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On the notion of topic (I) = 「主題」槪念의 言語學的 考察 (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95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言語學에 있어서 「主題」(topic)라는 말은 그 使用者에 따라서 3가지 相互關聯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槪念을 指稱해 왔다. (이 3가지 다른 槪念을 이 論文에서는 各各 'topic', 'focus', 'theme'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論文의 目的은 이 3가지 槪念을 明確히 識別o把握하고, 그 言語學的 相互關聯性을 糾明하고, 그 槪念들의 言語學的 意義(linguistic significance)를 考察해 보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生成o變換文法理論의 立場에서 이 3가지 槪念들이 어떻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結果 生成o變換文法理論에 어떠한 貢獻(implications)를 하는가를 考察해 보는데 있다 (마지막 生成o變換文法理論의 立場에서의 考察은 其二(Part 2)에서 다루게 됨.)
      그 3가지 槪念中 topic에 대해서는 먼저 英語의 경우 Jespersen(1924), Halliday(1967b), 그리고 Chomsky(1965)의 見解 및 定義를 考察해 보았는데 그 어느것도 一貫性있는 見解 또는 定義가 못됨을 發見하였다. 다음으로 視野를 韓國語와 日本語에 돌려 Kuroda(1965)와 Kuno(1970)의 見解 및 定義를 살펴보았는데 亦是 一貫性 있는 見解 또는 定義로서는 不充分 또는 不適切함을 發見하였다. 結論的으로, 'topic'은 그 根源에 있어서 어떤 名詞的 槪念 (nominal feature)도 아니고 對話的 槪念(discoursal feature)도 아니며 오직 文章的 特性(sentential feature)임을 發見하였다. 卽 'topic'은 總稱性(generic)이라는 文章的 特性(sentential feature)을 지닌 文章에만 올 수 있다는 것을 發見하였다. 나아가 'topic'이라는 槪念과 總稱性(generic)이라는 槪念의 相互關聯性을 考察o分析 함으로서 'topic'이라는 槪念의 보다 깊은 理解o把握을 試圖하였다. 그리고 總稱性(generic)이라는 槪念에 關聯하여 'topic'이라는 槪念의 言語學的 意義를 考察해 보고 'topic'과 'focus'와의 關聯性도 함께 다루었다.
      'Focus'에 대해서는 Fillmore(1968), Halliday(1967a, b), Chomsky(1969), Chafe(1970) 그리고 Lakoff(1969)의 見解 및 定義를 比較o檢討하였다. 結論的으로, 'focus'에는 'exclusive focus'와 'contrastive focus'가 있으며, 'exclusive focus'는 다시 그 중에 'identifying focus'와 'indeterminate focus'를 內包함을 알았다. 한편 어떻게 하여 韓國語의 主格토씨 「이」(또는「가) ) 가 'exclusive focus'를 表示하게 되고 主題토씨 「는」이 'contrastive focus'를 表示하게 되는 지에 對한 詳細한 說明을 試圖하였다. 同時에 英語에 있어서도 이 'exclusive focus'와 'contrastive focus'의 차이가 Bolinger91958)의 A accent 와 B accent의 차이로 表示되는 점을 指摘o考察하였다.
      'Theme'에 對하여서는 Lyons(1968)와 Chafe(1970)의 見解 및 定義를 檢討하고, 이 槪念을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라는 理論으로 展開한 Firbas(1964, 1971)의 立場을 상세히 檢討o秕判하였다. 結論的으로 Firbas의 理論은 現狀態로는 一貫性있는 理論으로 볼 수 없으며 아무런 言語學的 意義(linguistic significance)도 없는 것임을 發見하였다. 同時에 'theme'은 'focus'의 附隨的(따라서 剩餘的) 槪念으로서 獨立된 言語學的 意義를 갖는 槪念이 아님을 主張o說明하였다.
      번역하기

      言語學에 있어서 「主題」(topic)라는 말은 그 使用者에 따라서 3가지 相互關聯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槪念을 指稱해 왔다. (이 3가지 다른 槪念을 이 論文에서는 各各 'topic', 'focus', 'theme'이라...

