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 지명 “加知奈縣 一云 加乙乃縣”의 어원적 연구 = A Etymological Study on the Place Names of Baekje Kingdom: Kajinae District(加知奈縣) or the Kaeulnae District(加乙乃縣)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1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e place names of the Baekje kingdom : Kajinae district(加知奈縣) or the Kaeulnae district(加乙乃縣) are changed into as following; Kajinae hyeon(縣)/Kaeulnae hyeon(縣)(Baekje kingdom period)> Sijin hyeon(縣)(Silla kingdom period)>...

      1. The place names of the Baekje kingdom : Kajinae district(加知奈縣) or the Kaeulnae district(加乙乃縣) are changed into as following; Kajinae hyeon(縣)/Kaeulnae hyeon(縣)(Baekje kingdom period)> Sijin hyeon(縣)(Silla kingdom period)>Eunjin hyeon(Choseon kingdom period)>Eunjin myeon(1914~2014 Republic of Korea).
      2. ‘Kaji/Kaeul’ of the Kajinae/Kaeulnae means the market, and ‘nae’ means the stream.
      3. The ‘geli-’ of the Mongolian word ‘Ǯegeli’ corresponds with ‘kaeul(加乙)’ the word of Baekje language which means the market in Backje period. This kaeul(加乙) means the market in Baekje language. This word meaning the market in Baekje language is seemed to be changed as following; *kati(加知)>*kali>*kaïl(加乙).
      4. The Baekje place name ; Sinpo(薪浦) should be changed and read into ‘*kadikari>*kalikaj>*kalikӕ>*kalkӕ’ in Baekje period. This ‘kadi-, kali->kal-’ means the market. Accordingly, ‘*kadikari>*kalikaj>*kalikӕ>*kalkӕ’ means the market estuary.
      5. Hyepo(鞋浦) should be read in ‘*katkӕ’ which means the market estuary.
      6. Eunjin(恩津) should be read in ‘*kǝsnari/*kǝsnaj’ which means the market ferry.
      7. Irujin(利樓津) should be read ‘*kurunari>*kurunaj’ in old Korean language which means the market ferry.
      8. Chopo(草浦)/Chojin(草津) should be read ‘*kalugӕ/*kalunӕ(<*kalugari/kalunari)’ which means the market estuary/market ferry.
      9. Sajin(沙津) should be read into ‘*kalunari’ which means the market ferry. Sa(沙) of the ‘sajin(沙津)’ means ‘coarse’. This ‘coarse’ corresponds with ‘*kalu’ in Manchurian language which means the market ferry.
      10. Kalaseong(葛羅城) is the different writing of the ‘kaïlnӕsǝŋ(加乙乃城)’ which means the castle of the market ferry.
      11. Ippo(笠浦) should be read ‘*kasgarj>*kasgaj>*kasgaj>*katgӕ’ which means the market estuary.
      12. Kannggyeong(江景) should be read into ‘*kalgǝrǝl’ which means the market estuary.
      13. In spite of the different writing in Chinese character, all those place names meant the market ferry or the market estuary.
      14. By this article, the writer could find the words(vocabulary) of the Baekje kingdom period.
      *kadi/*kaeul(market), *kadi/*kari(estuary), *kari/*kal(brushwood, thicket), *kat/*kaz(leather shoes), *kǝsi/*kǝsik(favor, special privilege), *kulu/*kul(inerest, profit), *kalu/*kal(grass).
      15. The author found the traces of the Baekje language in the place names of the Baekje kingdom by the etymological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보이는 ‘가지내현(加知奈縣)/가을내현(加乙乃縣)’의 변천 과정을 밝히고, 그 어원을 밝힘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음의 사실을 밝혀냈다. 1. ...

