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분리 개별화 수준 및 대인관계성향의 차이 : 청소년을 대상으로 =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olescent's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67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nd the propens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elf-critical depression vulnerablity group and dependent depression vulnerablity group. To explore these hypothesis, DEQ, SI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nd the propens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elf-critical depression vulnerablity group and dependent depression vulnerablity group. To explore these hypothesis, DEQ, SITA, The propens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were administered to 39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were divided into two sub group according to its lever(high/low 50%),. And 2?2 ANOVA was conducted on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as a independent,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nd the propens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depen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Nurturance-symbiosis level according to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was high in separation anxiety and nurturance-symbiosis of dependent depression and individuation level was high in self-involvemant and peer engulfment of dependent depression.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had not interaction effect on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The propens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was high in the propensity of sympathy/acceptance of self-critical depression and the propensity of hostile/distrust was high in self-critical depression.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had not interaction effect on the propens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nclusion,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ccording to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did not always develop high dependent level self-critical depression than dependent depression. Lastly,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meaning fo this research and limit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분리-개별화 수준과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중, 고등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우울경험...

      본 연구는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분리-개별화 수준과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중, 고등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우울경험질문지, 분리-개별화척도, 대인관계성향척도를 측정하였다.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집단을 상위 50%와 하위 50%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분리-개별화 수준과 대인관계성향을 종속변인으로 이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공생관계 수준에서는 의존적 우울이 높을수록 분리불안과 공생관계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 가 독립 개별화 수준에서는 자기 비난적 우울에서 자기몰입과 친구결속 수준이 높았다.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분리-개별화 수준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에서는 의존적 우울이 높은 집단에서 동정/수용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 비난적 우울이 높은 집단에서 반항/불신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분리-개별화 수준이 반드시 자기 비난적 우울이 의존적 우울보다 더 독립적인 수준으로 발달한다고는 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 Ⅰ. 서론 = 2
      • 1. 연구의 필요성 = 2
      • 2. 이론적 배경 = 5
      • 1) Blatt의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 = 5
      • 논문개요 = 1
      • Ⅰ. 서론 = 2
      • 1. 연구의 필요성 = 2
      • 2. 이론적 배경 = 5
      • 1) Blatt의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 = 5
      • 2) 우울취약성과 분리-개별화 = 7
      • 3)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성향 = 10
      • 3. 연구가설 = 14
      • Ⅱ. 연구방법 = 16
      • 1. 연구대상 = 16
      • 2. 측정도구 = 16
      • 1) 우울경험질문지(DEQ) = 16
      • 2) 분리-개별화 척도(SITA) = 17
      • 3) 대인관계성향척도 = 18
      • 3. 자료수집절차 = 19
      • 4. 자료 분석방법 = 20
      • Ⅲ. 결과 = 21
      • Ⅳ. 논의 = 45
      • 참고문헌 = 49
      • 부록 = 57
      • 영문논문제출서 = 69
      • 영문인준서 = 70
      • Abstract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