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요국과 국내의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정책 및 표준화 거버넌스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6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rt healthcare, a combination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medical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solution due to the recent deepening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worldwide. Korea as well as major countries is improving industrial revitalization policies and regulations to foster smart healthcare, but in Korea, there is no agreement between stakeholders such as telemedicine and medical data utilization, delaying system improvement compared to major countries.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 failure to revitalize the domestic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ident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ies and standardized governance with the healthcare leader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China. The purpose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smart healthca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policies and regulatory improvements to revitalize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in major countries and domestic countries, industrial revitalization policies were almost similar to major countries, but the timing was somewhat later than that of major countries. The pace of regulatory improvement was also found to be slower than that of major countries. This is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smart healthcare, it is difficult for each ministry to promote its work alone,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sponsible organization or cooperative system, but there is no responsible organization in Korea. However, since the recent formation of the Digital Healthcare Special Committe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there has been an active movement to promote the industry, promote policies and improve regulations among ministries.
      As a result of comparing standardized governance between major countries and domestic countries, smart healthcare is led by a responsible organization with influence, and standardization drive and influence are high in major countries. Korea establishes standard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but the authority was distributed at the same time as the distribution of standards by ministries, so the momentum and influence of standardization were weak.
      What is needed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in Korea is the formation of standardized governance centered on organizations responsible to smart healthcare. In the case of domestic smart healthcare policy governance, a special healthcare committee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and establish a long-term roadmap. Smart healthcare standardization governance should also have a system in which a responsible organization is formed to lead the coalition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and standards developed along with standard development should be reflected in policies. If a standardized governance system is established, smart healthcare standards can be actively developed like in major countries. In addition,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in the standard development process will be naturally resolved, speeding up regulatory improvement, and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various industrial revitalization policies can be actively promoted.
      번역하기

      Smart healthcare, a combination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medical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solution due to the recent deepening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worldwide. Kore...

      Smart healthcare, a combination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medical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solution due to the recent deepening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worldwide. Korea as well as major countries is improving industrial revitalization policies and regulations to foster smart healthcare, but in Korea, there is no agreement between stakeholders such as telemedicine and medical data utilization, delaying system improvement compared to major countries.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 failure to revitalize the domestic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ident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ies and standardized governance with the healthcare leader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China. The purpose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smart healthca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policies and regulatory improvements to revitalize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in major countries and domestic countries, industrial revitalization policies were almost similar to major countries, but the timing was somewhat later than that of major countries. The pace of regulatory improvement was also found to be slower than that of major countries. This is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smart healthcare, it is difficult for each ministry to promote its work alone,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sponsible organization or cooperative system, but there is no responsible organization in Korea. However, since the recent formation of the Digital Healthcare Special Committe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there has been an active movement to promote the industry, promote policies and improve regulations among ministries.
      As a result of comparing standardized governance between major countries and domestic countries, smart healthcare is led by a responsible organization with influence, and standardization drive and influence are high in major countries. Korea establishes standard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but the authority was distributed at the same time as the distribution of standards by ministries, so the momentum and influence of standardization were weak.