      言語學에 있어서 「主題」(topic)라는 말은 그 使用者에 따라서 3가지 相互關聯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槪念을 指稱해 왔다. (이 3가지 다른 槪念을 이 論文에서는 各各 'topic', 'focus', 'theme'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論文의 目的은 이 3가지 槪念을 明確히 識別o把握하고, 그 言語學的 相互關聯性을 糾明하고, 그 槪念들의 言語學的 意義(linguistic significance)를 考察해 보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生成o變換文法理論의 立場에서 이 3가지 槪念들이 어떻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結果 生成o變換文法理論에 어떠한 貢獻(implications)를 하는가를 考察해 보는데 있다 (마지막 生成o變換文法理論의 立場에서의 考察은 其二(Part 2)에서 다루게 됨.)
      그 3가지 槪念中 topic에 대해서는 먼저 英語의 경우 Jespersen(1924), Halliday(1967b), 그리고 Chomsky(1965)의 見解 및 定義를 考察해 보았는데 그 어느것도 一貫性있는 見解 또는 定義가 못됨을 發見하였다. 다음으로 視野를 韓國語와 日本語에 돌려 Kuroda(1965)와 Kuno(1970)의 見解 및 定義를 살펴보았는데 亦是 一貫性 있는 見解 또는 定義로서는 不充分 또는 不適切함을 發見하였다. 結論的으로, 'topic'은 그 根源에 있어서 어떤 名詞的 槪念 (nominal feature)도 아니고 對話的 槪念(discoursal feature)도 아니며 오직 文章的 特性(sentential feature)임을 發見하였다. 卽 'topic'은 總稱性(generic)이라는 文章的 特性(sentential feature)을 지닌 文章에만 올 수 있다는 것을 發見하였다. 나아가 'topic'이라는 槪念과 總稱性(generic)이라는 槪念의 相互關聯性을 考察o分析 함으로서 'topic'이라는 槪念의 보다 깊은 理解o把握을 試圖하였다. 그리고 總稱性(generic)이라는 槪念에 關聯하여 'topic'이라는 槪念의 言語學的 意義를 考察해 보고 'topic'과 'focus'와의 關聯性도 함께 다루었다.
      'Focus'에 대해서는 Fillmore(1968), Halliday(1967a, b), Chomsky(1969), Chafe(1970) 그리고 Lakoff(1969)의 見解 및 定義를 比較o檢討하였다. 結論的으로, 'focus'에는 'exclusive focus'와 'contrastive focus'가 있으며, 'exclusive focus'는 다시 그 중에 'identifying focus'와 'indeterminate focus'를 內包함을 알았다. 한편 어떻게 하여 韓國語의 主格토씨 「이」(또는「가) ) 가 'exclusive focus'를 表示하게 되고 主題토씨 「는」이 'contrastive focus'를 表示하게 되는 지에 對한 詳細한 說明을 試圖하였다. 同時에 英語에 있어서도 이 'exclusive focus'와 'contrastive focus'의 차이가 Bolinger91958)의 A accent 와 B accent의 차이로 表示되는 점을 指摘o考察하였다.
      'Theme'에 對하여서는 Lyons(1968)와 Chafe(1970)의 見解 및 定義를 檢討하고, 이 槪念을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라는 理論으로 展開한 Firbas(1964, 1971)의 立場을 상세히 檢討o秕判하였다. 結論的으로 Firbas의 理論은 現狀態로는 一貫性있는 理論으로 볼 수 없으며 아무런 言語學的 意義(linguistic significance)도 없는 것임을 發見하였다. 同時에 'theme'은 'focus'의 附隨的(따라서 剩餘的) 槪念으로서 獨立된 言語學的 意義를 갖는 槪念이 아님을 主張o說明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Terminology and Preliminary Discussion
      • 1.1. 'Topic'
      • 1.2. 'Focus'
      • 1.3. 'Theme'
      • REFERENCES
      • 1. Terminology and Preliminary Discussion
      • 1.1. 'Topic'
      • 1.2. 'Focus'
      • 1.3. 'Theme'
      • REFERENCES
      • 要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