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분주토기 연구–분포 양상과 변천과정, 고분의례과정을 통해- = The Study on Bunju Potteries of Korea -Through the Distributional Pattern, the Changing Process and the Ancient Tomb Ritual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8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the chronological changing process of Bunju potteries excavated from Korea and the funeral ritual proces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constructive process of the ancient tomb. Bunju potteri...

      This study review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the chronological changing process of Bunju potteries excavated from Korea and the funeral ritual proces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constructive process of the ancient tomb. Bunju potteries in Korea were very popular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Bunju potteries are classified as a long-necked jar style (local power), Okya-ri style (mixed), Bannam style (local power) and cylindrical Haniwa style (Japanese style). Ancient tombs where Bunju potteries were excavated turned to a square shape·a hoof shape (low Bungu)→ a square shape·a circular shape·a key hold shape(high Bungu) and Bungu became higher and bigger from the mid 5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Bunju potteries were changed and developed from cylindrical special potteries of the midwestern region at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in Gunsan around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they spread toward the southwest due to southern attacks by Baekje. During that time,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accepted long-necked jar style Bunju potteries and developed as a ritual process of ancient tomb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The constructive process of ancient tomb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started from ①choosing tombs and leveling the ground, ②constructing Bungu ③constructing burial facilities, ④burying, ⑤filling up Bungu, and ⑥maintaining external facilities (long necked-jar style). Bunju potterie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became a part of the ritual process as ancient tombs’ ornaments at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in Gunsan and it seems they were erected at the edge of Bungu during the last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style ancient tombs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round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Bunju got higher and it showed mixed-style potteries (Okya-ri style) which were combined with Japanese Haniwa style after accepting Japan’s ancient tomb culture, and it also turned to the local style which is Bannam style after reinterpreting Japanese Haniwa style. The constructive process of high tombs are basically similar with ladder-shaped tombs’ one but Bungu expanded vertically repeats the process of ②∼⑥ and completed squared-shaped tombs follow the previous step one time.
      After the late 5th century, introducing Janggo-shaped tombs which are Japanese burials and Kyushu-styled stone chamber tombs, Japanese ancient tomb culture was popular, of that, cylindrical Haniwa styled Bunju potteries were installed along the edge of Bungu at regular distance as ancient tombs’ ornaments.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progressed from building Bungu and burial structures (stone chamber style) at the same time and these are different from ladder-shaped tombs but same that Bunju potteries were installed at the last phase.
      In this way, Bunju potteries were changed and developed to various style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Japanese ancient tomb culture by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It is understood that Bunju potteries appeared as a by-product of a social strategy that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searched for changes regarding the rationalization of the domination and cultural ident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출토 분주토기의 분포양상과 시기적인 변천과정, 고분축조과정에서 나타난 장제의례과정과 시대적인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 분주토기는 3세기 말에서 6세기 전엽까...

      한반도 출토 분주토기의 분포양상과 시기적인 변천과정, 고분축조과정에서 나타난 장제의례과정과 시대적인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 분주토기는 3세기 말에서 6세기 전엽까지 성행하였다. 분주토기는 장경호형(재지), 옥야리형(복합), 반남형(재지화), 원통하니와계(왜계)로 분류된다. 분주토기 출토고분은 방형·제형(低분구)→방(대)형·원(대)형·장고형(高분구)으로 변화하며, 5세기 중엽경부터 분구는 고대화된다.
      분주토기는 3세기 말경에 금강 하류 군산지역권에서 중서부지역의 원통형 특수토기를 변용·발전시켜 완성된 형태로 확인되며, 백제의 남방 공략으로 인해 남서쪽으로 확산되었다. 그 사이에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은 장경호형 분주토기를 수용하여 제형분 단계에 고분의례과정의 하나로서 발달시켰다. 제형분 단계 고분축조과정은 ①묘역 선정 및 정지 작업→②분구 축조→③매장시설 구축→④매장 행위→⑤분구 성토→⑥외부시설의 정비(장경호형) 순으로 이루어진다. 제형분 단계의 분주토기는 금강 하류 군산지역에서 고분의 장식물로서 의례과정의 일부분이 되었고, 마지막 단계에 분구 가장자리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전반경 왜계고분과 백제 토목기술의 영향으로 인해 5세기 중엽경에 분구는 고총화되고, 왜계의 고분문화를 수용하면서 왜계 하니와와 결합한 복합형(옥야리형)이 출현하였으며, 왜계 하니와를 재해석하여 반남형으로 재지화하기도 하였다. 고총화 단계의 고분 축조과정은 기본적으로 제형분 단계의 고분 축조과정과 비슷하지만 수직으로 확장된 분구는 ②∼⑥ 절차가 반복되며, 완성형 방대형고분은 앞의 절차를 1회로 마무리되었다.
      5세기 후엽이후로는 왜계 묘제인 장고분과 큐슈계석실의 도입으로 왜계 고분문화가 성행하게 되는데, 그 중 원통하니와계 분주토기가 고분 장식물로 분구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다. 석실분 단계의 고분축조과정은 분구 축조와 매장주체시설(횡혈식) 구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점이 제형분 단계와 다르지만 분주토기가 마지막에 설치된 점은 같다.
      이처럼 분주토기는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이 적극적으로 왜계 고분문화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발달하였다. 분주토기는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이 지배의 합리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사회적 전략의 부산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열,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영남고고학회 (69) : 118-155, 2014

