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부터 현재까지 한 세기 동안, 신라향가 연구는 지속적인 성과를 축적해 왔다. 그 결과, 鄕歌의 명칭과 개념은 보편적 타당성을 얻을 만큼 정리되었고, 향가 연구는 삼국유사와 함께 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93072
황병익 (경성대학교)
2022
Korean
신라향가 ; 개념과 명칭 ; 민족문화 ; 향가 해독의 기준 ; 불교와 민속 ; 역사 ; 대중문화콘텐츠 ; 효용성 ; 역사와 문학의 경계 ; 향가 수업 표준안 ; 통섭과 융합 ; Silla hyangga ; terms and definitions ; Korean national culture ; standards for hyangga interpretation ; Buddhism and folklore ; history ; pop culture contents ; utility ; boundary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 class standards for hyangga ; consilience and convergence
KCI등재
학술저널
49-103(5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18년부터 현재까지 한 세기 동안, 신라향가 연구는 지속적인 성과를 축적해 왔다. 그 결과, 鄕歌의 명칭과 개념은 보편적 타당성을 얻을 만큼 정리되었고, 향가 연구는 삼국유사와 함께 국...
1918년부터 현재까지 한 세기 동안, 신라향가 연구는 지속적인 성과를 축적해 왔다. 그 결과, 鄕歌의 명칭과 개념은 보편적 타당성을 얻을 만큼 정리되었고, 향가 연구는 삼국유사와 함께 국학과 민족문화 연구의 주축을 형성했다. 향가 해독의 보편적 기준 셋이 마련되었고, 향가의 내용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특히 불교와 민속 분야에서 깊은 천착이 이루어졌다. 향가가 생성·발전·소멸의 역사는 사회문화적 배경과 함께 체계적 정리가 이루어졌고, 향가 연구성과는 해외로까지 확장되어가고 있으며, 향가 관련 대중문화콘텐츠는 꾸준히 창작되고 있다.
그러나 향가 연구는 이미 다 완성한 것도, 더 이상 연구 거리가 없는 것도 아니다. 그간 향가는 85%의 해독률을 보이지만, 해독 해석상의 남은 난맥을 제거해야 하고, 국어학과 국문학 연구의 일관된 총합(叢合), 인접 학문 분야와의 통섭과 융합을 이루어내야 한다. 어학과 문학을 넘어, 향가가 당시에 어떠한 정치사회문화적 효용성을 가졌었는지를 고찰해야 하고, 삼국유사의 역사적 사실성과 문학적 가공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 입시교육의 현실에 맞추어 중등교육을 위한 향가 수업 표준안을 마련하여야 하고, 학술연구와 대중예술의 교류와 소통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분과학문의 프레임과 경계를 넘어, 1980년 이후의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점검하여 현실 교육에 적용하는 일은 이제 매우 시급한 일이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1999
2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 –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3 임주탁, "향악의 개념과 향가와의 관계" 한국문학회 (79) : 67-99, 2018
4 신재홍, "향가의연구" 집문당 2017
5 성기옥, "향가의 형식·장르·향유기반" 국문학회 6 : 2001
6 서철원, "향가의 유산과 고려시가의 단서" 새문사 2013
7 서철원, "향가의 역사와 문화사" 지식과교양 2011
8 李賢熙, "향가의 언어학적 해독" 국립국어원 6 (6): 3-16, 1996
9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83
10 김형태, "향가의 깊이와 아름다움" 보고사 2009
1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1999
2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 –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3 임주탁, "향악의 개념과 향가와의 관계" 한국문학회 (79) : 67-99, 2018
4 신재홍, "향가의연구" 집문당 2017
5 성기옥, "향가의 형식·장르·향유기반" 국문학회 6 : 2001
6 서철원, "향가의 유산과 고려시가의 단서" 새문사 2013
