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가 밀집지역 화재발생 초기 드론 활용 서비스디자인 연구 = Service Design for Using the Drones in the Early Stages Fires of Dense Residenti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4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rough the services that use drones at fire sites to deliver on-site and road conditions into the situation room and life-saving activities or the deliveries of first aid outfits at the accident scenes that are inaccessible to humans, there...

      Recently, through the services that use drones at fire sites to deliver on-site and road conditions into the situation room and life-saving activities or the deliveries of first aid outfits at the accident scenes that are inaccessible to humans, there are more and more cases of dealing with emergency situations. Therefore, by studying the service design using drones in the initial stage of response to fires in dense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ify the service design area of the response stage, including the dispatch of fire sites and the fire suppression. To do this,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research directions were explored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process review of service design, and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cases using service design. In order examine the validity of this study, a one-on-one inter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use and problems of drones among incumbent firefighters, and identified the applicability of drones to fire sites by targeting drone experts.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road conditions, site conditions, and 119 safety centers, by making Yongsan-gu, the most vulnerable area to fire in Seoul, as a research sample. And, among the methodologies of service design, Persona and Customer Journey Map were prepared and Insight was derived, by using virtual scenarios for the experience values and behavior analyses of the interested parties.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researcher intended to present the fire-response service design and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of service design in the initial stages of fire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화재 현장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현장상황과 도로상황 등을 파악하여 상황실에 전달하는 서비스와 사람이 접근하기 불가능한 사고 현장에서 인명구조 활동이나 구급용품 전달로 위급한 상...

      화재 현장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현장상황과 도로상황 등을 파악하여 상황실에 전달하는 서비스와 사람이 접근하기 불가능한 사고 현장에서 인명구조 활동이나 구급용품 전달로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가 밀집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단계에서 드론을 활용한 서비스디자인을 연구해 화재현장 출동 및 화재진압 등 대응단계의 서비스디자인 영역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및 프로세스 고찰과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적용 사례를 분석해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위해 현직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드론 사용과 문제점 파악을 일대일 면접조사로 실시하였으며, 드론 전문가를 대상으로 드론의 화재현장 적용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표본으로 서울시 중 화재 대응에 가장 취약한 용산구를 대상으로 인근 도로상황과 현장 실태조사, 119 안전센터 등의 위치와 거리를 파악하는 필드리서치를 진행하고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중 이해관계자들의 경험가치와 행위 분석을 가상시나리오를 통해 페르소나와 고객여정맵을 작성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이런 프로세스를 통해 화재 초기대응 서비스디자인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화재발생 초기대응 서비스디자인 방향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희, "항공 산업의 서비스 디자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버진 아틀란틱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8 (28): 79-95, 2010

      2 최수민, "재난유형과 관리단계로 본 국내 재난안전 R&D 현황 및 시사점" 한국방재학회 16 (16): 87-94, 2016

      3 박상길, "재난 대비훈련 서비스디자인 개선안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363-372, 2015

      4 "연합뉴스"

      5 "시사상식 사전" 박문각 2015

      6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7 Marc Sticdorn,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2-, 2012

      8 송채원,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사례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5 (15): 199-209, 2012

      9 김병태, "복합․대형 재난 관리 시스템 및 미국의 선진체계 연구" 안전행정부 교육훈련정보센터 14-, 2014

      10 하광수, "방재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2-60, 2016

      1 이선희, "항공 산업의 서비스 디자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버진 아틀란틱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8 (28): 79-95, 2010

      2 최수민, "재난유형과 관리단계로 본 국내 재난안전 R&D 현황 및 시사점" 한국방재학회 16 (16): 87-94, 2016

      3 박상길, "재난 대비훈련 서비스디자인 개선안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363-372, 2015

      4 "연합뉴스"

      5 "시사상식 사전" 박문각 2015

      6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7 Marc Sticdorn,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2-, 2012

      8 송채원,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사례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5 (15): 199-209, 2012

      9 김병태, "복합․대형 재난 관리 시스템 및 미국의 선진체계 연구" 안전행정부 교육훈련정보센터 14-, 2014

      10 하광수, "방재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2-60, 2016

      11 최종술, "드론의 공공분야 활용 사례와 운용방안 연구" 33 (33): 167-183, 2017

      12 최종술, "드론의 공공분야 활용 사례와 운용방안 연구" 33 (33): 167-183, 2017

      13 "드론기술 동향보고서, 차세대 드론 산업 분야별 실태분석" 지식산업정보원 2018

      14 "https://www.designcouncil.org.uk/news-opinion /double-diamond-15-years"

      15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i dxnohtml?=23262"

      16 "https://news.joins.com/article/11346302"

      17 "https://mbaman.blog.me/221072425004"

      18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 l?idxno=94681"

      19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 l?idxno=1225949"

      2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r onewiki-&logNo=221586300714"

      21 "YouTube 장정빈의 서비스 그레잇, “지금은 서비스디자인 시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