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적정위치 선정 연구 - 호남·제주 권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Optimal Site Selection for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the Case of Honam and Jeju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8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 산불, 산사태 등의 산림재해방지를 위해 호남과 제주의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입지를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적정위치 선...

      본 연구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 산불, 산사태 등의 산림재해방지를 위해 호남과 제주의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입지를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적정위치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항목들을 공간자료화한 후 공간 분석을 통해서 후보지를 선정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정량적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인 적정위치를 선정하였다. 공간자료는 과거 10년간의 산불발생 정보와 과거 7년간의 산사태위험등급 정보, 산림청의 국사경계도, 국유지의 임도와 등산로 그리고 기상청의 자동기상관측소(AWS)와 산림청의 산악기상관측소 위치정보, 3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델(DEM)을 사용하였다. 공간분석은 산불과 산사태의 1-2등급의 위험지에 대한 추출 및 중첩 분석, 산림청 국유지 내에 100m 버퍼를 준 임도와 등산로의 접근성 분석, 기상관측소의 2.5km 버퍼를 준 중복성 분석, 산악기상관측 입지환경 조성을 위한 고도 200m 이상의 지형특성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중첩분석을 수행하였다. 공간분석 결과, 총 159개의 중첩 폴리곤이 추출되었고 구글어스 등을 활용하여 능선과 정상부에 총 64개의 적정위치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지는 기상관측환경, 접근성, 통신 및 전력공급 환경, 기상관측소의 중복성에 대한 정량적인 현장 평가를 통해서 총점이 70점 이상인 지점을 `적합`으로 판정하여 고득점 순으로 산악기상관측망의 적정위치 26개소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적정위치 선정 기법에 의해 구축된 산악기상관측망의 기상정보는 향후 산불, 산사태 등과 같은 산림재해위험 예측력의 향상과 산림 복잡 지형에 대한 미기상 연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is an important ingredient for several climatological and forest disaster prediction studies. In this study, we select the optimal sites for AMOS in the mountain areas of Honam and Jeju in order...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is an important ingredient for several climatological and forest disaster prediction studies. In this study, we select the optimal sites for AMOS in the mountain areas of Honam and Jeju in order to prevent forest disasters such as forest fires and landslides. So, this study used spatial dataset such as national forest map, forest roads, hiking trails and 30m DEM(Digital Elevation Model) as well as forest risk map(forest fire and landslide), national AWS information to extract optimal site selection of AMOS. Technical methods for optimal site selection of the AMOS was the firstly used multifractal model, IDW interpolation, spatial redundancy for 2.5km AWS buffering analysis, and 200m buffering analysis by using ArcGIS. Secondly, optimal sites selected by spatial analysis were estimated site accessibility, observatory environment of solar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field survey. The threshold score for the final selection of the sites have to be higher than 70 points in the field assessment. In the result, a total of 159 polygons in national forest map were extracted by the spatial analysis and a total of 64 secondary candidate sites were selected for the ridge and the top of the area using Google Earth. Finally, a total of 26 optimal sites were selected by quantitative assessment based on field survey. Our selection criteria will serv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MOS network for the best observations of weather conditions in the national forests. The effective observation network may enhance the mountain weather observations, which leads to accurate prediction of forest disas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영, "한국의 기상관측소 밀도 분석" 국토지리학회 47 (47): 47-59, 2013

      2 박창현, "지리산 부근 집중호우 발생시 하층제트와 지형의 영향" 한국기상학회 39 (39): 441-458, 2003

      3 이시영, "산불 방지를 위한 산악기상관측시스템 구축방안" 한국농림기상학회 8 (8): 36-44, 2006

      4 서성규, "멀티프랙탈 탈경향요동분석을 이용한 강수량, 풍속과 온도의 변동성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물리학회 63 (63): 872-881, 2013

      5 우충식,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전국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지도 개발" 한국방재학회 14 (14): 117-123, 2014

      6 Chung, S. R., "Weather and climatic environment of mountains" Press of one-top Inc 314-, 1992

      7 Korea Forest Service, "The annual report of landslide statistics" Korea Forest Service 2013

      8 Korea Forest Service, "The annual report of forest fire statistics" Korea Forest Service 2015

      9 Kim, J. H., "Study on mechanisms and orographic effect for the springtim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16 (16): 67-83, 2006

      10 "Onnara Real Estate Information Portal"

      1 김선영, "한국의 기상관측소 밀도 분석" 국토지리학회 47 (47): 47-59, 2013

      2 박창현, "지리산 부근 집중호우 발생시 하층제트와 지형의 영향" 한국기상학회 39 (39): 441-458, 2003

      3 이시영, "산불 방지를 위한 산악기상관측시스템 구축방안" 한국농림기상학회 8 (8): 36-44, 2006

      4 서성규, "멀티프랙탈 탈경향요동분석을 이용한 강수량, 풍속과 온도의 변동성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물리학회 63 (63): 872-881, 2013

      5 우충식,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전국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지도 개발" 한국방재학회 14 (14): 117-123, 2014

      6 Chung, S. R., "Weather and climatic environment of mountains" Press of one-top Inc 314-, 1992

      7 Korea Forest Service, "The annual report of landslide statistics" Korea Forest Service 2013

      8 Korea Forest Service, "The annual report of forest fire statistics" Korea Forest Service 2015

      9 Kim, J. H., "Study on mechanisms and orographic effect for the springtim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16 (16): 67-83, 2006

      10 "Onnara Real Estate Information Portal"

      11 Kantelhardt, J. W., "Multifractal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316 (316): 87-114, 2002

      12 Ware, C., "Memory intensive statistical algorithms for multibeam bathymetric data" 17 (17): 985-993, 1991

      13 Mandelbrot, B. B., "How long is the coast of Britain? Statistical self-similarity and fractional dimension" 156 (156): 636-638, 1967

      14 Won, M. S.,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nd strategies of activating information sharing" 3-19, 2015

      15 Paladin, G., "Anomalous scaling laws in multifractal objects" 156 (156): 147-225, 1987

      16 Shepard, D.,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 spaced data" 517-524, 1968

      17 Bayraktar, H., "A kriging-based approach for locating a sampling site-in the assessment of air quality" 19 (19): 301-305, 2005

      18 원명수, "1990년대와 2000년대 건조계절의 산불발생 시공간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150-16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0.96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