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회와 국민의 관계- 의회의 대표성과 그 발전방향 -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Representation of Parliament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alizing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has an important meaning. Parliament is granted democratic legitimacy to legislative power by the people through elections, and is always connected to the people through political par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liament and the people is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between them. And because the parliament's activities for the people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free mandate, there is a problem of disagreement between the parliament and the people.
      This phenomenon, which can be called the limit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itself, inevitably creates a certain distance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It is important how closely and continu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is connected to each other rather than finding out how far the distance is appropriate. On the one hand, this calls for reform of the system surrounding parliament and efforts of the parliament itself. And on the other hand, it calls for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expanding the people's direct and indirect control over the parliament.
      This paper discusses ways to improve election law, political party law, and parliamentary law.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will be possible to strengthen the democracy of th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the parliament, enhance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the parliament, and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so that the opinion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can be reflected in the parliament fairly and effectively.
      번역하기

      In realizing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has an important meaning. Parliament is granted democratic legitimacy to legislative power by the people through elections, and is always connected to the people...

      In realizing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has an important meaning. Parliament is granted democratic legitimacy to legislative power by the people through elections, and is always connected to the people through political par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liament and the people is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between them. And because the parliament's activities for the people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free mandate, there is a problem of disagreement between the parliament and the people.
      This phenomenon, which can be called the limit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itself, inevitably creates a certain distance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It is important how closely and continu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people is connected to each other rather than finding out how far the distance is appropriate. On the one hand, this calls for reform of the system surrounding parliament and efforts of the parliament itself. And on the other hand, it calls for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expanding the people's direct and indirect control over the parliament.
      This paper discusses ways to improve election law, political party law, and parliamentary law.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will be possible to strengthen the democracy of th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the parliament, enhance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the parliament, and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so that the opinion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can be reflected in the parliament fairly and eff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진아, "현행법상의 정당제도가 선거제도에 미치는 영향" 법학연구원 (58) : 195-227, 2010

      2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4

      3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9

      4 장영수, "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창간) : 1993

      5 장용근, "한국현실에 맞는 바람직한 통치구조의 개헌방향의 검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2 (22): 35-64, 2016

      6 조화순,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 한울 2015

      7 조한상, "투표참여자 우대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4 (14): 287-323, 2008

      8 장영수, "참여민주주의의 실현과 국민소환제 도입의 문제점"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3-24, 2006

      9 Emmanuel J. Sieyès,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03

      10 장영수, "제21대 국회의 최우선 과제:선거법 개정과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 한국비교공법학회 21 (21): 301-329, 2020

      1 차진아, "현행법상의 정당제도가 선거제도에 미치는 영향" 법학연구원 (58) : 195-227, 2010

      2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4

      3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9

      4 장영수, "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창간) : 1993

      5 장용근, "한국현실에 맞는 바람직한 통치구조의 개헌방향의 검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2 (22): 35-64, 2016

      6 조화순,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 한울 2015

      7 조한상, "투표참여자 우대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4 (14): 287-323, 2008

      8 장영수, "참여민주주의의 실현과 국민소환제 도입의 문제점"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3-24, 2006

      9 Emmanuel J. Sieyès,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03

      10 장영수, "제21대 국회의 최우선 과제:선거법 개정과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 한국비교공법학회 21 (21): 301-329, 2020

      11 오향미, "정치적‘대표representation’개념과 대의제: 독일 입헌군주정의‘대표’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3 (43): 109-128, 2009

      12 정연주, "정당민주주의와 정당개혁" 법조협회 69 (69): 7-33, 2020

      13 Robert Michels, "정당론" 한길사 2015

      14 허진성, "정당국가적 현실과 자유위임의 원칙에 관한 연구- 국회 위원회 위원의 사․보임행위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1 (61): 1-31, 2020

      15 이혜정, "정당과 지방자치의 관계 : 지방자치에 대한 정당참여의 범위와 한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8) : 85-121, 2013

      16 김윤철, "정당" 책세상 2009

      17 유승익, "자유위임과 명령적 위임" 법학연구소 33 : 299-318, 2015

      18 구병삭, "의회제도의 발전과 대표성" 1982

      19 허종옥, "의회의 국민대표성에 관한 고찰 - 의회제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24 (24): 1981

      20 음선필, "의회민주주의와 국회의원선거체계의 개혁― 민주적 대표성의 관점에서 ―" 한국공법학회 42 (42): 157-192, 2013

      21 차진아, "시민의 입법참여와 헌법 - 국민발안제 도입논의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2 (42): 214-238, 2018

      22 David M. Farrell, "선거제도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2

      23 Bernard Manin, "선거는 민주적인가" 후마니타스 2010

      24 John keane, "민주주의의 삶과 죽음" 교양인 2017

      25 Robert Dahl, "민주주의" 동명사 2009

      26 Martin Kriele, "민주적 헌정국가의 역사적 전개" 종로서적 1983

      27 손병권, "대한민국 국회제도의 형성과 변화" 푸른길 2018

      28 박병섭, "대의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 (14) : 1998

      29 조한상, "대의제는 위기에 처했는가? - 대의제의 헌법적 의의, 문제점, 보완에 대한 검토 -" 법학연구소 29 (29): 315-340, 2009

      30 문광삼, "대의제 민주주의의 재검토" 38 (38): 1997

      31 임혁백, "대의제 민주주의는 무엇을 대의하는가? : 일반의사와 부분의사, 그리고 제도 디자인" 한국정치학회 43 (43): 27-49, 2009

      32 계희열, "당적변동과 의원직(상)" 34 (34): 1993

      33 강태수, "국회의원의 정당기속성과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47 (47): 339-369, 2012

      34 음선필, "국회의원 지역선거구 획정의 헌법적 한계" 법학연구소 14 (14): 137-180, 2013

      35 허영, "국회의원 선거의 의미와 자유위임 및 정당기속의 본질과 한계" 2000

      36 이원종, "국민참여시대의 한국정당" 나남 2006

      37 장용근*攀*단국대학교법정학부조교수, "국민주권론의 비판적 재구성-대표제와 직접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3 (13): 2007

      38 윤종빈, "국민의 참여가 민주주의를 살린다" 푸른길 2017

      39 정연주, "개정 공직선거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유럽헌법학회 (32) : 115-151, 2020

      40 Bernard Manin,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 0.86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