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 Condition and satisfaction on using the aid rehabilitative tools and level of daily living independ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9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policies relating the provision and application of rehabilitative aid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xamine their level of independence in terms of daily living activities.  A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policies relating the provision and application of rehabilitative aid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xamine their level of independence in terms of daily living activities.  A total of 188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Gyeongsang-Do was surveyed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 of rehabilitative aids. The level of daily living independence of the participants was also examined.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95.2%) responded that they used wheelchairs to move more frequently than other rehabilitative aid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ed by some variables like sex, age level,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in terms of time and location of use and types of the wheelchairs. The participants heavily relied upon the wheelchairs to move; they used the wheelchairs both in and out of buildings and 13.8% of them used the wheelchairs all day while 21.3% used the wheelchairs more than 12 hours a day. These result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adjust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wheelchair access and extend the provision of wheelchairs that are more functional in all the areas of daily living activitie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 of the rehabilitative aids was not so high in the areas of user training, function, and the qualities, whereas the satisfaction level of policy was relatively low; 80% of the respondents rated the policy as between not satisfactory and the normal range. This tendencies were very obvious to the respondents aged more than 40. These results suggested systematic efforts to improve the user training, function, and the quality of wheelchairs.
      Finally, the independenc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elf-help was very low ranged between 20%~40%.  This tendency was very clear to the low age level group and the people who had cerebral pals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tend the welfare supports and the provision and training of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ve aids in order to improve the independence level of daily living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기구의 공급 및 적용의 보다 효율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의 일상생활 자립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상지역에 거주하고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기구의 공급 및 적용의 보다 효율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의 일상생활 자립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N=188명)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그들의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 및 만족도,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자립도에 관하여 조사하고, 기초통계량(빈도, 백분율) 및 x2검증 등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체장애인은 전반적으로 상하지 보조기 보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비율(95.2%)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휠체어 사용은 성별, 연령별, 장애등급별 등의 변인에 따라 사용시간, 사용장소, 사용 휠체어의 종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 휠체어의 사용은 실내외에 모두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 일뿐만 아니라 사용 시간에 있어서도 하루 종일(13,8%) 및 12시간 이상(21.3%)에서 약 3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지체장애인의 높은 휠체어 의존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편리한 기능성 휠체어의 공급 확대 및 휠체어 접근성을 고려한 환경 수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재활보조기구에 대한 지체장애인의 만족도는 사용훈련, 기능, 품질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에서 불만족 수준에 걸쳐 약 80%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40대 이상의 고연령대에서 더욱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결과는 휠체어 사용자의 연령대를 고려한 휠체어 사용훈련, 기능, 품질, 그리고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 및 지원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의 완전 자립도는 목욕, 식사, 용변처리, 착탈의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 영역에서조차 약 20-4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리고 뇌병변장애인일수록 더욱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자립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재활복지기구의 공급 및 훈련의 필요성과 함께 복지차원의 지원을 더욱 다양하게 확대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체장애인의 자립도와 자립생활을 위한 서비스 지원에 관한 연구" 9 (9): 81-110, 2005

      2 "지체부자유학생의 물리적 환경과 교육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45 : 155-171, 2005

      3 "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http://www.kaoas.or"

      4 "지체부자유아교육 지침서" 1982

      5 "지체부자유아 심리"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1

      6 "지체부자유아 교육연구의 최근 동향 중도 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9 (9): 137-155, 2002

      7 "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5

      8 "지체부자유 교수-학습 모델" 국립특수교육원 1998

      9 "지체 부자유아 심리이해" 학지사 2001

      10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3

      1 "지체장애인의 자립도와 자립생활을 위한 서비스 지원에 관한 연구" 9 (9): 81-110, 2005

      2 "지체부자유학생의 물리적 환경과 교육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45 : 155-171, 2005

      3 "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http://www.kaoas.or"

      4 "지체부자유아교육 지침서" 1982

      5 "지체부자유아 심리"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1

      6 "지체부자유아 교육연구의 최근 동향 중도 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9 (9): 137-155, 2002

      7 "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5

      8 "지체부자유 교수-학습 모델" 국립특수교육원 1998

      9 "지체 부자유아 심리이해" 학지사 2001

      10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3

      11 "중복지체부자유아 치료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3

      12 "중복지체부자유아 치료 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2

      13 "전국 장애인 등급별 유형별 등록현황" 보건복지부 2005

      14 "재활서비스 체계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국립재활원 2001

      15 "재활보조기구 사용실태와 그 문제점에 관한 연구" 2002

      16 "재활보조기구 대지인의 사용자 인격 측면에 관한 연구" 1 (1): 51-62, 2003

      17 "장애학 입문" 福村出版 1998

      18 "장애자 백서" 1982

      19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욕구에 관한 고찰" 8 : 275-298, 2001

      20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적 접근 방안" 33 : 1-28, 1998

      21 "장애인복지법" 보건복지부 1999

      22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의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2004

      23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공급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04

      24 "장애인 보장구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55) : 2001

      25 "장애아심리 및 연구방법" コレル社 1998

      26 "자립활동의 지도" 敎育出版 2000

      27 "일반학교에서의 장애학생 지원체제 질적교육으로의 전환" 경기: 국립특수교육원 1997

      28 "우리나라 보장구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29 "발달장애백서" 일본문화과학사 2002

      30 "미국에서 보조도구를 판매하는 곳들"

      31 "미 연방정부에서 승인한 장애인의 접근성( 건축물, 교통수단)을 위한 독립연방Agencyhttp://www.access-board.gov"

      32 "뇌성마비아의 발달과 지도" 福村出版(일본) 1999

      33 "뇌성마비 핸드북" 의치약출판주식회사(일본) 2002

      34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의 유니버설 디자인 센터 : http://www.design.ncsu.edu:8120"

      35 "국내 재활공학연구소 : http://www.korec.re.kr/"

      36 "경기도 장애인 종합복지관 부설, 재활공학 서비스연구지원 센터http://www.atrac.or.kr"

      37 "http://www.sammonspreston.com"

      38 "http://www.rjcooper.com"

      39 "http://www.prentrom.com"

      40 "Transition portfolio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 Corwin press, Inc. 2003

      41 "The effect of perceived duration of physical disability on attitudes of school children toward friendship and helping" 134 (134): 343-345, 2000

      42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settings" MA: Allyn and Bacon 2001

      43 "Teaching individuals with physical, health, or multiple disabilities" NJ: Prentice-Hall 2001

      44 "Teaching Individuals with Physical, Health, or Multiple Disabilities, 4th Ed" NJ: Merrill/Prentice Hall 2001

      45 "TASH(Technical Aids and Systems for the Handicapped)http://www.tashnt.com"

      46 "Center for Universal Desig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http://www.design.ncsu.edu/cud"

      47 "Assessment in specisl and inclusive education" New York; Houghton Mifflin Co 2004

      48 "2005년도 장애인 실태 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