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는 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11934
서산 :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아동청소년상담심리학과 청소년상담 , 2020. 2
2020
한국어
충청남도
58 ; 26 cm
지도교수: 안권순
I804:44015-20000029443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는 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사회적 지지, 진로선택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 밖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사회적 지지, 진로선택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 밖 청소년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연구의 대상자는 학교 밖 청소년 70명(남자 26, 여자 44)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사회적 지지척도,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일반 설문지, 진로선택 및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들 즉 학교 및 학업에서 이탈한 청소년들이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돌보고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둘째, 청소년들이 학업 성취도에 대한 큰 부담과 더불어 학교생활에 크게 만족하지 못하거나 보람을 느끼지 못하며 또래집단과의 갈등, 교사와 학부모와 같은 기성세대와의 갈등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진로지도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 선택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우리 사회에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과 경제적 자립, 진로선택의 부분에 다각적으로 관심을 갖고 그들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시사점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기 삶의 방향을 보다 주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원은 제도 마련과 더불어 기성세대가 청소년 세대를 위해 더욱 개방적인 태도로 그들의 선택을 응원하고 지지해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근거하여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선택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았으나 다양한 심층면접이나 질적인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표집지역이 국한되어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집지역을 확대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choice and self-esteem in out-of-school adolescents for social support.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actual conditions in out-of-s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choice and self-esteem in out-of-school adolescents for social support.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actual conditions in out-of-school adolesc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career choice and self-esteem?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career choice and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out-of-school adolescents in C-province and D-city. The research tools of this paper were used social support scale, out-of-school adolescents survey, career choice scale and self-esteem scale. The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liner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eed of variety policy out-of-school adolescents and academic. Second, there was necessity of conflict solutions for peer group and the older generation. Third, there was need of career guidance and social support in out-of-school adolescents. Fourth, there was necessity of economic independence, appropriate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this paper suggest that the important of life direction and system improve. As it has been found to open mind and social support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 this study,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we looked at career choice and self-esteem in out-of-school adolescents for social support, but also realized the need for additional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research. Also, since the sampling was confined to the out-of-school adolescents in small area,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by expanding the sampling area.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help career choice and self-esteem in out-of-school adolescents for social support. Also, it can be used for out-of-school adolescents counseling, and it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necessary to help the maladjusted out-of-school adolescents cope with academic life and prevent problem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