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재의 『정토론』에 드러난 왕생요인(要因)과 왕생인(人) = The Study of Wangsaeng Factors and Wangsaeng People Revealed Gajai's 『Jungtol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섭론종에서 정토종으로 전환한 가재(迦才)는 도작이 찬술한 『안락집(安樂集)』에 드러난 내용에서 12부의 경전과 5부 2게송의 논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의 견해를 덧붙여 기술하면서 세간의 대중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을 명백하게 귀납하고 비교해서 『정토론(淨土論)』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논서의 내용은 다분히 섭론종의 이론과 소부의 기타 경론의 이치를 입증한 실례를 들어서 논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답의 방식으로 해답함으로써 당시 정토법문이 발전하는 과정에 상당히 중요한 지위와 영향을 점유하였다. 특히 정토삼부경에 표출된 정토에 왕생할 요인의 모순과 충돌하는 내용을 해소시켰다.
      『정토론』에서 논하는 그 핵심을 말한다면, 먼저 삼신정토의 관점을 논한 다음에 어떤 사람들이 정토에 왕생할 수 있고, 다음에 어떤 수행을 통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으며, 끝으로 어떤 이치에 의지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먼저 정념(正念)을 보호하여 유지한 사람들, 다음에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사람들, 끝으로 아미타불의 타력에 의지한 인연을 원만하게 구족한 사람들이 바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가재는 정토법문을 가지고 원만한 해석을 시도한 다음에 당시 정토를 연구한 사람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가재의 정토왕생에 대한 이론은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인정되는 부분이다.
      번역하기

      섭론종에서 정토종으로 전환한 가재(迦才)는 도작이 찬술한 『안락집(安樂集)』에 드러난 내용에서 12부의 경전과 5부 2게송의 논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의 견해를 덧붙여 기술하면서 ...

      섭론종에서 정토종으로 전환한 가재(迦才)는 도작이 찬술한 『안락집(安樂集)』에 드러난 내용에서 12부의 경전과 5부 2게송의 논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의 견해를 덧붙여 기술하면서 세간의 대중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을 명백하게 귀납하고 비교해서 『정토론(淨土論)』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논서의 내용은 다분히 섭론종의 이론과 소부의 기타 경론의 이치를 입증한 실례를 들어서 논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답의 방식으로 해답함으로써 당시 정토법문이 발전하는 과정에 상당히 중요한 지위와 영향을 점유하였다. 특히 정토삼부경에 표출된 정토에 왕생할 요인의 모순과 충돌하는 내용을 해소시켰다.
      『정토론』에서 논하는 그 핵심을 말한다면, 먼저 삼신정토의 관점을 논한 다음에 어떤 사람들이 정토에 왕생할 수 있고, 다음에 어떤 수행을 통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으며, 끝으로 어떤 이치에 의지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먼저 정념(正念)을 보호하여 유지한 사람들, 다음에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사람들, 끝으로 아미타불의 타력에 의지한 인연을 원만하게 구족한 사람들이 바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가재는 정토법문을 가지고 원만한 해석을 시도한 다음에 당시 정토를 연구한 사람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가재의 정토왕생에 대한 이론은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인정되는 부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Gajai who converted from Sublonjong to Jungtojong, analyzed the disputes of 12 volumes of scriptures and 5 volumes of 2 phrases in the contents revealed in the Book of 『Alakjib』. In addition, he reconstructed 『Jungtolon』, clearly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work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them while adding his own views.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which proves the theory of Sublonjong and other observations of commentary. In addition, by the way of answering in the way of the dialogue, it occupied a considerable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law at that time. Especially, the contents which conflict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factor of wangsaeng on the Jungtosambusūtra expressed in the Pure Land were solved.
      If we talk about the core of 『Jungtolon』, we first discuss the point of Samsinjungto, then we can going born some people to pure land, then going born to pure land through some execution, Finally, we discussed how we can going born pure land by relying on some reason. Conclusively speaking,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those who have preserved and preserved the essence first, those who followed bodhi citta, and those who have endured the lasting dependence on the power of Amitabha You can do going born. In this way, the lobsters had a profound effect on those who studied pure land at the time after attempting an amicable interpretation with the paper making method. The theory of Gajai's wangsaeng to the pure land is well worthy of study.
      번역하기

      In this paper, Gajai who converted from Sublonjong to Jungtojong, analyzed the disputes of 12 volumes of scriptures and 5 volumes of 2 phrases in the contents revealed in the Book of 『Alakjib』. In addition, he reconstructed 『Jungtolon』, clearl...

      In this paper, Gajai who converted from Sublonjong to Jungtojong, analyzed the disputes of 12 volumes of scriptures and 5 volumes of 2 phrases in the contents revealed in the Book of 『Alakjib』. In addition, he reconstructed 『Jungtolon』, clearly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work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them while adding his own views.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which proves the theory of Sublonjong and other observations of commentary. In addition, by the way of answering in the way of the dialogue, it occupied a considerable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law at that time. Especially, the contents which conflict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factor of wangsaeng on the Jungtosambusūtra expressed in the Pure Land were solved.
      If we talk about the core of 『Jungtolon』, we first discuss the point of Samsinjungto, then we can going born some people to pure land, then going born to pure land through some execution, Finally, we discussed how we can going born pure land by relying on some reason. Conclusively speaking,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those who have preserved and preserved the essence first, those who followed bodhi citta, and those who have endured the lasting dependence on the power of Amitabha You can do going born. In this way, the lobsters had a profound effect on those who studied pure land at the time after attempting an amicable interpretation with the paper making method. The theory of Gajai's wangsaeng to the pure land is well worthy of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진, "중국 왕생전의 형성에 관한 고찰 - 가재(迦才) 『정토론(淨土論)』권하(卷下) 제6 「인현득왕생인상모(引現得往生人相貌)」를 중심으로 -" 유학연구소 44 : 277-302, 2018

      2 元曉, "遊心安樂道"

      3 李正雨, "迦才의 “淨土論”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2

      4 道宣, "續高僧傳"

      5 世親, "無量壽經優波提舍"

      6 曇鸞, "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註"

      7 迦才, "淨土論"

      8 坪井俊映, "淨土敎槪論" 弘法院 1996

      9 "曆代法寶記"

      10 한보광, "念佛禪이란 무엇인가?" 10 : 1993

      1 손진, "중국 왕생전의 형성에 관한 고찰 - 가재(迦才) 『정토론(淨土論)』권하(卷下) 제6 「인현득왕생인상모(引現得往生人相貌)」를 중심으로 -" 유학연구소 44 : 277-302, 2018

      2 元曉, "遊心安樂道"

      3 李正雨, "迦才의 “淨土論”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2

      4 道宣, "續高僧傳"

      5 世親, "無量壽經優波提舍"

      6 曇鸞, "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註"

      7 迦才, "淨土論"

      8 坪井俊映, "淨土敎槪論" 弘法院 1996

      9 "曆代法寶記"

      10 한보광, "念佛禪이란 무엇인가?" 10 : 1993

      11 源信, "往生要集 卷上"

      12 道綽, "安樂集"

      13 鳩摩羅什, "妙法蓮華經 卷7, 觀世音菩薩普門品"

      14 馬鳴, "大乘起信論"

      15 宗密, "圓覺經大疏釋義鈔 卷3"

      16 鳩摩羅什, "佛說阿彌陀經"

      17 畺良耶舍, "佛說觀無量壽佛經"

      18 康僧鎧, "佛說無量壽經"

      19 宗密答裴相國問, "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

      20 望月信亨, "中國淨土敎理事" 우주사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