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의 장애인복지 정책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48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 차원에서 북한의 장애인복지 정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서술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김정은시대 북한 장애인복지정책 동향에 대해 언론보도, 국제교류, 서비스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북한의 장애인 정책을 법령, 대상, 급여, 재원을 제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현시점에서 남북한 장애인복지 지원과 교류, 향후 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무엇보다 정책적 차원에서 남한은 북한 장애인복지의 정상화, 선진화, 개방화를 중심으로 접근해야한다. 즉, ① 북한 장애인복지의 정상화, 선진화, 개방화를 통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비정치화 유도, ② 보편적 서비스 보장을 통한 장애인 차별 배제, 복지권, 건강권, 교육권, 인권, 이동권 보장 등 질적 서비스 향상 조력, ③ 장애인서비스 시설의 현대화 등 양적 서비스 향상을 유도하는 데 지원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 차원에서 북한의 장애인복지 정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서술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김정은시대 북한 장애인복지정책 동향에 대해 언...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 차원에서 북한의 장애인복지 정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서술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김정은시대 북한 장애인복지정책 동향에 대해 언론보도, 국제교류, 서비스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북한의 장애인 정책을 법령, 대상, 급여, 재원을 제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현시점에서 남북한 장애인복지 지원과 교류, 향후 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무엇보다 정책적 차원에서 남한은 북한 장애인복지의 정상화, 선진화, 개방화를 중심으로 접근해야한다. 즉, ① 북한 장애인복지의 정상화, 선진화, 개방화를 통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비정치화 유도, ② 보편적 서비스 보장을 통한 장애인 차별 배제, 복지권, 건강권, 교육권, 인권, 이동권 보장 등 질적 서비스 향상 조력, ③ 장애인서비스 시설의 현대화 등 양적 서비스 향상을 유도하는 데 지원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rth Korea's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on a macro level. Therefore, the analysis subject and description order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reviews the trends of welfare policies of North Korean disabled people in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media reports, international exchanges, and service improvement cases. Second, the policy of the disabled people in North Korea is examined through laws, beneficiaries, benefits and funds. Finally, based on this, it proposes the support and exchange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t the present time and the future tasks for the two Ko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uth Korea should approach the welfare of North Korean disabled people with a focus on normalization, advancement, and opennes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hrough ① non-politicaliza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through normalization, advancement, and openness, ②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services such as exclusion of discrimination through universal service assurance, welfare rights, health rights, education rights, human rights, and mobility rights, ③ the improvement of quantitative services such as moderniz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North Ko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rth Korea's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on a macro level. Therefore, the analysis subject and description order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reviews the trends of welfare policies of North K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rth Korea's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on a macro level. Therefore, the analysis subject and description order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reviews the trends of welfare policies of North Korean disabled people in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media reports, international exchanges, and service improvement cases. Second, the policy of the disabled people in North Korea is examined through laws, beneficiaries, benefits and funds. Finally, based on this, it proposes the support and exchange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t the present time and the future tasks for the two Ko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uth Korea should approach the welfare of North Korean disabled people with a focus on normalization, advancement, and opennes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hrough ① non-politicaliza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through normalization, advancement, and openness, ②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services such as exclusion of discrimination through universal service assurance, welfare rights, health rights, education rights, human rights, and mobility rights, ③ the improvement of quantitative services such as moderniz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North Ko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