      2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2014

      3 坂 靖,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 Ⅱ"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전남대학교박물관 2015

      4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 Ⅰ·Ⅱ" 2015

      5 임영진,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호남고고학회 49 : 175-213, 2015

      6 박순발, "한·일 고대인의 흙과 삶" 국립전주박물관 2001

      7 임영진, "전남지방의 장고분, 송학동고분군" 2001

      8 최성락,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고고학회 42 : 125-157, 2012

      9 안재호, "왜5왕 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10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 출토 원통형토기에 관한 시론"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31 : 2000

      1 박형열,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영남고고학회 (69) : 118-155, 2014

      2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2014

      3 坂 靖,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 Ⅱ"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전남대학교박물관 2015

      4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 Ⅰ·Ⅱ" 2015

      5 임영진,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호남고고학회 49 : 175-213, 2015

      6 박순발, "한·일 고대인의 흙과 삶" 국립전주박물관 2001

      7 임영진, "전남지방의 장고분, 송학동고분군" 2001

      8 최성락,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고고학회 42 : 125-157, 2012

      9 안재호, "왜5왕 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10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 출토 원통형토기에 관한 시론"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31 : 2000

      11 서현주, "영산강유역 고분토기 연구" 학연문화사 2006

      12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2009

      13 최영주, "마한 방대형·원대형 분구묘의 등장배경" 백제학회 (14) : 85-105, 2015

      14 임영진, "광주 월계동의 장고분 2기" 한국고고학회 31 : 1994

      15 신민철, "곡교천유역 원삼국시대 원통형토기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46 : 25-60, 2014

      16 太田博之, "韓國の前方後圓墳" 雄山閣 1996

      17 林永珍, "韓國 墳周土器의 起源과 變遷" 호남고고학회 17 : 83-111, 2003

      18 최영주, "韓半島南西部地域倭系 橫穴式石室의 特徵과 出現背景" 호서고고학회 (38) : 64-93, 2017

      19 임영진, "東アジアと日本の考古學" 同成社 2002

      20 이영철, "壺形墳周土器 登場과 時點" 호남고고학회 25 : 75-99, 2007

      21 임영진, "墳周土器를 통해 본 5-6世紀 韓日關係一面"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7) : 23-37, 2006

      22 太田博之, "埼玉中の山古墳出土の有孔平底壺系圓筒形土器" 90 (90): 2006

      23 太田博之, "古墳時代中期東日本出土の埴輪製作技法と渡來人" 25 : 2008

      24 大竹弘之, "前方後円墳と古代日朝關係" 同成社 2002

      25 太田博之, "全羅南道の埴輪とその特質" 8 : 2001

      26 小栗明彦, "全南地方出土埴輪の意義" 32 : 2000

      27 小栗明彦, "光州月桂洞1号墳出土埴輪の評価" 137 : 1997

      28 이상엽, "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 한국고대학회 (31) : 162-196, 2009

      29 崔榮柱, "三國·古墳時代における韓日交流の考古學的硏究―橫穴式石室を中心に―" 立命館大學大學院 2012

      30 鐘方正樹, "2條突帶の圓筒埴輪" 埴輪檢討會 1 :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59 0.81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