7 서철원, "향가의 역사와 문화사" 지식과교양 2011
8 李賢熙, "향가의 언어학적 해독" 국립국어원 6 (6): 3-16, 1996
9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83
10 김형태, "향가의 깊이와 아름다움" 보고사 2009
11 김성규, "향가의 구성 형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 국어국문학회 (176) : 177-208, 2016
12 이임수, "향가와 서라벌 기행" 박이정 2007
13 이연숙, "향가와 萬葉集 작품의 불교 형상화 방식 비교 연구" 한국시가학회 (21) : 103-137, 2006
14 황선엽, "향가에 나타나는 ‘遣’과 ‘古’에 대하여" 국어학회 39 : 3-25, 2002
15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16 신재홍, "향가, 문학적 재미의 원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2) : 5-27, 2016
17 박재민, "향가 해독 100년의 연구사 및 전망 -향찰 체계의 인식과 古語의 발굴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45 : 49-113, 2018
18 성호경, "향가 연구의 함정과 그 극복 방안" 국어국문학회 127-138, 1989
19 류병윤, "향가 연구의 방향 모색을 위한 고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7 : 57-79, 2007
20 이도흠, "향가 연구 방법론 -공과 한계, 지향점-" 한국시가학회 45 : 11-48, 2018
21 정렬모, "향가 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5
22 박노준, "향가 여요의 역사" 지식산업사 2018
23 양희철, "향가 문학론 일반" 보고사 2020
24 윤소희, "한중불교음악연구" 백산자료원 2014
25 루시싱陸錫興, "한자 전파의 역사" 민속원 2017
26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001
27 김광식, "한국인의 역사의식" 청년사 1999
28 이부영,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 한길사 2012
29 송기중,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2003
30 한재영,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2003
31 이임수, "한국의 고대시가 –향가" 나무기획 2015
32 조동일, "한국시가의 역사의식" 文藝出版社 1993
33 박재민, "한국시가 연구사의성과와 전망" 보고사 70-83, 2016
34 金聖基,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5
35 김학성,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97
36 허정주, "한국 ‘민족시학(Ethnopoetics)’ 정립을 위한 양식사학적(樣式史學的) 시론― ‘삼구육명(三句六名)’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소 (13) : 375-406, 2015
37 박희병, "통합인문학을 위하여" 돌베개 2020
38 채웅석,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40 : 76-91, 2007
39 Edward Osborne Wilson, "통섭Consilience" 사이언스북스 2005
40 權英五, "진성여왕대 농민 봉기와 신라의 붕괴" 新羅史學會 11 : 235-270, 2007
41 남동신, "일연과 삼국유사" 신서원 2007
42 채상식, "일연 그의 생애와 사상" 혜안 2017
43 정병욱, "인문고 표준고전" 신구문화사 1976
44 윤소희,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31) : 111-144, 2015
45 김석훈 편, "우리말 범어사전" 다일라출판사 2020
46 연민수, "역주 일본서기 2" 동북아역사재단 2013
47 황병익, "역사와 문학 기반 향가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시가학회 45 : 115-174, 2018
48 민병훈, "실크로드와 경주" 통천문화사 2015
49 성호경, "신라향가연구 –바른 이해를 위한 탐색" 태학사 2008
50 박재민, "신라향가변증" 태학사 2013
51 김승찬, "신라향가론" 세종출판사/부산대 출판부 1999
52 황병익, "신라향가 대중화의 양상과 방향모색" 한국시가학회 49 : 33-103, 2020
