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곡교천유역의 원삼국문화의 특징과 변화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process of the three kingdoms culture in the gokgyocheon stream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0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Won Samguk culture in the Gokgyocheon Stream area was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al site in Dujeong-dong, Cheonan. However, rather than individual studies of the Gokgyocheon Stream basin, the research was often conducted as a ...

      The study of Won Samguk culture in the Gokgyocheon Stream area was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al site in Dujeong-dong, Cheonan. However, rather than individual studies of the Gokgyocheon Stream basin, the research was often conducted as a part of the larger category, with a focus on the transition period from Mahan to Baekje. In addition, the focus was on individual studies such as residential areas, tombs, earthenware, and ironware, and there was little research on the overall remains and relics that would encompass the culture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Therefore, the analysis is intended to be conducted on residential, analytical, and excavated artifacts identified in the Gokgyo Stream basin in the 2nd and 4th centuries. Based on the analysis, we w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culture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and study the transformation proc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ultural factors identified in the Gokgyo Stream a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culture found in the Gokgyo Stream area, we will review the connection with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Firs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ange pattern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the dwelling, analysis, and excavated relics found in the Gokgyo Stream basin. Based on this, only the tomb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ocess of step-by-step changes in the dwelling and the excavated relics, and the stages of the Yugae Daejo (Step I-1), where the residential area is identified, and the main building of the Jugu Sogwangmyo Shrine (Step I-2) were subdivided into the points at which the dwelling is identified in Step I. The main building was identified and the tomb of the tomb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form of a simple earth mine (Step II). Based on these results,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was derived. In the case of residential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building was centered on four-week pouches of the square, and in the case of the tomb, a simple earthen tomb with the shape of the tomb was also identifi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the relics excavated were changed from time to tim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 elements, the patterns of the main building are first identified in the Grotto and Yeongi and Hwaseong areas,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tream that has an advantage as a production facility and location in the vicinity of the main building identified in the Gokgyo Stream. The main building identified in the Hwaseong area has been identified in the steel production site, and in the smoke area, there ar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e trade center that can be moved to the Yeongnam area. Based on this aspect, the main building is considered to have one specific characteristic for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from the Gokgyo Stream basin to the Yeongnam area, and to be a well-connected one with the production facilities. In addition, as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Yeongnam area, such as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Yugae Daejo Lake's tomb, were identified in the Gokgyecheon basin, active exchanges were made, and it seems that one large group of logistics groups grew by placing the main building on the road as a component of the exchange.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relics such as the Great Lakes, the symbol of the Three Kingdoms' culture, such as the Yugae Great Lakes, Simbal-type earthenware + Wonjeogyeong Lake, cylindrical earthenware, and Ma Hyung-daegu, in addition to the main building, smoke can be set based on the east by the north. In the e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woodland, which is the central force of Mahan, Mars and smoke must have exerted some influence on the bound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곡교천유역의 원삼국문화 연구는 천안 두정동 유적의 발굴을 토대로 분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다만, 곡교천유역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보다는 큰 범주안에서 하나의 부분으로 ...

      곡교천유역의 원삼국문화 연구는 천안 두정동 유적의 발굴을 토대로 분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다만, 곡교천유역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보다는 큰 범주안에서 하나의 부분으로 연구가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기에 중점을 둔 연구가 주를 이루어서 진행되었다. 또한, 주거지·분묘·토기·철기 등 각각의 개별적인 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원삼국문화를 포괄할 전반적인 유구 및 유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4세기 곡교천 유역에서 확인되는 주거지·분묘·출토유물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고 자 한다. 분석을 토대로 원삼국문화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며, 곡교천 유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문화요소를 토대로 변화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원삼국문화의 특징적인 요소를 토대로 경기남부 지역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주거지·분묘·출토유물의 속성분석을 실시하여 형식분류 및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거지·분묘 의 단계별 변화과정과 출토유물의 변화를 토대로 분묘만이 확인되며, 유개대부호가 특징적으로 확인되는(Ⅰ-1단계), 주거지가 확인되며 분묘 에서는 주구토광묘가 주를 이루는(Ⅰ-2단계)단계를 Ⅰ단계에서 주거지 가 확인되는 시점으로 세분화 하여 설정하였다. 주구부건물지가 확인되 며 분묘의 묘제가 점차적으로 단순토광묘의 형태로 변화하는(Ⅱ단계)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징적인 원삼국문화의 양상을 도출 하였다. 주거지의 경우는 방형의 4주식의 주공을 중심으로 주구부건물지가 확인되며, 분묘의 경우 묘제의 양상으 단순토광묘도 확인되지만 주로 주구토광묘가 특징적인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출토되는 유물의 조합상의 특징이 시기별로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징적인 요소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먼저 주구부건물지의 양상이 곡교천유역 과 연기·화성지역에서만 확인되며,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주구부건 물지의 주변으로는 생산시설과 입지로서의 유리함을 지닌 하천변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화성지역에서 확인되는 주구부건물지의 경우 제철생산유적에서 확인되었으며, 연기지역의 경우 영남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역의 중심지에서 확인되는 특징이 존재한다. 이러한 양상을 토대로 주구부건물지는 곡교천유역에서 영남으로 교류를 위한 하나의 특수성을 지닌 유구이며, 생산시설과의 친밀한 관련이 있는 유구로도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유개대부호의 양상 분묘의 주공이 확인되 는 양상 등 영남지역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활발한 교류를 이루었으며, 교류의 한 가지 요소로 주구부 건물지를 교통로에 배치하여 하나의 대규모 물류집단이 성장하였을 것 으로 보인다. 한편, 주구부건물지 이외에 원삼국문화의 특징적인 요소인 단순토광묘· 주구토광묘에 유개대부호, 심발형토기+원저단경호, 원통형토기, 마형대구 등 유물 조합을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목지국의 세력권으로 볼 수 있는 지역으로 북으로는 화성 동으로는 연기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마한의 중심세력인 목지국의 특징적인 요소를 토대로 보았을 때, 화성·연기를 경계로 어느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였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연구현황과 방법 3
      • 1. 기존 연구성과와 문제점 3
      • 2. 연구목적과 방법 9
      • Ⅲ. 주거지·분묘의 형식분류와 단계설정 12
      • Ⅰ. 머리말 1
      • Ⅱ. 연구현황과 방법 3
      • 1. 기존 연구성과와 문제점 3
      • 2. 연구목적과 방법 9
      • Ⅲ. 주거지·분묘의 형식분류와 단계설정 12
      • 1. 형식분류와 변화양상 12
      • 1) 주거지 12
      • 2) 분묘 30
      • 2. 단계설정 43
      • 1) Ⅰ단계 43
      • 2) Ⅱ단계 48
      • Ⅳ. 취락의 성격 및 목지국 세력 연구 51
      • 1. 목지국세력 취락의 단계별 변화양상과 성격 51
      • 2. 목지국세력 취락 양상의 분포 58
      • Ⅴ. 맺음말 60
      • ▣ 참고문헌 64
      • ▣ ABSTRACT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