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정란, "한국어 이유 표현 ‘-길래’의 담화 문법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12 (12): 137-, 2005
2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3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4 이윤진, "유사 담화 기능의 문형 제시 연구-한국어 교재의 ‘용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51-173, 2009
5 Cook, G, "옥스퍼드 언어교육 지침서 담화" 범문사 2003
6 Hinkel, E., "새로운 시각에서 논의하는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교육" 한국문화사 2010
7 이숙, "담화분석에 의한 문법교육 −회상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59-279, 2008
8 김지혜,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46) : 45-65, 2011
9 박석준, "담화 문법과 한국어 문법 교육" 471-484, 2010
10 M. Canale, "The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 (1): 1-47, 1980
1 진정란, "한국어 이유 표현 ‘-길래’의 담화 문법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12 (12): 137-, 2005
2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3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4 이윤진, "유사 담화 기능의 문형 제시 연구-한국어 교재의 ‘용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51-173, 2009
5 Cook, G, "옥스퍼드 언어교육 지침서 담화" 범문사 2003
6 Hinkel, E., "새로운 시각에서 논의하는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교육" 한국문화사 2010
7 이숙, "담화분석에 의한 문법교육 −회상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59-279, 2008
8 김지혜,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46) : 45-65, 2011
9 박석준, "담화 문법과 한국어 문법 교육" 471-484, 2010
10 M. Canale, "The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 (1): 1-47, 1980
11 R.Batstone,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2 M.Canale, "From Communicative competence to communicative language pedagogy, In Language and communication" Longman 1-12, 1983
13 M. Celce-Murcia, "Discourse and contex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