53 김성혜, "신라음악사연구" 민속원 2006
54 고영섭, "송가 중의 송가" 시산맥 2020
55 송기중, "세계의 문자와 한글" 한국언어학회 16 (16): 153-180, 1991
56 윤소희, "세계불교음악순례" 운주사 2021
57 조동일, "세계문학사의 전개" 지식산업사 2001
58 고운기, "삼국유사의 재구성" 역락 2021
59 이강래, "삼국유사의 세계" 세창출판사 2018
60 이소라, "삼국유사의 서술 방식 연구" 제이앤씨 2005
61 박인희, "삼국유사와 향가의 이해" 월인 2008
62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63 서철원, "삼국유사 속 시공과 세상" 지식과 교양 2022
64 문성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소명출판 2015
65 윤소희, "범패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 민속원 2016
66 원보영, "민간의 질병인식과 치료 행위에 관한 의료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2010
67 아나스타시아 구리예바, "러시아에서의 향가 연구 -M.I. 니키티나의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45 : 291-308, 2018
68 조현설, "두 개의 태양, 한 송이의 꽃 ― 월명사 일월조정서사의 의미망" 민족문학사연구소 (54) : 113-142, 2014
69 최귀묵, "동아시아학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70 윤소희, "동아시아 불교의식과 음악" 민속원 2013
71 최귀묵, "동아시아 문학사에서의 향가의 위상" 한국어교육학회 (108) : 17-514, 2002
72 장윤희, "국어사 지식과 고전문학 교육의 상관성" 한국어교육학회 (108) : 13-400, 2002
73 楊熙喆, "국어국문학 40년" 집문당 27-45, 1992
74 성호경, "국문학연구 50년" 혜안 2003
75 조희정,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 -건국 과도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7) : 281-330, 2005
76 성기옥,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77 최남희, "고대국어형태론" 박이정 1996
78 安鼎福, "順菴集 卷10" 548-,
79 許興植, "韓國金石全文 中世上" 亞細亞文化社 1984
80 許興植, "韓國金石全文 中世上" 亞細亞文化社 1984
81 李基白, "韓國의 歷史認識 上" 創作과批評社 1976
82 2金泰永, "韓國의 歷史認識 上" 創作과批評社 1976
83 閔泳珪, "韓國의 古典百選" 東亞日報社 1969
84 宋芳松, "韓國音樂史論攷" 영남대학교출판부 1995
85 趙潤濟, "韓國詩歌의 硏究" 乙酉文化社 1948
86 金東旭, "韓國歌謠의 硏究" 乙酉文化社 3-168, 1961
87 金學成, "韓國文學史의 爭點" 集文堂 1986
88 金東旭, "韓國思想史-古代篇" 日新社 1966
89 李基白, "韓國史講座 古代篇" 一潮閣 1982
90 池憲英, "鄕歌麗謠新釋" 정음사 1947
91 朴魯埻, "鄕歌의 歷史·社會學的연구성과 되짚어보기" 9 : 139-169, 1997
92 고운기, "鄕歌의 근대 2 - 小倉進平가 [鄕歌及び吏讀の硏究]에 붙인 自筆 메모" 한국시가학회 37 : 173-211, 2014
93 鄭然粲, "鄕歌의 語文學的硏究" 西江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1972
94 金烈圭, "鄕歌의 語文學的硏究" 西江大人文科學硏究所 1-54, 1972
95 梁柱東, "鄕歌의 解讀, 특히 <願往生歌>에 就하여" (19) :
96 林基中, "鄕歌의 硏究와 그 認識樣相에 대하여" 관동대학교 8 : 25-42, 1980
97 나까지마히로미, "鄕歌와 ?萬葉集?의 표기법 비교를 통한 鄕歌 解讀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31-56, 2003
98 宋晳來, "鄕歌와 萬葉集의 比較硏究" 乙酉文化社 1991
99 池憲英, "鄕歌麗謠의 諸問題" 太學社 1991
100 신재홍, "鄕歌難解句의 再解釋(1) -遇賊歌" 한국고전문학회 10 : 203-222, 1995
101 辛容泰, "鄕歌解讀法의 新硏究" 한국교육학회 42 : 175-186, 1982
102 金完鎭, "鄕歌解讀法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80
103 朴炳采, "鄕歌表記의 源流的考察" 국어국문학회 (32) : 1-11, 1966
