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과 수행 유형 분석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cess-focused assessment policy practice and implementation typ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을 탐색해 그 수행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과정중심평가
      대처 사례를 수업, 평가수행, 평가결과 처리 단계에 따라 유목화해 과정중심평가는 교육과정 운영 전
      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견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평가형식의 변화, 수업의 변화를 기준으로 자
      료를 분석해 과정중심평가 실행 유형을 구분하였다. ‘수용’ 유형에는 평가의 변화가 수업의 변화를 견
      인한 사례들을, ‘순응’ 유형에는 평가 형식, 평가 결과의 피드백에 변화가 있었으나 별도의 시간을 할애
      한 평가나 평가 결과를 더 중시하는 사례들을 분류했다. ‘고수’ 유형에는 진도나가기 수업과 결과중심
      평가를 중시하는 사례들을, ‘타협’ 유형에서는 수업에 변화가 있었지만 평가 재량권을 충분히 발휘하
      지 못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첫째, 교수평 일체화 수행에 필요한 실질적 지
      식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오해를 보정하는 연수를 제안하였다. 둘째, 수업과 평가의 통합에 적합하지
      않은 학교 평가규정의 수정과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을 탐색해 그 수행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을 탐색해 그 수행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과정중심평가
      대처 사례를 수업, 평가수행, 평가결과 처리 단계에 따라 유목화해 과정중심평가는 교육과정 운영 전
      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견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평가형식의 변화, 수업의 변화를 기준으로 자
      료를 분석해 과정중심평가 실행 유형을 구분하였다. ‘수용’ 유형에는 평가의 변화가 수업의 변화를 견
      인한 사례들을, ‘순응’ 유형에는 평가 형식, 평가 결과의 피드백에 변화가 있었으나 별도의 시간을 할애
      한 평가나 평가 결과를 더 중시하는 사례들을 분류했다. ‘고수’ 유형에는 진도나가기 수업과 결과중심
      평가를 중시하는 사례들을, ‘타협’ 유형에서는 수업에 변화가 있었지만 평가 재량권을 충분히 발휘하
      지 못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첫째, 교수평 일체화 수행에 필요한 실질적 지
      식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오해를 보정하는 연수를 제안하였다. 둘째, 수업과 평가의 통합에 적합하지
      않은 학교 평가규정의 수정과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derive the implementation typ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n the basis of
      categorization of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class, evalu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result processing stages, it is confirmed that process-focused assessment led
      to many changes through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n, for the
      purpose of making its implementation types,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based on the
      change in the evaluation format and the change in the class. In the 'acceptance' type
      cases, where a change in an evaluation leads to a change in the class, are classified, and
      in the ‘compliance’ type cases, a change in the evaluation format and feedback on the
      evaluation result, are observed. But, in this type, the evaluation result emphasizes or a
      test with allotted time is appreciated. In the ‘adherence’ type, cases in which
      textbook-focused class and result-oriented evaluation are presented, and in the
      ‘compromise’ type, there are changes in the class, but teachers could not fully conduct
      their evaluation authority. This study proposes a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offers the
      practical knowledge required for the integration between class and evaluation and
      corrects misunderstandings ab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vise school evaluation regulation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integration of class-evaluation and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mathematics
      education process-focused assessment.
      번역하기

      This study tries to derive the implementation typ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n the basis of cate...

      This study tries to derive the implementation typ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n the basis of
      categorization of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class, evalu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result processing stages, it is confirmed that process-focused assessment led
      to many changes through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n, for the
      purpose of making its implementation types,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based on the
      change in the evaluation format and the change in the class. In the 'acceptance' type
      cases, where a change in an evaluation leads to a change in the class, are classified, and
      in the ‘compliance’ type cases, a change in the evaluation format and feedback on the
      evaluation result, are observed. But, in this type, the evaluation result emphasizes or a
      test with allotted time is appreciated. In the ‘adherence’ type, cases in which
      textbook-focused class and result-oriented evaluation are presented, and in the
      ‘compromise’ type, there are changes in the class, but teachers could not fully conduct
      their evaluation authority. This study proposes a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offers the
      practical knowledge required for the integration between class and evaluation and
      corrects misunderstandings ab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vise school evaluation regulation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integration of class-evaluation and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mathematics
      education process-focused assess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과
      • 수행 유형 분석
      • Ⅰ.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과
      • 수행 유형 분석
      • Ⅰ.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 중심 평가 운영
      • V.과정중심평가 수행 유형
      • VI.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