      What is needed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in Korea is the formation of standardized governance centered on organizations responsible to smart healthcare. In the case of domestic smart healthcare policy governance, a special healthcare committee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and establish a long-term roadmap. Smart healthcare standardization governance should also have a system in which a responsible organization is formed to lead the coalition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and standards developed along with standard development should be reflected in policies. If a standardized governance system is established, smart healthcare standards can be actively developed like in major countries. In addition,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in the standard development process will be naturally resolved, speeding up regulatory improvement, and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various industrial revitalization policies can be actively promo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기술의 융합한 형태인 스마트 헬스케어가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주요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스마트 헬스케어를 육성시키기 위한 산업 활성화 정책과 규제 개선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원격진료, 의료데이터 활용 등 이해관계자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요국에 비해 제도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을 헬스케어 선도국인 미국, 유럽, 중국과의 정책과 표준화 거버넌스 비교 분석을 통해 파악해보았다.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의 방향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국과 국내의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규제 개선을 비교한 결과, 산업 활성화 정책은 주요국과 거의 유사했지만 주요국에 비해 시기가 다소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개선 속도도 역시 주요국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특성상 각 부처가 단독으로 업무를 추진하기 어려워 전담조직이나 협동 체계 구축이 필요한데, 국내는 전담조직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4차 산업혁명위원회 디지털 헬스케어 특위가 결성된 이후로 이를 중심으로 부처 간 연합과 산업 활성화 정책과 규제 개선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주요국과 국내의 표준화 거버넌스를 비교한 결과, 주요국은 스마트 헬스케어는 영향력을 가진 전담조직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표준화 추진력과 영향력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 하에 표준을 제정하지만 부처별로 표준 분배와 동시에 권한이 분산되어 표준화 추진력과 영향력 약한 편이었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스마트 헬스케어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한 표준화 거버넌스가 형성’이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정책 거버넌스의 경우, 4차 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위가 설립되어 부처 간의 협업이 강화하고 장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었다. 스마트 헬스케어 표준화 거버넌스도 전담조직이 형성되어 주도적으로 행정부처의 연합을 이끌어내고, 부처별로 표준 개발과 함께 개발된 표준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표준화 거버넌스 체계가 갖춰지면 주요국처럼 스마트 헬스케어 표준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준 개발 과정에 있어 이해관계자 간 갈등도 자연스럽게 해소되어 규제 개선 속도가 빨라지고, 다양한 산업 활성화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기술의 융합한 형태인 스마트 헬스케어가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주요국은 물론 우리...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기술의 융합한 형태인 스마트 헬스케어가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주요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스마트 헬스케어를 육성시키기 위한 산업 활성화 정책과 규제 개선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원격진료, 의료데이터 활용 등 이해관계자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요국에 비해 제도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을 헬스케어 선도국인 미국, 유럽, 중국과의 정책과 표준화 거버넌스 비교 분석을 통해 파악해보았다.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의 방향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국과 국내의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규제 개선을 비교한 결과, 산업 활성화 정책은 주요국과 거의 유사했지만 주요국에 비해 시기가 다소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개선 속도도 역시 주요국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특성상 각 부처가 단독으로 업무를 추진하기 어려워 전담조직이나 협동 체계 구축이 필요한데, 국내는 전담조직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4차 산업혁명위원회 디지털 헬스케어 특위가 결성된 이후로 이를 중심으로 부처 간 연합과 산업 활성화 정책과 규제 개선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주요국과 국내의 표준화 거버넌스를 비교한 결과, 주요국은 스마트 헬스케어는 영향력을 가진 전담조직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표준화 추진력과 영향력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 하에 표준을 제정하지만 부처별로 표준 분배와 동시에 권한이 분산되어 표준화 추진력과 영향력 약한 편이었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스마트 헬스케어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한 표준화 거버넌스가 형성’이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정책 거버넌스의 경우, 4차 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위가 설립되어 부처 간의 협업이 강화하고 장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었다. 스마트 헬스케어 표준화 거버넌스도 전담조직이 형성되어 주도적으로 행정부처의 연합을 이끌어내고, 부처별로 표준 개발과 함께 개발된 표준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표준화 거버넌스 체계가 갖춰지면 주요국처럼 스마트 헬스케어 표준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준 개발 과정에 있어 이해관계자 간 갈등도 자연스럽게 해소되어 규제 개선 속도가 빨라지고, 다양한 산업 활성화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개념적 정의 4
      • 1) 스마트 헬스케어 4
      • 2) 표준화 거버넌스 8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개념적 정의 4
      • 1) 스마트 헬스케어 4
      • 2) 표준화 거버넌스 8
      • 제2절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현황 8
      • 1)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현황 8
      • 2)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정책 거버넌스 체계 11
      • 3)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주요 이해관계자와 표준화 필요성 14
      • 제3장 연구 설계 19
      • 제1절 연구대상 설정 19
      • 제2절 비교분석의 틀 20
      • 제4장 연구분석의 결과 22
      • 제1절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정책 비교 22
      • 1) 미국 22
      • 2) 유럽 27
      • 3) 중국 33
      • 4) 국내 38
      • 5) 소결 42
      • 제2절 스마트 헬스케어 표준화 거버넌스 비교 44
      • 1) 비교분석의 틀 44
      • 2) 미국 47
      • 3) 유럽 50
      • 4) 중국 54
      • 5) 국내 57
      • 6) 소결 61
      • 제3절 비교분석 결과 64
      •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67
      • 참고문헌 70
      • 국문초록 76
      • Abstract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