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장본풀이>에 담긴 수수께끼와 연행방식 고찰 -지장과 새의 의미, 연행방식의 특징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riddle and Performing form of <Jijangbonpuri> -In the focus on the meaning of Jijang and the bird, the character of Performing 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2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장본풀이는 신의 내력담을 노래하는 제주도의 무가 중 하나로 지장아기씨라는 여인의 비극적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본풀이는 주로 죽은 조상의 영혼을 천도하는 시왕맞이에서 불...

      지장본풀이는 신의 내력담을 노래하는 제주도의 무가 중 하나로 지장아기씨라는 여인의 비극적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본풀이는 주로 죽은 조상의 영혼을 천도하는 시왕맞이에서 불려진다. 제주도굿에서 불리는 여느 본풀이들이 심방 한 사람에 의해 리듬과 멜로디를 자유롭게 운용하며 말과 노래를 병행하는 독창으로 진행하는 것과 달리 규칙적인 틀을 가진 노래로 불리며 심방의 노래를 악사들이 그대로 반복하는 가창방식을 보여준다. 이같은 점에서 지장본풀이는 다른 지방의 만세받이, 바라지창과 비슷한 면모를 보이고 있어 상호 간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리라 여겨진다. 지장본풀이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는 것은 지장이 죽은 뒤 새로 환생했다는 부분이다. 이 새는 제주도굿에서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왕맞이에서 내쫓김을 당하는데, 이글에서는 과연 이 부정한 새가 지장의 화신인가 하는 점과, 부정한 것이라고 해 무조건 내쫓김을 당하는가 하는 두 가지 의문이다. 최근까지 전개된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새는 지장의 화신이며 부정한 것으로 여겨 내쫓는 대상으로 성격을 파악해왔다. 그러나 이글에서는 2008년에 채록된 두 편의 새로운 자료에 근거해 지장과 새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하고 있다. 새로운 자료에 의하면 지장은 사후(死後)에 새로 환생한 것이 아니라 돌부처로 환생해 서천꽃밭에 좌정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돌부처에게 날아들어 해코지를 하는 새를 내쫓아내자는 것이 지장본풀이가 의례의 전후맥락에서 지니는 의미인 셈이다. 이글에서는 최근의 채록자료에 근거해 지장과 새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과 더불어 지장본풀이가 지닌 연행방식의 특징을 비교적 후대의 산물로 바라본다 그를 위해 다른 지방의 유사한 사례와 비교해 내용과 형식이 어떤 경로를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jangbonpuri> which has a tragic living story of a woman, Jijang, is one of Shaman Songs singing an account of one`s lfe. <Jijangbonpuri> is frequency sung in Siwangmaji leading death ancestor to the Heavenly way. JejudoGut is different ...

      <Jijangbonpuri> which has a tragic living story of a woman, Jijang, is one of Shaman Songs singing an account of one`s lfe. <Jijangbonpuri> is frequency sung in Siwangmaji leading death ancestor to the Heavenly way. JejudoGut is different to any Bonpuri, which a shaman originally performs in singing and a talk applicating freely rhythm and melody, and shows a singing pattern in which bandsmen play regularly and repeatedly a Shaman`s song to itself. In view of this pattern, <Jijangbonpuri> is so similar to the other local Mansebaji, Barajichang that they seem to be effected in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ly interested part of <Jijangbonpuri> is that Jijang has given another birth as a bird after she is dead. The bird is regarded as a uncleanly thing in JejudoGut so that it was expelled in Siwangmaji. In this article, there are two questions, "whether the uncleanly bird is truly Jijang" and "whether the uncleanly ting is absolutedly expelled". The resent pre-studies explain that the bird is Jijang`s avatar and understand it`s expelled as a uncleanly thing. However, this article based on two new extracted materials in 2008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ijang and the bird in a new way. The new materials explain that Jijang, after death, isn`t an incarnation of a bird but a stone of (image of) Buddha sitting in Seo-chon flawer garden. The original meaning of <Jijangbonpuri>, looking at it before and behind, is to expel the bird doing harm toward the Buddha, Jijang`s avatar. This article based on the recent extracted materials doesn`t only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ijang and the bird in a new way but also researches in regarding the character of <Jijangbonpuri>`s Performing form as a relatively product of the future generation how to turn into the present <Jijangbonpuri> to itself through what channel, comparing the other local similar instances in letter and in spir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태한, "황해도굿의 무가-만세받이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16) : 7-29, 2008

      2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39-295, 2007

      3 진성기,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61-165, 1991

      4 문무병, "제주도 큰굿자료" 제주전통문화연구소 641-645, 1994

      5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104-109, 2005

      6 문무병, "제주도 무속신화" 칠머리당 영등굿 보존회 63-308, 1998

      7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164-166, 2001

      8 김헌선, "제주도 <지장본풀이>의 가창방식, 신화적 의미, 제의적 성격 연구-특히 『시왕맞이』의 <지장본풀이>를 예증삼아-" 한국무속학회 (10) : 96-131, 2005

      9 이영금, "전북지역 ‘오구 씨끔굿’의 공연 방식" 한국무속학회 (16) : 289-318, 2008

      10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이용옥 심방 본풀이" 보고사 216-227, 2008

      1 홍태한, "황해도굿의 무가-만세받이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16) : 7-29, 2008

      2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39-295, 2007

      3 진성기,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61-165, 1991

      4 문무병, "제주도 큰굿자료" 제주전통문화연구소 641-645, 1994

      5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104-109, 2005

      6 문무병, "제주도 무속신화" 칠머리당 영등굿 보존회 63-308, 1998

      7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164-166, 2001

      8 김헌선, "제주도 <지장본풀이>의 가창방식, 신화적 의미, 제의적 성격 연구-특히 『시왕맞이』의 <지장본풀이>를 예증삼아-" 한국무속학회 (10) : 96-131, 2005

      9 이영금, "전북지역 ‘오구 씨끔굿’의 공연 방식" 한국무속학회 (16) : 289-318, 2008

      10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이용옥 심방 본풀이" 보고사 216-227, 2008

      11 신연우, "서울 굿의 타령?만수받이?노랫가락의 관계" 한국무속학회 11 (11): 267-288, 2006

      12 김영돈,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3호" 577-586, 1965

      13 이수자, "무속신화 「지장본풀이」의 祭儀的 기능과 意義"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소 10 : 13-14, 1989

      14 강정식, "동복 정병춘댁 시왕맞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400-405, 2008

      15 좌혜경, "e-book 민요시학연구" 한국문학도서관 243-244,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5-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KCI등재
      2017-06-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0.91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