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우주개벽신화 속 혼돈과 빅뱅이론의 유사성 = 中國宇宙開闢神話裏混沌和大霹靂(Big Bang)說之類似性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3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화에는 문자가 생겨나 역사가 기록되기 오래전부터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아주 오래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화를 통해 세계의 문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의 근간을 탐구할 수...

      신화에는 문자가 생겨나 역사가 기록되기 오래전부터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아주 오래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화를 통해 세계의 문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의 근간을 탐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신화에 내재된 이야기들이 표면적으로는 비과학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화를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허황된’ 이야기들의 나열이라고 여긴다. 이것은 아직까지 신화에 담겨져 있는 내용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나 신화학과 과학의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생성된 편견과 오해이다. 우주만물은 혼돈과 같은 카오스의 상태를 지나 빅뱅의 순간을 거쳐 우주 대폭발과 같은 순간적 충격에 의해서 반고가 알을 깨고 나오면서 음과 양의 기운이 외부로 방출된 것처럼, 우주가 팽창을 하게 된다. 빅뱅에서 결국 어느 시점, 반고신화에서 말하는 1만8천 년 후에는 지구와 같은 별이 생성되고 천지만물이 생겨나며 이후 인류가 출현하게 된다. 즉, 신화의 내용은 황당무계한 허구의 사실만을 나열한 것은 아니라 인류가 당시의 지식수준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자연 현상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지혜의 총체이다. 신화는 일상적인 문학작품이 아니라 한 민족 정신문화의 유아기에서 아동기를 거치며 인간으로써 불가항력적인 환경과 그로 인해 직면해야 했던 운명적 상황에 대한 나름대로의 설명을 정리해 놓은 기록물이다. 따라서 신화를 원시인류가 기본적으로 당시의 모든 지식을 총동원하여 개별적인 사물과 현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만들어낸 해답임을 인지하고, 중국 문헌 속에 나타난 창세와 관련된 ‘혼돈’의 의미와 현대과학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 우주의 신비를 살펴보는 노력은, 신화의 창작 원리(상상력 또는 신화사유)를 찾아내고, 나아가 과거 인류가 가지고 있던 지혜를 통해 우리가 찾지 못하는 우주와 자연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탐구의 단초를 제공받게 될 것이라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人類生來就有了好奇心, 就有求知的欲望, 探索宇宙和人類誕生之神秘. 世界上大部分國家或民族擁有自己的創世神話, 可是中國的創世神話過去給人的印象似乎不多. 但是現在看來, 中國的創...

      人類生來就有了好奇心, 就有求知的欲望, 探索宇宙和人類誕生之神秘. 世界上大部分國家或民族擁有自己的創世神話, 可是中國的創世神話過去給人的印象似乎不多. 但是現在看來, 中國的創世神話不但豊富, 而且還有內容上接近現代科學硏究成果物. 不論任何發展階段上的民族, 一定有代表他們的宇宙觀和人類起源觀(創世神話). 中國是一個多民族的國家, 許多小數民族都擁有了各自的創世神話. 特別漢文古籍中的創世神話是, 『三五歷記』所記載的‘盤古開天地’與『述異記』中的‘盤古之化生萬物’; 『山海經』中關於‘天柱和天梯神話’; 『淮南子』中的‘女?補天’和『風俗通』中的‘女?搏黃土造人’; 『獨異志』中的‘伏羲、女?兄妹結婚’等等. 創世神話特別是宇宙起源神話, 産生較晩, 因而神話內容中融化了當時人類對宇宙或大自然之觀念. 其中‘混沌’之觀念?現代天文學家喬治·加墨(George Gamow)提出形成宇宙的 「大霹靂」理論類似. 「大霹靂」理論是我們生存的宇宙在一次大霹靂後, 經過暴漲和相變的過程將超巨大的能量轉變成輻射和粒子, 終於形成了目前的宇宙. 此大霹靂的理論依據是 「從一點爆炸」、「宇宙膨脹」和「宇宙背景輻射」等三個論點. 盤古孕育在黑暗‘混沌’的大鷄蛋裏, 經過了1萬8千年, 有一天忽然破裂了鷄蛋, 其中有些輕而淸的東西??上昇而變成了天, ?外有些重而濁的東西沈沈下降而變成了地. 所以, 中國宇宙開闢神話傳說中的‘混沌’意象代表和傳達的是原始先民對理想生活狀態的想像和憧憬, 老子和莊子正是在這個意義上重新解析. 中國創世神話中有關‘混沌’的內容不但用以當時人類智慧解剖宇宙開闢和天地創造之神秘, 還似乎現代科學發現的宇宙誕生秘密之硏究結果. 宇宙是什磨時候誕生的?是즘磨誕生的?타又是如何演變成今天的浩瀚無際??這些在니我心目中的疑問, 一直到兩千多年前, 中國人已經以神話的方式而告訴我們了.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三國徐整, "禮文類聚 제1권"

