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中 土地收用制度의 比較法的 硏究 = (A) comparative legal study on the land expropriation system of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89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Koreans Property Rights through Article 13.2, Article 23, and Article 119.1. Also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made the delicate theories over the judicial precedent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Property Rights in the Korean Constitution. Among them, Land Property Righ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by people who own or hold property. However, even if the limitation on his or her property can be taken for the public benefit, we can't say that the public benefit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property right. So,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property right should be the first thing, and the limitation on his or her property for the public benefit should be taken subsidiarily.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article 23 paragraphs 1, states about property right guarantee, section 2, stipulates limit regulation, such as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 should be suitable to public welfare, and section 3 states about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and compensation clauses. Even if land property right is restricted, there should be added just compensation. Crucially important point for reward is the actual market value of the infringed property right estimated by the complete compensation.
      In these days,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s frequent so introduction of legal system can be possibl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Land Expropriation System of China.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ocuses to consider the Land Expropriation System of Korea and it`s introduction to China.
      번역하기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Koreans Property Rights through Article 13.2, Article 23, and Article 119.1. Also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made the delicate theories over the judicial precedent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Property Right...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Koreans Property Rights through Article 13.2, Article 23, and Article 119.1. Also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made the delicate theories over the judicial precedent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Property Rights in the Korean Constitution. Among them, Land Property Righ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by people who own or hold property. However, even if the limitation on his or her property can be taken for the public benefit, we can't say that the public benefit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property right. So,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property right should be the first thing, and the limitation on his or her property for the public benefit should be taken subsidiarily.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article 23 paragraphs 1, states about property right guarantee, section 2, stipulates limit regulation, such as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 should be suitable to public welfare, and section 3 states about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and compensation clauses. Even if land property right is restricted, there should be added just compensation. Crucially important point for reward is the actual market value of the infringed property right estimated by the complete compensation.
      In these days,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s frequent so introduction of legal system can be possibl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Land Expropriation System of China.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ocuses to consider the Land Expropriation System of Korea and it`s introduction to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01
      • 제1절 연구의 목적 = 0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03
      • 제2장 재산권의 보장과 공공수용 = 05
      • 제1절 인권의 역사에서 재산권보장과 그 제한의 의미 = 05
      • 제1장 서론 = 01
      • 제1절 연구의 목적 = 0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03
      • 제2장 재산권의 보장과 공공수용 = 05
      • 제1절 인권의 역사에서 재산권보장과 그 제한의 의미 = 05
      • 제2절 한국법상 재산권의 보장규정 = 08
      • 1. 재산권 보장의 내용과 행사의 한계 = 08
      • 2. 공공수용에 의한 재산권의 제한 = 10
      • 제3절 중국법상 재산권의 보장과 공공수용 = 15
      • 1. 서언 = 15
      • 2. 중국 수용법규의 입법현황 = 18
      • 제4절 공공수용의 허용요건으로서의 ‘공공필요’ = 23
      • 1. 중국 입법정책상의 선택 = 23
      • 2. 한국법상의 토지수용제도상의 공공필요 = 28
      • 제3장 한국과 중국의 토지수용·사용절차 = 34
      • 제1절 한국 공토법상의 토지수용·사용 절차 = 34
      • 1. 公益事業 = 34
      • 2. 事業認定 = 35
      • 3. 事業認定 후 節次準用과 特例 = 38
      • 4. 協議成立의 確認 = 38
      • 5. 裁決 = 39
      • 6. 和解 = 42
      • 7. 略式收用節次 = 43
      • 제2절 중국 현행법상의 토지수용의 절차 = 45
      • 1. 신청 = 45
      • 2. 수용고시의 공표 = 46
      • 3. 수용조서의 확인 = 46
      • 4. 수용 공청회의 개최 = 46
      • 5. ‘1서4방안’으로 심사신청 = 46
      • 6. 심사 = 47
      • 7. 수용방안의 실시 = 47
      • 제3절 중국의 토지수용제도의 개선점 = 48
      • 1. 수용과 보상 절차의 법치화 = 48
      • 2. 이해관계인의 참여권 보장 = 48
      • 3. 정부의 토지수용권한의 제한 = 49
      • 4. 수용과 보상에 대한 감독권의 강화 = 49
      • 제4장 수용보상제도의 도입가능여부 = 51
      • 제1절 한국 공토법상의 토지수용보상 = 51
      • 1. 손실보상의 원칙 = 51
      • 2. 손실보상의 법적근거 = 53
      • 3. 손실보상의 기준 = 55
      • 제2절 한국 공토법상의 토지수용보상의 문제점 = 57
      • 1. 협의취득과 강제취득의 연결 문제 = 57
      • 2. 토지보상의 기준 = 58
      • 3. 보상물건과 유사물건의 형평성 문제 = 58
      • 4. 영세이주민 지원대책 부족 = 59
      • 5. 가수용 시설의 부족 = 59
      • 제3절 중국에 있어서 한국토지수용제도의 도입방안 = 60
      • 1. 토지수용법의 안정화 = 61
      • 2. 공시지가의 현실화 = 61
      • 3. 전문인력 양성 = 62
      • 4. 영세이주민 지원 = 62
      • 5. 홍보강화로 주민참여 확대 = 63
      • 6. 정부의 충분한 자발적 보상 = 63
      • 7. 현실적으로 보상될 수 없는 손실에 대한 보상 = 63
      • 제5장 결론 = 65
      • 참고문헌 = 67
      • ABSTRACT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