      이 논문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보이는 ‘가지내현(加知奈縣)/가을내현(加乙乃縣)’의 변천 과정을 밝히고, 그 어원을 밝힘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음의 사실을 밝혀냈다.
      1. 백제 지명 ‘가지내(加知奈)’·‘가을내(加乙乃)’의 ‘가지(加知)’·‘가을(加乙)’은 ‘시(市)/저자’의 뜻을 가졌다. ‘내(奈)’·‘내(乃)’는 ‘nari> nai>naj>næ’의 모음간 자음의 압출 과정을 겪은 ‘진/포/천(津/浦/川)’의 뜻을 가진 말이다.
      2. ‘시장(市場)’을 뜻하는 우리말 ‘저자’(Kor.)는 ‘져’(Kor.) ‘Зээл’ (Mo.)+‘자’(Kor.) ‘Заҳ’(Mo.)의 동의어 반복으로 보인다.
      3. ‘시(市)’를 뜻하는 백제어 ‘가을(加乙)’[kaɨl](Kor.)은 ‘гүлгээ(gul gee)(Mo.)와 비교가 가능하다.
      4. ‘시장’을 뜻하는 ‘져ㅅ거리’(Kor.)와 ‘져거」리’(Mo.)는 비교, 대응이 가능하다. 다만 우리말 ‘져ㅅ거리’는, ‘져(Kor.)(Зээл:Mo.)+(Kor.)(Зээл:Mo.의 어말음 탈락)+ㅅ+거리(Kor.)(ǯegeli:Mo의 어두음 탈락)’의 3중 유의어 반복의 복합어로 보인다. 또한 ‘시장’을 뜻하는 몽골어 ‘ǯegeli(져거」리)’는 ǯe(Зээл)+거」리(geli<delgegür의 어두음 del의 탈락)→모음간 [g]의 약화 탈락의 유의어 반복의 복합어로 보인다.
      5. ‘시장’을 뜻하는 몽골어 ‘져거」리’는 그 어두음 [져]의 탈락 결과, ‘거」리’는 같은 뜻의 백제어 ‘加乙’과 동일 기원으로 보인다.
      6. ‘giyai’(Ma.): 길거리街.(街上)(Kor.)는 모음간 [r]의 탈락을 가정하면 대응 비교의 가능성이 크다.
      7. ‘시장(市場)’을 뜻하는 백제어는 ‘kati(加知)>kali>kaɨl(加乙)의 변화를 추측할 수 있다.
      8. ‘저자[市]’의 뜻을 가진 우리말의 어원[연구 업적]을 추구함은 유의미한 작업으로 보인다. 이는 ‘시(市)’를 뜻하는 우리말의 어원 연구 업적을 소급 추적함으로써, 백제어의 고형(古形)․원형(原形)의 복원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9. ‘市場’을 뜻하는 백제어와 백제 지명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가지내(현)[(加知奈(縣)]’·‘가을내(현)[加乙乃(縣)]’의 뜻은 ‘시진현[市津(縣)]’ 곧 ‘저자 나리/저자 나루(현)’이다.
      (2) ‘신포(薪浦)’는 ‘*가리가리>*갈가리>*가을개>*갈개’의 음운 변화를 거친 말이다. ‘신(薪)’의 훈(訓)은 ‘섶’ 외에 ‘갓’, ‘가리’, ‘거리’가 있다. ‘신포(薪浦)’는 훈음차 표기로 그 현대 어형은 ‘갓개’다.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에서 ‘포(浦)’와 ‘진(津)’의 훈이 교체 사용되었다면, ‘가지내(加知奈)’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거쳤을 것이다: *가시나리/*가지나리>*갓나이/*갖나이>*갓내/*갖내. ‘가을내(加乙乃)’도 이와 유사한 변화를 거쳤을 것이다: *가리나리>*가을나이>*가을내>*갈내. 위의 ‘갓내/갖내’(加知奈)와 ‘갈내’(加乙乃)의 뜻은 ‘시진(市津)’으로 보인다.
      (3) 혜포(鞋浦)의 ‘혜(鞋)’는 ‘갓/갗/갖’의 훈차 표기로서 ‘혜포(鞋浦)’는 ‘갓개/갗개/갖개’의 표기다. 이는 ‘가지내(加知奈)’와 같이 ‘시포(市浦)’ 곧 ‘저자(가 열리는) 포구’를 뜻한다.
      (4) 은진(恩津)의 ‘은(恩)’을 뜻하는 우리말은 사어(死語)가 되었으나, 인근어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kes, kesi, 커시(Ma.) kesik, 커식(Mo.). 이로 보면 ‘은진(恩津)’은 ‘*커시나리/*커식나리>*거시나리/*거식나리>*것나이>*갓내(恩津)’의 과정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뜻은 역시 ‘시진(市津)’으로 보인다.
      (5) 이루진(利樓津)은 역대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 헌규, "「‘南川/南川州’·‘沙羅’에 대하여"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7 : 1998

      2 Bernhard Karlgren., "한자고음사전" Ch'eng-wen Publishing Company 1966

      3 여 병무, "한몽·몽한사전" 울란바타르대학교 2005

      4 지 헌영, "한국지명의 제문제" 경인문화사 2001

      5 도 수희, "한국지명연구" 이회출판사 1999

      6 최 한우, "한국어-터어키어 사전" 태학사 1992

      7 조 영언,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출판사 2004

      8 강 길운, "한국어 계통론" 형설출판사 1991

      9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10 천 소영,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출판사 2003

