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남편 또는 아내가 편지의 형태로 지은 가사를 ‘상장가류(上狀歌類) 가사’로 명명하고 이들 작품에 나타난 전통 혼속의 특징과 부부 간 의사소통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93073
정인숙 (성균관대학교)
2022
Korean
규방가사 ; 상장가류 가사 ; 편지 ; 부부 ; 전통 혼속 ; 감정 표출 ; 의사소통 ; Gyubanggasa ; Sangjangga-type of gasa ; letter ; husband and wife ; traditional marital custom ; expression of emotion ; communi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263-295(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남편 또는 아내가 편지의 형태로 지은 가사를 ‘상장가류(上狀歌類) 가사’로 명명하고 이들 작품에 나타난 전통 혼속의 특징과 부부 간 의사소통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
본고에서는 남편 또는 아내가 편지의 형태로 지은 가사를 ‘상장가류(上狀歌類) 가사’로 명명하고 이들 작품에 나타난 전통 혼속의 특징과 부부 간 의사소통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통시대에 부부 간의 은밀한 감정 표현이 쉽지 않았던 점을 생각할 때 상장가류 가사는 남편과 아내의 속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장가류 가사에는 전통적으로 관행되던 ‘서류부가혼(壻留婦家婚)’의 특징이 발견된다. 신부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우귀(于歸) 전에 신랑은 처가에서 지내는데 우귀가 늦게 이뤄질 경우 신랑은 본가와 처가를 오고 갔고 부부가 떨어져 지내는 시기에 편지 형태로 가사를 주고받은 것이 바로 상장가류 가사이다. 남편의 재행(再行), 삼행(三行)을 고대하는 모습이 여러 작품에서 포착되고 독수공방하는 아내를 위로하는 남편의 답장도 확인된다. 우귀 전에 신부집에서 종종 신랑집에 옷이나 음식 등을 보내던 풍습이나 혼례 첫날밤의 풍습 등도 작품을 통해 확인된다.
상장가류 가사는 서로의 안부를 전하는 실용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부부 간의 다양한 감정을 표출하는 창구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움, 원망, 불안감, 걱정, 염려, 애증, 억울함 등의 여러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고 상대방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모습이 포착된다. 너와 나의 마음이 다르지 않음을 확인시켜 줌으로써 부부의 신뢰를 높이고 진심이 통하도록 노력하는 면모도 확인된다. 그런 의미에서 상장가류 가사는 서로의 속내를 드러내고 이해하고 포용하면서 한층 성숙한 부부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의미부여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주, "「雜錄」과 「反嘲花煎歌」에 대하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7 : 37-51, 1980
2 윤병화, "혼례의 양상과 절차 고찰" 국제차문화학회 42 : 163-186, 2018
3 박혜인, "한국의 전통혼례 연구-서류부가혼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4 박민일, "처음으로 발굴된 강원도 규방가사-"남매가"" 강원대학교강원문화연구소 9 : 225-243, 1989
5 姜雪今, "조선조 혼례의 친영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종혁, "조선의 관혼상제" 도서출판 중심 2002
7 황문환, "조선시대의 한글편지, 언간" 역락 2015
8 권순회, "조롱 형태의 놀이로서의 규방가사" 민족문화연구원 (42) : 105-143, 2005
9 여증동, "전통혼례" 문음사 1996
10 정인숙, "윷놀이 관련 규방가사의 내용적 특징과 여성문화적 의미" 국제어문학회 (86) : 235-266, 2020
1 이원주, "「雜錄」과 「反嘲花煎歌」에 대하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7 : 37-51, 1980
2 윤병화, "혼례의 양상과 절차 고찰" 국제차문화학회 42 : 163-186, 2018
3 박혜인, "한국의 전통혼례 연구-서류부가혼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4 박민일, "처음으로 발굴된 강원도 규방가사-"남매가"" 강원대학교강원문화연구소 9 : 225-243, 1989
5 姜雪今, "조선조 혼례의 친영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종혁, "조선의 관혼상제" 도서출판 중심 2002
7 황문환, "조선시대의 한글편지, 언간" 역락 2015
8 권순회, "조롱 형태의 놀이로서의 규방가사" 민족문화연구원 (42) : 105-143, 2005
9 여증동, "전통혼례" 문음사 1996
10 정인숙, "윷놀이 관련 규방가사의 내용적 특징과 여성문화적 의미" 국제어문학회 (86) : 235-266, 2020
11 "오늘의 가사문학 2017년 여름호(제13호)"
12 정인숙, "여성의 자기표현 가사와 소통의 의미 - 노년 여성의 외로움, 병든 몸,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학회 49 : 143-179, 2020
13 최규수, "아버지 作 誡女歌의 變移樣相과 詩歌敎育的 含意"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323-347, 2008
14 정복남, "서부경남지방의 전통혼례에 관한 민속학적 연구-1920∼1950년대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8 (8): 871-886, 2000
15 박경주, "반/조 화전가 계열 가사에 대한 고찰-남녀의 성역할에 대한 차별적 인식에주목하여-" 국문학회 3 : 253-277, 1999
16 白淳哲, "문답형 閨房歌辭의 창작환경과 지향"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17 "디지털한글박물관 소장 자료"
18 이종숙, "내방가사연구(1) : 영주·봉화 지역의 자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5 : 53-86, 1970
19 박경주, "남성화자 규방가사 연구" 한국시가학회 12 : 2002
20 박경주, "남성 작가의 화전가에 대한 일고찰-여성과의 의사소통 욕구에 주목하여-" 한국언어문학회 47 : 69-86, 2001
21 김연수, "근대시기 혼례문화 변동 연구" 한국여성사학회 (24) : 99-138, 2016
22 백순철,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사회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23 권영철, "규방가사각론" 형설출판사 1986
24 권영철, "규방가사-신변탄식류-" 효성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25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두루마리 자료"
26 한용득, "관혼상제" 홍신문화사 1982
27 송재연, "계녀가사의 구성양상과 서술특성 : 남성·여성 화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8 전재강, "경북내방가사 1권" 북코리아 2016
29 이현주, "가사의 해제와 현대역-<상장가라> 해제" (13) : 302-303, 2017
30 "가사문학관 소장 자료"
31 정인숙, "男性作 歌辭에 나타난 아내의 記憶 喚起와 정서 표출 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9 (49): 129-157, 2021
『악부 나손본(건)』의 가집사적 위상 - 각조음 항목 수록 작품을 바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