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동산담보법 제32조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동산담보법상의 선의취득의 의미와 요건, 그리고 그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동산담보법상 선의취득은 무권리자로부터의 권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63028
2014
-
360
KCI등재
학술저널
65-82(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동산담보법 제32조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동산담보법상의 선의취득의 의미와 요건, 그리고 그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동산담보법상 선의취득은 무권리자로부터의 권리...
본 연구에서는 동산담보법 제32조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동산담보법상의 선의취득의 의미와 요건, 그리고 그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동산담보법상 선의취득은 무권리자로부터의 권리의 승계를 전제한 것이 아니라 동산담보권이 설정되어 있는 담보목적물의 처분권자로부터 그 목적물에 관하여 동산담보권이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그 소유 권이나 질권을 취득하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제32조를 규정하였다. 따라서 양도인은 동산 담보권의 부담이 없는 소유권을 양도할 권리가 없고, 그러한 의미에서 동산담보권의 부담이 없는 처분에 대한 무권리자로 볼 수 있으므로, 바로 이러한 점에 대한 상대방의 선의가 선의취득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신뢰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양수인이 선의취득하는 권리는 동산담보권의 부담이 없는 완전한 소유권이다. 동산담보법상 선의취득에서의 선의의 대상은 양도인이 무권리자가 아니라는 점이 아니라 양도목적물에 동산담보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있기 때문에, 민법상 선의취득에서의 선의의 대상과 상이하다. 그리고 담보권 자가 처분권 없는 자로부터 선의․무과실로 담보권을 설정받았거나 양수한 경우 담보권이 선의취득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동산담보등기가 인적편성주의를 취하고 있으므로 동산 담보등기부에 의하여서는 담보권의 존재만을 알리고 있을 뿐 개개 동산의 소유권 귀속에 관하여는 알 수 없고, 동산담보등기부가 존재한다 할 지라도 동산의 소유권에 대한 공시방법은 여전히 점유이기 때문에 담보권을 설정받은 사람이 담보권등기가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설정자의 소유권에 대한 신뢰는 보호되지 않으므로 양수인은 담보권을 선의취득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mplication, requirements and effects of good faith acquisition in the law of chattel mortgage, mainly concerned with Article 32 in the law. The good faith acquisition should be understood in a way that article 32 has been ...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mplication, requirements and effects of good faith acquisition in the law of chattel mortgage, mainly concerned with Article 32 in the law. The good faith acquisition should be understood in a way that article 32 has been defined(prescribed) considering that the ownership or the pledge right is acquired while it is not known that the security rights on movables have been attached to it by the person having disposition authority for the object targeted for security righ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supposing the succession of the rights from the untitled person. As a result, the transfer has no right to transfer the ownership without the burden of security rights on movables. In this respect, he may be deemed as the untitled person for the disposition without the burden of the security rights on movables. So, the good faith of the other part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aith(trust) that should be protected in the good faith acquisition. Therefore, the right acquired by transferee in good faith is the complete ownership without any burden of security rights on movables. The target in the good faith acquisition in the law of chattel mortgage lies not in the fact that he is a non-entitled person but in the fact that the security rights on movables are not attached to the property to be transferred. It means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ones defined in good faith acquisition in civil law. So,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of good faith acquisition in the law of chattel mortgage is changed(modified). By interpreting it this way, I think that the purpose of Article 32 in the law of chattel mortgage can be realized. In addition, it matters whether the security rights can be subject to good faith acquisition in the case that the person having no disposition authority attaches the security rights to the property of the person having security rights even without the faults of the latter or in his good faith. Since the registration of chattel mortgage takes the system of personal folium, it cannot be known who has ownership of the movable assets. The register of chattel mortgage only informs the presence of security rights. There is no way to whom the ownership of individual movable assets belongs. Even if the register of movable assets is available, the method of public notice/announcement is still occupation. the trust on the ownership of the attacher may not be protected only because the person having the security rights attached to the property registers the security right. So, it can be stated that the transferee has not acquired the security rights in good fait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세민, "양도에 의한 선의취득과 선의취득자의 부당이득" 한국비교사법학회 18 (18): 1121-1166, 2011
2 곽윤직, "물권법(민법강의2)" 2008
3 김현진, "동산담보권과 선의취득 - '동산 · 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시행을 앞두고 -" 한국민사법학회 56 : 3-53, 2011
4 정봉진,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안 상의 등기부 인적편성주의" 법학연구소 (30) : 179-218, 2010
5 안형준,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법무부 2010
6 고형석, "동산 및 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상 동산담보제도에 관한 연구 - 양도담보에 대한 영향 및 선의취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5 (35): 111-125, 2011
7 제철웅, "동산 및 채권 담보 제도의 개선방향 : 특정성 또는 특정가능성 원칙의 선택" 대한변호사협회 (392) : 6-36, 2009
8 김재형, "動産擔保制度의 改善方案 ― 登錄制度의 導入에 관한 試論" 한국민사법학회 (30) : 3-37, 2005
9 김인유,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에 관한 소고 - 동산담보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7 (27): 9-37, 2011
10 김재형,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제정안의 구성과 내용" 법조협회 58 (58): 5-54, 2009
1 박세민, "양도에 의한 선의취득과 선의취득자의 부당이득" 한국비교사법학회 18 (18): 1121-1166, 2011
2 곽윤직, "물권법(민법강의2)" 2008
3 김현진, "동산담보권과 선의취득 - '동산 · 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시행을 앞두고 -" 한국민사법학회 56 : 3-53, 2011
4 정봉진,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안 상의 등기부 인적편성주의" 법학연구소 (30) : 179-218, 2010
5 안형준,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법무부 2010
6 고형석, "동산 및 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상 동산담보제도에 관한 연구 - 양도담보에 대한 영향 및 선의취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5 (35): 111-125, 2011
7 제철웅, "동산 및 채권 담보 제도의 개선방향 : 특정성 또는 특정가능성 원칙의 선택" 대한변호사협회 (392) : 6-36, 2009
8 김재형, "動産擔保制度의 改善方案 ― 登錄制度의 導入에 관한 試論" 한국민사법학회 (30) : 3-37, 2005
9 김인유,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에 관한 소고 - 동산담보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7 (27): 9-37, 2011
10 김재형,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제정안의 구성과 내용" 법조협회 58 (58): 5-54, 2009
11 김재형,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주요쟁점 ─ 제정안 작성과정의 논의를 토대로 ─" 한국민사법학회 61 : 3-35, 2012
12 김영신,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쟁점에 관한 검토" 법학연구원 17 (17): 331-356, 2010
13 김형석,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산담보권과 채권담보권" 법학연구소 52 (52): 191-243, 2011
14 김현진,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연구 : 주요 내용과 현대화의 과제" 서울대학교 2011
15 석광현, "UNCITRAL의 담보권 입법지침과 우리나라의 동산․채권담보법제" 법무부 (88) : 173-217, 2009
16 김병두,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동산담보의 법률관계에 대한 管見 - UCC Article 9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8 (18): 371-429,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19 | 0.32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