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령에 따른 골프 수행 중 생리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Physiological Change according to Age during Gol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33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골프 수행은 적절한 에너지 소비를 통한 산소운반기능이 폐환기량 및 폐포확산능력 등을 신장시키는 폐기능적 요인과 심박출량, 심박수 등의 심장 기능적인 요인, 혈액의 산소포화능력, 활동근에 공급되는 혈류량 및 활동근 자체의 산소섭취능력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건강체력 중 심폐기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심폐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최대심박수는 정상인의 경우 10~15세부터 매 1년마다 1박 정도 감소하고, 최대산소섭취량은 10대 47~56ml/kg/min에서 나이가 들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60대에는 31~38ml/kg/min정도가 된다.
      이러한 연령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는 참여하는 운동에 따라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 소비량 등의 생리적 특성에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운동수행 중 심폐기능의 변화를 관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는 중요하다. 그러나 골프에 관련된 최근 연구들은 기능적 향상을 위한 운동 역학적 연구와 심리학적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골프운동 중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여 건강체력 증진에 효과적인 운동강도를 제시하고 운동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과학적인 운동수행과 운동처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본 심박수, 운동강도, 환기량, 호흡교환율이 운동 초기 40대와 50대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인 원인은 중년남성의 신체활동부족으로 인한 심폐능력의 저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골프참여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골프 라운딩을 주1회 이상 실시하는 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경제적, 시간적인 요소에 의한 것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골프를 규칙적인 운동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고 골프와 함께 장시간 걷기, 조깅, 달리기 등의 유산소성운동을 병행하는 복합적인 운동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골프라운딩 중 운동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연령, 체중, 신장, 개인의 심폐지구력, 피로, 골프코스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는데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골프는 비교적 운동강도의 변화가 적은 종목이다.
      골프와 같은 걷기운동의 효과에 대한 최근연구들은 혈당, 지질대사, 인슐린(insulin)민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비만남성들에게 10주 동안 걷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CAD의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골프 수행 중 장시간 걷게 됨으로 골프는 40대, 50대의 운동부족증의 개선과 신체조성에 효과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시작 후 3시간부터 40대와 50대는 심박수, 운동강도,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소비량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장시간의 운동으로 인한 피로에 의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40대와 50대는 5시간이 소요되는 18홀의 골프 라운딩보다 약 2시간 30분에서 3시간이 소요되는 9홀의 골프수행이 운동 수준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골프 수행은 적절한 에너지 소비를 통한 산소운반기능이 폐환기량 및 폐포확산능력 등을 신장시키는 폐기능적 요인과 심박출량, 심박수 등의 심장 기능적인 요인, 혈액의 산소포화능력, 활...

      골프 수행은 적절한 에너지 소비를 통한 산소운반기능이 폐환기량 및 폐포확산능력 등을 신장시키는 폐기능적 요인과 심박출량, 심박수 등의 심장 기능적인 요인, 혈액의 산소포화능력, 활동근에 공급되는 혈류량 및 활동근 자체의 산소섭취능력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건강체력 중 심폐기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심폐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최대심박수는 정상인의 경우 10~15세부터 매 1년마다 1박 정도 감소하고, 최대산소섭취량은 10대 47~56ml/kg/min에서 나이가 들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60대에는 31~38ml/kg/min정도가 된다.
      이러한 연령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는 참여하는 운동에 따라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 소비량 등의 생리적 특성에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운동수행 중 심폐기능의 변화를 관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는 중요하다. 그러나 골프에 관련된 최근 연구들은 기능적 향상을 위한 운동 역학적 연구와 심리학적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골프운동 중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여 건강체력 증진에 효과적인 운동강도를 제시하고 운동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과학적인 운동수행과 운동처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본 심박수, 운동강도, 환기량, 호흡교환율이 운동 초기 40대와 50대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인 원인은 중년남성의 신체활동부족으로 인한 심폐능력의 저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골프참여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골프 라운딩을 주1회 이상 실시하는 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경제적, 시간적인 요소에 의한 것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골프를 규칙적인 운동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고 골프와 함께 장시간 걷기, 조깅, 달리기 등의 유산소성운동을 병행하는 복합적인 운동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골프라운딩 중 운동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연령, 체중, 신장, 개인의 심폐지구력, 피로, 골프코스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는데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골프는 비교적 운동강도의 변화가 적은 종목이다.
