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파의 삼종선에 관한 초의의 비판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houi's Criticism of Baekpa's Three Kinds of Se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pute on the theory of Seon is the dispute over the doctrine of Seon between Baekpa-Geungseon and Choui-Uisun, its point is made up of the dispute on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and the dispute has been continued by the two Seon t...

      The dispute on the theory of Seon is the dispute over the doctrine of Seon between Baekpa-Geungseon and Choui-Uisun, its point is made up of the dispute on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and the dispute has been continued by the two Seon teachers' disciples. While there was 'a dispute on the same and difference of human nature and material nature' in Korean Confucianism, there was 'a dispute on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Although there is a lot of dispute on the 'three kinds of Seon and two kinds of Seon', this thesis will first introduces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and examine what is the issue and gist of Choui's criticism of three kinds of Seon.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discuss whether Choui's criticism of three kinds of Seon is valid.
      Baekpa advocated the three kinds of Seon in Seonmunsugyong(禪文手鏡), whose name comes from the division of the levels of Seon into Patriarch Seon(祖師禪), Tathāgata Seon(如來禪), and Principle Seon(義理禪). On the contrary, Choui disputes Baekpa's Seonmunsugyong in his Seonmunsabyeonmaneo(禪門四辨漫語), which has a form that first introduces Baekpa's theory and then criticizes it. It seems that Baekpa's attempt to allocate all Seon analects to one of the three kinds of Seon intentionally goes too far and undermines the original spirit of Seon according to Choui's criticism.
      However, it can be said that Baekpa's three kinds of Seon is evidently valuable in that his theory presented the standard to judge the depth and shallowness of Seon that is meant to realize the original face beyond language and log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선문논쟁(禪門論爭)이란 조선 후기 고승이었던 백파 긍선(白坡亘璇)과 초의 의순(草衣意恂)사이에서 촉발된 선(禪)에 대한 교리논쟁으로 삼종선(三種禪)과 이종선(二種禪)에 대한 논쟁이 그 ...

      선문논쟁(禪門論爭)이란 조선 후기 고승이었던 백파 긍선(白坡亘璇)과 초의 의순(草衣意恂)사이에서 촉발된 선(禪)에 대한 교리논쟁으로 삼종선(三種禪)과 이종선(二種禪)에 대한 논쟁이 그 핵심을 이루며, 이후 무려 100년이 넘는 시간동안 두 선사의 제자들을 통해서 이어져 나갔다. 18-19세기 한국유학에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논쟁’이 있었다면, 불교계에는 ‘삼종선-이종선 논쟁’이 있었던 것이다.
      ‘삼종선-이종선’에 관해서는 많은 논쟁거리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백파의 삼종선의 내용과 출현 배경에 대하여 소개한 후, 초의가 삼종선을 비판한 쟁점과 요지가 무엇인가를 살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초의의 삼종선 비판은 과연 타당한 것인가?’하는 문제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백파는 『선문수경(禪文手鏡)』을 통하여, 삼종선을 주창하는데, 삼종선이란 선을 그 경지에 따라 ‘조사선(祖師禪), 여래선(如來禪), 의리선(義理禪)’의 세 종류로 나누어 보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반면, 초의는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를 통하여 백파의 『선문수경』을 반박하고 있는데, 먼저 백파의 설을 소개한 후 자신의 비판을 가하는 형식을 띄고 있다.
      모든 선어록의 말들을 인위적으로 삼종선의 하나에 배대하려한 백파의 시도는 지나친 점이 있으며, 초의의 지적대로 선의 본래정신을 훼손한 면이 있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언어와 논리를 떠나 본래면목을 곧장 깨닫고자 하는 선의 특성상 그 깊고 얕음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백파의 삼종선은 분명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기두, "한국선사상 연구" 일지사 1993

      2 불교신문사,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1990

      3 박재현,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초의 의순, "초의다선집" 불광출판부 1996

      5 서재영, "조선후기 선문논쟁의 전개와 의의" 한국선학회 (22) : 59-110, 2009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8 이종수, "조선후기 三門修學과 禪 논쟁의 전개" 한국불교학회 (63) : 209-233, 2012

      9 김방룡,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유학연구소 25 : 139-161, 2011

      10 董群, "조사선" 운주사 2000

      1 한기두, "한국선사상 연구" 일지사 1993

      2 불교신문사,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1990

      3 박재현,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초의 의순, "초의다선집" 불광출판부 1996

      5 서재영, "조선후기 선문논쟁의 전개와 의의" 한국선학회 (22) : 59-110, 2009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8 이종수, "조선후기 三門修學과 禪 논쟁의 전개" 한국불교학회 (63) : 209-233, 2012

      9 김방룡,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유학연구소 25 : 139-161, 2011

      10 董群, "조사선" 운주사 2000

      11 김영욱,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1

      12 백파 긍선, "선문수경" 도서출판선운사 2011

      13 백파 긍선, "선문수경" 동국대출판부 2012

      14 초의 의순, "선문사면만어" 동국대출판부 2012

      15 김방룡, "백파의 삼종선 사상 및 조선후기 불교계에 끼친 영향" 한국동양철학회 24 (24): 25-46, 2005

      16 하미경, "백파와 초의의 선리논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7 정병삼, "백파와 초의의 선론과 선논쟁" 한국사상문화학회 (86) : 191-218, 2017

      18 김종명, "논쟁으로 보는 불교철학" 예문서원 1998

      19 意恂, "禪門四辨漫語"

      20 志安, "禪門五宗綱要"

      21 宗密, "禪源諸詮集都序"

      22 亘璇, "禪文手鏡"

      23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 보련각 1992

      24 楊億, "景德傳燈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3 0.73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