      1 강 헌규, "「‘南川/南川州’·‘沙羅’에 대하여"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7 : 1998

      2 Bernhard Karlgren., "한자고음사전" Ch'eng-wen Publishing Company 1966

      3 여 병무, "한몽·몽한사전" 울란바타르대학교 2005

      4 지 헌영, "한국지명의 제문제" 경인문화사 2001

      5 도 수희, "한국지명연구" 이회출판사 1999

      6 최 한우, "한국어-터어키어 사전" 태학사 1992

      7 조 영언,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출판사 2004

      8 강 길운, "한국어 계통론" 형설출판사 1991

      9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10 천 소영,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출판사 2003

      11 권 상노, "한국 지명 연혁고" 동국문화사 1961

      12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큰사전" 한글학회 1991

      13 이 병선, "한국 고대국명 지명연구" 형설출판사 1982

      14 이 근술, "토박이말 쓰임사전" 동광출판사 2001

      15 서 재만, "터어키-한국어사전" 한국외대 출판부 2001

      16 이 중환, "택리지" 자유교양사 1968

      17 강 병륜, "청주 지명 유래"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9

      18 임 종욱, "중국 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0

      19 이 기문, "인문사회과학 논문집" 서울대학교 1958

      20 이 중환, "을유문고" 을유문화사 1992

      21 김 민수, "우리말 어원사전" 태학사 1997

      22 남 영신, "우리말 분류사전" 한강문화사 1987

      23 방 효언, "서울대학교 고전총서" 1790

      24 강 길운, "비교언어학적 어원사전" 한국문화사 2010

      25 도 수희, "백제어 연구(Ⅳ)" 백제문화개발연구원 2000

      26 도 수희, "백제어 연구(Ⅲ)"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4

      27 도 수희, "백제어 연구(Ⅱ)"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9

      28 도 수희, "백제어 연구(Ⅰ)"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7

      29 김 형수, "몽고어·만주어 비교 어휘사전" 형설출판사 1994

      30 육군성, "몽고어 대사전 하(화몽지부)" 1971

      31 육군성, "몽고어 대사전 상(몽화지부)" 1971

      32 김 형수, "만주어·몽고어 비교 어휘사전" 형설출판사 1995

      33 최 동권, "만문삼국지(三譯總解)" 한국기술정보 2008

      34 도 수희, "대우학술총서" 아카넷 2003

      35 윤 석일, "근대 역사문화의 보고 강경(江景)" 강경역사문화연구원 2012

      36 이 병도, "국역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1982

      37 이 기문, "국어학 논문선" 민중서관 1975

      38 이 은정, "국어학 ․ 언어학 용어 사전" 국어문화사 1994

      39 서 정범, "국어 어원사전" 보고사 2000

      40 민족문화추진회, "고전국역총서" 1978

      41 박 재연, "고어뎐"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1

      42 강 길운, "고대사의 비교언어학적 연구" 새문사 1990

      43 박 병채, "고대국어의 연구(음운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3

      44 송 기중, "고대국어 어휘집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45 송 기중, "고대국어 어휘 표기 한자의 자별 용례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46 박 병채, "고대 삼국의 지명어휘고" 백산학회 (5) : 1968

      47 신 태현, "경희대학교 논집" 경희대학교 1958

      48 정 현수, "강경의 역사와 문화" 강경역사문화연구원 2013

      49 이 수, "韓漢淸文鑑"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779

      50 강 길운, "鄕歌의 解讀 試論"

      51 신 이행, "譯語類解"

      52 도 수희, "百濟語硏究(Ⅱ)"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9

      53 小澤重男, "現代モンゴル語辭典" 大學書林 1983

      5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漢韓大辭典" 2003

      55 羽田亨, "滿和辭典" 경도제국대학 만몽조사회 1937

      56 高橋盛孝, "樺太 ギリヤク語" 朝日新聞社 1942

      57 홍 명복, "方言輯釋(일명 方言類釋)" 홍문각 1778

      58 남 광우, "敎學 古語辭典" 교학사 1997

      59 민중서관, "國語學論文選" 1977

      60 김 동소, "同文類解 滿洲文語 語彙" 효성여자대학교 출판부 1982

      61 현 문항, "同文類解"

      62 남 광우, "古今漢韓字典" 인하대학교 출판부 1995

      63 張撝之, "中國歷代人名大辭典" 上海古籍出版社 1999

      64 Ramstedt., "Studies in Korean Etymology" Helsinki 1949

      65 G. Raquette., "English-Turki Dictionary" 1927

      66 S. Senghee., "English Mongolian Dictionary" уЛААНБААТАР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1.33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