      2 蕭兵, "老子的文化解讀: 性與神話學之硏究" 湖北人民出版社 1994

      3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김영사 2010

      4 존 배로우, "우주의 기원" 동아출판사 1995

      5 마르셀 데티엔, "신화학의 창조" 이끌리오 2001

      6 아리안 에슨, "신화와 예술" 청년사 2002

      7 이상성, "빅뱅, 수퍼 노바 그리고 종말" 9 : 2003

      8 송정화, "비교신화적 각도에서 본 동서양 창조신화에 나타난 여성적 생명원리 -중국 신화와 그리스 신화에 나타난 혼돈, 구멍, 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회 (17) : 20-47, 2005

      9 스티븐 호킹,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까치글방 1998

      10 김기석, "과학과 종교의 대화: 빅뱅 우주론과 창조신앙" 10 : 2004

      1 三國徐整, "禮文類聚 제1권"

      2 蕭兵, "老子的文化解讀: 性與神話學之硏究" 湖北人民出版社 1994

      3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김영사 2010

      4 존 배로우, "우주의 기원" 동아출판사 1995

      5 마르셀 데티엔, "신화학의 창조" 이끌리오 2001

      6 아리안 에슨, "신화와 예술" 청년사 2002

      7 이상성, "빅뱅, 수퍼 노바 그리고 종말" 9 : 2003

      8 송정화, "비교신화적 각도에서 본 동서양 창조신화에 나타난 여성적 생명원리 -중국 신화와 그리스 신화에 나타난 혼돈, 구멍, 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회 (17) : 20-47, 2005

      9 스티븐 호킹,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까치글방 1998

      10 김기석, "과학과 종교의 대화: 빅뱅 우주론과 창조신앙" 10 : 2004

      11 "道德經, 列子ㆍ天瑞"

      12 김현수, "道家哲學의 混沌과 昏亂" 동서사상연구소 (12) : 1-32, 2011

      13 何新, "諸神的起源―中國遠古太陽神崇拜" 光明日報出版社 1996

      14 朱任飛, "莊子神話的破譯與解析" 東北師範大學出版社 1999

      15 戰國莊周, "莊子·應帝王"

      16 謝選駿, "神話與民族精神" 山東文藝出版社 1986

      17 茅盾, "神話研究" 百花文藝出版社 1981

      18 前漢淮南王劉安纘, "淮南子·精神訓"

      19 屈原, "楚辭·天問"

      20 "山海經·西山經次三經"

      21 정재서, "中國神話의 歷史와 構造: 盤古神話를 中心으로" 11 : 2000

      22 玄珠, "中國古代神話" 里仁書局 1982

      23 張光直, "中國創世神話之分析與古史硏究" 中央硏究院民族學硏究所 8 :

      24 陶陽, "中國創世神話" 上海人民出版社

      25 김홍겸, "中國上古神話與民間信仰" 東海大學校 1995

      26 "http://ko.wikipedia.org/wiki/우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ongyang Kojon yonguso of HANSEO UNIVERSITY -> INSTITUTE FOR EASTERN CLASS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2 1.40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