104 편집부, "鄕歌硏究의 反省的考察(綜合討論)" 동아인문학회 9 : 281-315, 1997
105 黃浿江, "鄕歌硏究試論Ⅰ -處容歌硏究의 史的反省과 一試考" 韓國古典文學硏究會 2 : 121-148, 1974
106 黃浿江, "鄕歌硏究70년의 回顧와 現況" 일지사 9 : 193-224, 1983
107 남풍현, "鄕歌硏究" 태학사 1998
108 梁柱東, "鄕歌注釋散稿-上代語法에 關한 若干의 基本的見解" 震檀學會 10 : 111-133, 1939
109 姜吉云, "鄕歌新解讀硏究" 한국문화사 2004
110 黃浿江, "鄕歌文學硏究" 一志社 1993
111 黃浿江, "鄕歌古典小說關係論著目錄1890~1982" 檀大出版部 1984
112 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亞細亞文化社 1974
113 장윤희, "鄕札 硏究의 回顧와 展望" 구결학회 (21) : 203-230, 2008
114 楊熙喆, "讚耆婆郞歌의 어문학적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2 : 5-54, 1996
115 許愼撰,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1
116 許愼撰,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1
117 金光洙, "訓民正音創製前的漢字文獻" 亦樂出版社 28-, 2021
118 이혜구, "補正韓國音樂史–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국립국악원 2011
119 玄容駿, "處容說話考" 국어국문학회 39·40 : 1-38, 1968
120 조범환, "王妃의 交替를 통하여 본 孝成王代의 政治的 動向" 한국사연구회 (154) : 37-68, 2011
121 남태순, "淨土經典의 往生思想과 鄕歌에 나타난 彌陀信仰 연구" 한국정토학회 12 : 394-434, 2009
122 天親菩薩, "淨土五經一論" 비움과소통 2016
123 朝鮮總督府編, "朝鮮金石總覽 上" 亞細亞文化社 1976
124 玄容駿, "月明師兜率歌背景說話考" 韓國言語文學會 10 : 87-106, 1973
125 金思燁, "日本의 萬葉集-그 內包된 韓國的要素" 民音社 264-268, 1983
126 徐在克, "新羅鄕歌의 語彙硏究" 啓明大韓國學硏究所 1975
127 黃浿江, "新羅鄕歌硏究-鄕歌, 鄕札의 槪念定立을 위한 試考" 단국대 국문학과 7·8 : 95-184, 1975
128 李姸淑, "新羅鄕歌文學硏究" 박이정 1999
129 尹榮玉, "新羅詩歌의 硏究" 형설출판사 1980
130 임기중, "新羅歌謠와 記述物의 硏究-呪力觀念을 중심으로" 半島出版社 1981
131 金鍾雨, "新羅歌謠硏究" 백문사 1979
132 李崇寧, "新羅時代의 表記法體系에 關한 試論" 2 : 62-166, 1955
133 李基白,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97
134 金雲學, "新羅佛敎文學硏究" 玄岩社 1976
135 金壽泰, "新羅中代政治史硏究" 一潮閣 1996
136 권영오, "新羅下代政治史硏究" 혜안 205-206, 2011
137 金烈圭, "怨歌의 樹木(栢)象徵" 국어국문학회 18 : 96-111, 1957
138 황병익, "孝成王 대의 정치 현실과 <怨歌>의 의미 고찰" 한국시가문화학회 (33) : 429-465, 2014
139 赫連挺, "均如傳" 새문사 1986
140 李鐸, "國語學論攷" 正音社 1958
141 梁柱東, "國學硏究論攷" 乙酉文化社 1962
142 梁柱東, "國學硏究論攷" 乙酉文化社 72-89, 1962
143 崔致遠, "四山碑銘" 이른아침 2014
144 양희철, "唐代批評으로 본 ‘其意甚高’와 <찬기파랑가>" 한국시가학회 (18) : 43-76, 2005
145 李能雨, "古詩歌論攷-그 本性把握을 위한 硏究" 숙명여대출판부 1983
146 梁柱東, "古歌硏究" 博文書舘 1960
147 사사끼佐々木敎悟, "印度佛敎史" 경서원 1985
148 圓仁, "入唐求法巡禮行記" 정신세계사 1991
149 南豊鉉, "借字表記法硏究" 檀大出版部 1981
150 野上俊靜, "中國佛敎史槪說" 圓光大出版局 1984
151 金完鎭, "三國遺事의 문예적 硏究" 새문사 1982
152 金泰永, "三國遺事의 문예적 硏究" 새문사 1982
153 崔柄憲, "三國遺事의 綜合的檢討"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154 朴焌圭, "1960年代의 國文學硏究(1)-上代歌謠와 鄕歌의 硏究를 主로 하여" 전남대 인문과학연구소 1 : 27-47, 1972
『악부 나손본(건)』의 가집사적 위상 - 각조음 항목 수록 작품을 바탕으로
상장가류 가사에 나타난 전통 혼속의 특징과 부부 간 의사소통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