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양지의 「돌의 소리」에 나타난 ‘모국’의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6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稿は在日作家である李良枝の遺稿作「石の聲」における「母國」の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1980年から十年程度韓國に留學してきた李良枝にとって「母國」とは彼女の文學世界において重要なモチ一フとなっている。「ナビ·タリョン」を初めとする主な作品に在日留學生の母國生活が描かれている。特に、芥川賞受賞作である「由熙」は母國生活に挫折し、韓國を離れる在日韓國人の物語である。その作品における「母國」は「つらさ」であり「傷」でもある。「韓國」と「韓國語」は、それぞれ我が國を表す「ウリナラ」と我が國の人の言葉を意味する「ウリマル」という言葉で表現されている。しかし、この言葉は母國との葛藤樣子を示すものになる。それに比べて「石の聲」では、「ウリナラ」と「ウリマル」の表記は描かれておらず「韓國」と「韓國語」という言葉だけが用いられている。「石の聲」における「母國」は、「ウリナラ」という我が國の共同體を欲望する空間でなく、日本と韓國といった二項對立の觀念性の呪縛を乘り越えていく自己解放の空間として現れていることがわかる。
      번역하기

      本稿は在日作家である李良枝の遺稿作「石の聲」における「母國」の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1980年から十年程度韓國に留學してきた李良枝にとって「母國」とは彼女の文學世...

      本稿は在日作家である李良枝の遺稿作「石の聲」における「母國」の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1980年から十年程度韓國に留學してきた李良枝にとって「母國」とは彼女の文學世界において重要なモチ一フとなっている。「ナビ·タリョン」を初めとする主な作品に在日留學生の母國生活が描かれている。特に、芥川賞受賞作である「由熙」は母國生活に挫折し、韓國を離れる在日韓國人の物語である。その作品における「母國」は「つらさ」であり「傷」でもある。「韓國」と「韓國語」は、それぞれ我が國を表す「ウリナラ」と我が國の人の言葉を意味する「ウリマル」という言葉で表現されている。しかし、この言葉は母國との葛藤樣子を示すものになる。それに比べて「石の聲」では、「ウリナラ」と「ウリマル」の表記は描かれておらず「韓國」と「韓國語」という言葉だけが用いられている。「石の聲」における「母國」は、「ウリナラ」という我が國の共同體を欲望する空間でなく、日本と韓國といった二項對立の觀念性の呪縛を乘り越えていく自己解放の空間として現れていることがわかる。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규, "조국 표상을 통해 본 ‘재일(在日)’의 존재론과 가능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467-490, 2009

      2 윤정화, "재일한인작가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모국 이해와 치유의 서사적 재현" 한중인문학회 (40) : 47-69, 2013

      3 이한정, "재일코리안 문학과 조국" 지금여기 119-122, 2011

      4 이덕화, "이양지의 새로운 디아스포라 의식, ‘있는 그대로 보기’" 세계한국어학회 5 : 86-, 2011

      5 윤명현, "이양지 문학 속의 '재일적 자아'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이양지, "유희" 삼신각 341-, 1989

      7 신은주, "서울의 이방인, 그 주변-이양지, 「유희(由熙)」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문학회 3 : 151-152, 2004

      8 정은경, "디아스포라 문학" 이룸 182-, 2007

      9 이양지, "돌의 소리" 삼신각 1992

      10 후지이다케시, "낯선 귀환:<역사>를 교란하는 유희" 인문과학연구소 (52) : 35-62, 2007

      1 김형규, "조국 표상을 통해 본 ‘재일(在日)’의 존재론과 가능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467-490, 2009

      2 윤정화, "재일한인작가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모국 이해와 치유의 서사적 재현" 한중인문학회 (40) : 47-69, 2013

      3 이한정, "재일코리안 문학과 조국" 지금여기 119-122, 2011

      4 이덕화, "이양지의 새로운 디아스포라 의식, ‘있는 그대로 보기’" 세계한국어학회 5 : 86-, 2011

      5 윤명현, "이양지 문학 속의 '재일적 자아'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이양지, "유희" 삼신각 341-, 1989

      7 신은주, "서울의 이방인, 그 주변-이양지, 「유희(由熙)」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문학회 3 : 151-152, 2004

      8 정은경, "디아스포라 문학" 이룸 182-, 2007

      9 이양지, "돌의 소리" 삼신각 1992

      10 후지이다케시, "낯선 귀환:<역사>를 교란하는 유희" 인문과학연구소 (52) : 35-62, 2007

      11 이양지, "나에게 있어서 모국과 일본" 한국논단 226-, 1990

      12 이양지, "由熙" 삼신각 69-70, 1989

      13 李良枝, "由熙" 講談社 98-99, 1989

      14 李良枝, "李良枝全集" 講談社 480-, 1993

      15 徐京植, "ソウルで『由熙』を読む" 日本社会文学会 (26) : 123-, 2007

      16 竹田青嗣, "「在日」という根拠" 筑摩書房 30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apanese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5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