 각 지역에 나타나는 문자문화의 차이를 문자문화의 전파측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西海道 지역의 “𤭖”의 사용 상황을 同訓異表記로 되는 “甕”과 비교함으로써 “𤭖”은 백제계 도래인의 영향으로 일본 각지에서 사용하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甕”(瓮) 사용은 신라의 영향으로 보았다. 그리고 若狹國의 하찰목간의 “伊”와 같이 글자 형태가 지역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문자문화의 전파측, 즉 신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예맥출판사 2006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 목간자전" 예맥 2011

      3 정현숙, "삼국시대의 서예" 일조각 2018

      4 정현숙, "동아시아 고대 도성의 축조 의례와 월성해자 목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한국목간학회 2017

      5 市大樹, "飛鳥藤原木簡の研究" 塙書房 2010

      6 奈良文化財硏究所, "飛鳥藤原京木簡一―飛鳥池·山田寺木簡" 2007

      7 市大樹, "飛鳥の木簡―古代史の新たな解明" 中公新書 2012

      8 李鎔賢, "韓国木簡基礎研究" 신서원 2006

      9 李成市, "韓国出土の木簡について" 19 : 1997

      10 尹善泰, "雁鴨池出土『門號木簡』과 新羅東宮의 警備―国立慶州博物館 촬영 赤外線善本写真을 중심으로―" (창간) : 2007

      1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예맥출판사 2006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 목간자전" 예맥 2011

      3 정현숙, "삼국시대의 서예" 일조각 2018

      4 정현숙, "동아시아 고대 도성의 축조 의례와 월성해자 목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한국목간학회 2017

      5 市大樹, "飛鳥藤原木簡の研究" 塙書房 2010

      6 奈良文化財硏究所, "飛鳥藤原京木簡一―飛鳥池·山田寺木簡" 2007

      7 市大樹, "飛鳥の木簡―古代史の新たな解明" 中公新書 2012

      8 李鎔賢, "韓国木簡基礎研究" 신서원 2006

      9 李成市, "韓国出土の木簡について" 19 : 1997

      10 尹善泰, "雁鴨池出土『門號木簡』과 新羅東宮의 警備―国立慶州博物館 촬영 赤外線善本写真을 중심으로―" (창간) : 2007

      11 米子市文化財団, "陰田宮の谷遺跡・陰田マノカン山遺跡" 2015

      12 平川南, "百濟の都出土の「連公」木簡"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09

      13 巽淳一郞, "瓦衣千年-森郁夫先生還曆記念論文集-" 森郁夫先生還曆記念論文集刊行會 1999

      14 石木秀啓, "牛頸窯跡群と九州の須恵器生産体制--八世紀以降を中心として"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07

      15 大野城市敎育委員會, "牛頸ハセムシ窯蹟群Ⅱ" 1989

      16 東野治之, "漢字講座五 古代の漢字とことば" 明治書院 1988

      17 千賀久, "渡来系移住民" 岩波書店 2020

      18 朴天秀, "渡来系移住民" 岩波書店 2020

      19 吉村武彦, "渡来系移住民" 岩波書店 2020

      20 亀田修一, "渡来系移住民" 岩波書店 2020

      21 方國花, "正倉院文書の歴史学・国語学的研究―解移牒案を読み解く―" 和泉書院 2016

      22 李成市, "東アジア文化圏の形成" 山川出版社 2000

      23 나라문화재연구소, "木簡庫"

      24 犬飼隆, "木簡による日本語書記史" 笠間書院 2011

      25 渡辺晃宏, "木簡 古代からの便り" 岩波書店 2020

      26 東野治之, "日本古代金石文の研究" 岩波書店 2004

      27 馬場基, "日本古代木簡論" 吉川弘文館 2018

      28 三上喜孝, "日本古代の文字と地方社会" 吉川弘文館 2013

      29 前澤和之, "日本 初期 石碑의 형태에 대한 검토" 한국목간학회 (18) : 137-160, 2017

      30 笹原宏之, "方言漢字" 角川學芸出版 2013

      31 揚雄, "方言" 中華書局 2016

      32 東野治之, "文献史料を読む・古代" 朝日新聞社 1990

      33 鐘江宏之, "文字とことば" 岩波書店 2020

      34 楊春宇, "揚雄《方言》所見的幽燕方言" 38 (38): 2015

      35 方國花, "愛知県立大学大学院国際文化研究科論集13(日本文化専攻編3)" 2012

      36 大野城市教育委員会, "大野城市文化財調査報告書 第77集 牛頸窯跡群-総括報告書Ⅰ-" 2008

      37 菅波正人, "大宰府の研究" 高志書院 2018

      38 方國花, "古代東アジア諸国におけるクラの用字" 愛知県立大學国文學会 62 : 2014

      39 鈴木靖民, "古代東アジアの仏教と王権―王興寺から飛鳥寺へ" 勉誠出版 2010

      40 李成市, "古代日本文字の来た道" 大修館書店 2005

      41 李成市, "古代日本と古代朝鮮の文字文化交流" 大修館書店 2014

      42 犬飼隆, "古代日本と古代朝鮮の文字文化交流" 大修館書店 2014

      43 平川南, "古代地方木簡の研究" 吉川弘文館 2003

      44 東野治之, "出雲出土の鉄刀銘" 岩波書店 1994

      45 福岡市教育委員会, "元岡・桑原遺跡群17" 2008

      46 江浦洋, "ヤマト王権と交流の諸相" 名著出版 1994

      47 小島憲之,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日本書紀』二" 小學館 1996

      48 山口佳紀,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古事記』中巻" 小學館 1997

      49 青木和夫, "『新日本古典文学大系 續日本紀』三" 岩波書店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3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3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