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EMR) 적용을 위한 모형 : 심장혈관계 중환자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model of the nursing process to electric medical records for cardiodiovascular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1108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연세대학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06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2.9 판사항(4)

      • DDC

        651.50426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142장;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으로 "간호진단 심박출량 감소의 관련 요인별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 간호결과명 및 간호결과지표의 타당도" 수록
        참고문헌: 장 99-10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 적용은 간호과정에 대해 임상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간호기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간호진술문을 시스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체계를 적...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 적용은 간호과정에 대해 임상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간호기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간호진술문을 시스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체계를 적용한 모형은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모형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써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을 통한 Delphi방법을 이용하였다. 심장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도출된 10개의 간호진단을 본 연구의 모형에 사용하였다. 선정된 간호진단에 대해 NANDA의 정의적 특성 중에서 핵심 내용을 전문가 집단을 통해 선정하였다. 선정된 정의적 특성에 대해 구체적인 간호진술문이나 검사결과수치 등을 구체적 특성이라 정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해 그 내용을 작성케 하였다. 선정된 구체적 특성에 대해 내용 타당도를 본 후, 간호진단의 관련 요인 및 간호진단의 분류체계인 NNN Taxonomy에 따라 구성된 전문가 집단과 합의하여 선별하였다. 간호중재명은 간호중재분류(NIC 4판, 2004)를, 간호결과명은 간호결과분류(NOC 3판, 2004)를 기본으로, 관련 요인별로 재분류하여 전문가 집단에게 심장혈관계 중환자에게 해당하는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 간호결과명 및 간호결과 지표를 선정케 하였다. 각각에 대한 내용 선정은 설문지를 통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의 모형에 사용하였다. 문헌고찰 및 전문가 집단을 이용하여 도출 및 선정된 자료들을 기본으로 하여 10개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과정의 전자의무기록 적용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 중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것을 일 Y대학 부속병원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적용하여 임상타당도를 보았다. 환자 재원 시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이 시스템에서 제시되었을 때, 임상현장의 간호사들이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명을 채택한 환자 중 23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환자에서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이 채택되었을 시점의 간호기록, 검사결과수치, 임상관찰 기록지 등에서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을 위한 정의적 특성 및 구체적 특성과 간호결과 지표가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전문가 집단에게 추출케 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전문가와 상의하여 모형에 따라 작성한 흐름도의 사용빈도 및 내용 분석을 통해 임상타당도를 보았다.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은 심박출량 감소가 채택된 시점의 간호중재명 및 간호활동내용의 건수로 조사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본 연구에 활용한 간호진단명은 출혈의 위험, 급성 통증, 심박출량 감소, 비사용증후군의 위험, 감염의 위험, 불안, 비효율적 기도청결, 오심, 손상의 위험,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이었다. 각 간호진단의 정의적 특성은 관련 요인 및 NNN Taxonomy에 따라 전문가 집단과 합의하여 선별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선정된 10개의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중재명은 107개였으며, 간호결과명은 55개였다. 10개의 간호진단중 1개 간호진단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임상타당도 결과 개발된 모형의 흐름에 따른 경우가 91.3%로 높은 사용 빈도 율을 보였다. 심박출량 감소의 전자의무기록 적용 시 가장 많이 추출된 정의적 특성 및 구체적 특성은 혈압의 변화에 대한 것(69.6%)이었으며 부종 및 맥박 수 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의 내용을 통해 전문가 집단이 가장 많이 추출한 관련요인은 후부하의 변화(43.5%)였다. 간호중재명의 경우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선택하여 사용한 간호중재명은 부정맥 관리(26.8%)외 9가지였으며 평균 6.8개의 간호활동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요인별로 평균 8개의 간호중재명과 한 간호중재명에 대해 평균 6.0개정도의 간호활동이 선정되었다. 시스템의 내용에서 간호결과 및 간호결과 지표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문가 집단에게 추출하게 하였을 때 전체 환자의 39.1%에서만 그 내용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혈압에 대한 기록(17.4%)이 가장 많았다.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간호과정의 전 과정이 포함된 시스템이 구현되어 임상간호사들의 의사결정에 도움 줄 수 있기를 바란다.핵심되는 말 : 간호과정, 전자의무기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