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유아교육기관에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정과 부모의 소통 도구로 사용되었던 SNS 앱의 특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4747
2020
Korean
학술저널
413-419(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사태로 유아교육기관에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정과 부모의 소통 도구로 사용되었던 SNS 앱의 특징...
코로나19 사태로 유아교육기관에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정과 부모의 소통 도구로 사용되었던 SNS 앱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유아-부모-기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복합양식 문식성을 길러주는 교수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되는 4개의 교육용 SNS 앱(시소, 플립그리드, 클래스팅, 키즈노트)을 선정하여, 앱의 안전성,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앱이 개인정보 보안을 고려하고 있었으나, 광고 제한 기능이 있는 앱은 2개였다. 인터페이스에서 유아를 고려한 교육용 SNS 앱은 복합양식 문식성교육에 활용되기 좋은 매체이며, 교사와 부모의 소통뿐만 아니라 유아와의 상호작용도 고려한 교육용 SNS 앱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을 연계한 교수매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용 SNS 앱이 원격교육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제2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평가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 · 초 연계교육을 중심으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본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 실습에 대한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