      골프와 같은 걷기운동의 효과에 대한 최근연구들은 혈당, 지질대사, 인슐린(insulin)민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비만남성들에게 10주 동안 걷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CAD의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골프 수행 중 장시간 걷게 됨으로 골프는 40대, 50대의 운동부족증의 개선과 신체조성에 효과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시작 후 3시간부터 40대와 50대는 심박수, 운동강도,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소비량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장시간의 운동으로 인한 피로에 의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40대와 50대는 5시간이 소요되는 18홀의 골프 라운딩보다 약 2시간 30분에서 3시간이 소요되는 9홀의 골프수행이 운동 수준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change related with the age among golf players. Subjects were divided 3 groups, 30's years-old(n=10), 40's years-old(n=10)and 50's years-old(n=10).
      And measurement times are distinguished 5 times for 5 hours.
      This study measured the factors(Heart rate, Exercise Intensity, Oxygen intake, Ventilation, Respiratory exchange ratio and Energy consumption)
      The major results based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were:
      1. Heart rate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2. Exercise intensity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3. Oxygen intake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4. Ventilation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5. Respiratory exchange ratio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6. Energy consumption was significant change in rest 4 hours golf-playing but was not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in third hours golf-playing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change related with the age among golf players. Subjects were divided 3 groups, 30's years-old(n=10), 40's years-old(n=10)and 50's years-old(n=10). And measurement times are distinguished 5 times for 5 hou...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change related with the age among golf players. Subjects were divided 3 groups, 30's years-old(n=10), 40's years-old(n=10)and 50's years-old(n=10).
      And measurement times are distinguished 5 times for 5 hours.
      This study measured the factors(Heart rate, Exercise Intensity, Oxygen intake, Ventilation, Respiratory exchange ratio and Energy consumption)
      The major results based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were:
      1. Heart rate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2. Exercise intensity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3. Oxygen intake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4. Ventilation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5. Respiratory exchange ratio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6. Energy consumption was significant change in rest 4 hours golf-playing but was not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in third hours golf-play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3. 연구가설 = 3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3. 연구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4
      • II. 이론적 배경 = 5
      • 1. 운동시 생리학적 변인 = 5
      • 1) 심박수 = 5
      • 2) 최대산소섭취량 = 8
      • 3) 에너지 소비량 = 11
      • 4) 환기량 = 15
      • 5) 호흡교환율 = 16
      • 2. 골프의 경기력 결정 요인 = 20
      • 1) 기술적 요인 = 20
      • 2) 체력적 요인 = 22
      • 3) 심리적 요인 = 26
      • III. 연구방법 = 28
      • 1. 연구대상 = 28
      • 2. 연구기간 및 절차 = 29
      • 3. 실험설계 = 29
      • 4. 실험절차 및 방법 = 29
      • 1) 최대하 운동부하검사 = 30
      • 2) 골프 중 심박수의 측정 = 32
      • 3) 산소섭취량,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소비량의 산출 = 33
      • 5. 측정도구 = 33
      • 6. 실험통제 = 34
      • 7. 자료처리 = 34
      • IV. 결과 및 논의 = 35
      • 1. 결과 = 35
      • 1) 골프 수행에 따른 집단간 심박수의 차이 = 35
      • 2) 골프 수행에 따른 운동강도의 변화 = 37
      • 3) 골프 수행에 따른 산소섭취량의 변화 = 39
      • 4) 골프 수행에 따른 환기량의 변화 = 41
      • 5) 골프 수행에 따른 호흡교환율의 변화 = 44
      • 6) 골프 수행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변화 = 45
      • 2. 논의 = 48
      • V. 결론 = 53
      • 참고문헌 = 54
      • ABSTRACT =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