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교회의 성찬 갱신을 위한 방향 연구 : Heidelberg 요리문답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3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례론을 성찬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있다. 참된 교회를 나타내는 표식 중 하나인 성례는 Heidelberg 요리문답이 작성되었던 당시에는...

      이 글의 목적은『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례론을 성찬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있다. 참된 교회를 나타내는 표식 중 하나인 성례는 Heidelberg 요리문답이 작성되었던 당시에는 특히 로마 가톨릭과 관련하여서 누가 참된 교회인가를 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종교개혁자들은 말씀의 올 바른 선포와 성례의 올바른 집행을 교회의 참된 표지로 여겼다. 로마 가톨릭도 말씀 선포와 성례 집행을 교회의 참된 표지로 여기고 있었지만, Ursinus가 보 기에 로마 가톨릭은 성례와 말씀 선포 사이의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관계를 인 정하지 않았다는데 문제가 있었다. 로마 가톨릭에 따르면 말씀 선포를 통해 성 례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더라도, 가령 성찬의 경우 주님의 살과 피로 여겨지는 떡과 잔을 마시기만 하면 그 성찬이 그 성찬을 받는 사람에게 효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반해 Ursinus는 성례를 하나님 말씀의 가시적 선포로 여김으로써 말씀 선포와 성례의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관계를 밝히는 동시에, 성례의 유효성이 하나님 말씀에 대한 이해와 믿음에 의존함을 밝힘으로써“오직 말씀으로”라는 종교개혁의 모토를 성례 이해에 적용했다. 이 글은 Ursinus의『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찬 이해를 검토함으로써 말씀 선포와 성례 집행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성찬은 하나님 말씀의 비언어적 표현이 기에 하나님 말씀의 언어적 표현인 설교가 선행되어야만 성례로서 유효성을 지닌다. Ursinus의 성찬 이해는‘오직 말씀으로’(Sola Scriptura)에 충실한 이 해이다. 그 말씀은 지적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에 그치지 않고 감정의 변화와 의지의 변화를 동반하는 실질적 순종을 낳는 인격적 말씀이기에 말씀의 비언 어적 표현으로서의 성찬도 입술로만의 신앙고백이 아니라 삶에 나타나는 실질 적 신앙고백에 의해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교회의 성찬 갱신의 방 향을 보여주는 단초가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acrament in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focusing on eucharist. Eucharist is one of the marks to show what the true church is. In the era when The co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acrament in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focusing on eucharist. Eucharist is one of the marks to show what the true church is. In the era when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written it was very important to show that the Protestant church is true whereas Roman Catholic Church is not. Reformers thought that the essential marks of true church are the tru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right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Ursinus thought the Roman Catholics did not know the essential and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for they suggested that the sacraments have their own effects without the preaching of the Word. Ursinu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He suggested that sacraments have their own meaning with the preaching of the Word, for the sacraments are visible signs of the Word. It is suggested that his position about the eucharist results from the motto of the Reformation, namely “Sola Scriptura.” The eucharist is understood as non-verbal express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Word. The Word is not merely informative but personal in that it is also a cause of the changes of emotion and will in Christians. It enables us to confess our faith both in theoretical and in practical levels. It can give Korean churches a good insight enough to find a true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펴는 글
      • 1. Ursinus의 요리문답에 나타난 교회의 표지
      • 2. Ursinus의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 이해
      • 3. Ursinus의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과 세례
      • I. 들어가는 말
      • II. 펴는 글
      • 1. Ursinus의 요리문답에 나타난 교회의 표지
      • 2. Ursinus의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 이해
      • 3. Ursinus의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과 세례
      • III.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