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교육공공성에 대한 논의는 불평등한 교육기회의 분배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아래 학교교육의 기회 배분에 주목하고 의무교육의 확대와 무상교육의 실시에 주목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38458
2021
Korean
교육공공성 ; 방과후학교 ; 민주적 통제 ; 민주적 공동체 ; 공적지원 ; educational publicness ; Afterschoool ; democratic control ; public support
KCI등재
학술저널
43-70(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교육공공성에 대한 논의는 불평등한 교육기회의 분배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아래 학교교육의 기회 배분에 주목하고 의무교육의 확대와 무상교육의 실시에 주목하...
그동안 교육공공성에 대한 논의는 불평등한 교육기회의 분배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아래 학교교육의 기회 배분에 주목하고 의무교육의 확대와 무상교육의 실시에 주목하여왔다. 이 연구는 교육공공성 관점에서 방과후학교를 사적영역이 아닌 공적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밝히고 방과후학교에 대한 공적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과 후에도 모든 학생들은 안전하게 보호되고 성장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새로운 학습 기회가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방과후학교의 공적지원은 공적재원의 투입과 민주적 공동체로서의 지역사회참여를 의미한다. 방과후학교가 학교교육의 하나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방과후학교에 대한 안정적인 재원과 인력의 확보는 교육공공성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민주적 공동체 측면에서 방과후학교는 참여자들이 아동, 청소년의 삶과 성장을 위한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cussion on educational publicness h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opportunities in school educa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is aggravating educational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Af...
The discussion on educational publicness h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opportunities in school educa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is aggravating educational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Afterschool is being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education market and students as education consumers, and viewing the after-school program as a kind of educational product. After school, students need to be safe, grown, and provided with new learning opportunities to reach their potential.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al with Afterschoool in the public domain, not in the private domain, and seeks ways to support Afterschoool in the public domain. Public support for Afterschoool means the input of public funds in terms of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democratic community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e reality that Afterschoool play a major role in school education, secur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and manpower for Afterschoool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educational publicity. In addition, Afterschoool should be a place where the school community interacts democratically, interacts horizontally, and connects organically with the local commun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3-61, 2012
2 최창의, "혁신교육지구사업 비교분석을통한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3 강재규, "행정의 법적 정당성으로서의 ‘공공성’" 법학연구소 (55) : 47-90, 2012
4 이희현, "학교·지역사회 연계 교육생태계구축을 통한 방과후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20
5 홍용성,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145-170, 2011
6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 1, 2권" 나남출판 2006
7 배정호, "유치원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홀리스틱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2 (22): 105-130, 2018
8 이인호, "스마트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초등 방과 후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81-394, 2018
9 배상훈, "방과후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교육철학적 기반, 정책적의의, 그리고 발전 전망" 1 (1): 1-17, 2014
10 교육부, "방과후학교! 대학과 언론기관이 함께 합니다"
1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3-61, 2012
2 최창의, "혁신교육지구사업 비교분석을통한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3 강재규, "행정의 법적 정당성으로서의 ‘공공성’" 법학연구소 (55) : 47-90, 2012
4 이희현, "학교·지역사회 연계 교육생태계구축을 통한 방과후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20
5 홍용성,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145-170, 2011
6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 1, 2권" 나남출판 2006
7 배정호, "유치원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홀리스틱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2 (22): 105-130, 2018
8 이인호, "스마트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초등 방과 후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81-394, 2018
9 배상훈, "방과후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교육철학적 기반, 정책적의의, 그리고 발전 전망" 1 (1): 1-17, 2014
10 교육부, "방과후학교! 대학과 언론기관이 함께 합니다"
11 이희현, "방과후학교 참여율 변화 추이 및 원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21
12 신기왕,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 연구" 5 (5): 1-16, 2018
13 교육인적자원부, "방과후 학교 ‘06년 운영계획 발표’"
14 교육부, "방과후 교육활동 활성화 방안" 1996
15 김수동, "민간참여 방과후학교의운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16 교육부, "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로 지역중심의 교육공동체 확산 추진"
17 정기섭, "독일에서 전일제학교의 발달과 2000년 이후의 활성화 배경" 교육문제연구소 (30) : 39-57, 2008
18 교육부, "교육부‘과외대책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 1997
19 조한상,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09
20 채장수, "공공성의 한국적 현재성: 상황과 의미" 21세기정치학회 19 (19): 47-70, 2009
21 임재홍, "고등교육과 교육공공성의 확장" 법학연구소 20 (20): 137-162, 2012
22 교육부, "‘학교자율화 추진 계획’발표"
23 교육부, "‘특기적성 운영계획’발표"
24 교육부,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 발표"
25 Pesch, U, "The publicness of public administration" 40 : 170-193, 2008
26 Colman. J., "The concept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38 (38): 7-37, 1968
27 Rollett W, "The Implementation of All-day Schools in Germany: Goals, Successes and Persisting Problems" 2017
28 Longworth, "Making Lifelong Learning Work: Learning Cities for a Learning Century" Kogan Page 109-, 1999
29 Dewey,J, "John Deweys: The Later Works vol. 2"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 304-324, 1984
30 Dyson, A., "Full service and extended schools, disadvantage, and social justice" 41 (41): 2011
31 Afterschool Alliance, "Full STEM ahead: Afterschool programs step up as key partners in STEM education" Afterschool Alliance
32 Schuepbach, M, "Extended Education in Switzerland: A Look at the Educational Quality of the Extended Education Offerings" 2017
33 Han, S., "Contemporary Spatial Publicness: Its New Characteristics and Democratic Possibilities" MDPI 2019
34 Halpern R., "After-School Programs for Low-Income Children: Promise and Challenges" 9 (9): 81-95, 1999
35 Noam, G., "A Double Bottom Line: Increasing STEM Engagement and Life Skills in After School Programs"
36 교육부, "2021『교육부 방과후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시・도 교육청 공동개발"
37 서울특별시교육청, "2021 방과후학교 위탁업체 계약실무"
38 경기도교육청, "2017 경기꿈의학교 사업설명회 자료"
39 Kerr, K, "2016 Networked Social Enterprises: A New Model of Community Schooling for Disadvantaged Neighborhoods Facing Challenging Times" 6 (6): 2016
40 우길주, "2009 방과후학교 위탁운영 실태분석 및 활용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9
41 교육인적자원부, "2006「방과후 학교」운영 계획" 학교정책추진단 2006
42 박미자, "1990년대 이후 고등학교평준화 정책의 전개와 변용: 평준화 재도입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4 (34): 27-54, 2020
출산지원정책 추진 유형에 따른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31개 시군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탐색 연구: 유아교육과 전공심화 대학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17-07-01 | 평가 | 탈락(현장점검) (기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11-02-1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공사회연구회 -> 한국공공사회학회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1.155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