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林下錄"
2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3 김상현, "화엄경현담중현기" 동국대출판부 2013
4 이정희,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하" 지식산업사 2013
5 이선화, "조선후기 화엄 사기의 연구와 「왕복서」 회편 역주" 동국대 2017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 불교학연구회 25 : 283-328,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8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문화연구원 (61) : 297-332, 2012
9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한국서지학회 (56) : 327-352, 2013
10 이종수, "응송 박영희 소장 불교문헌의 종류와 가치" 불교문화연구원 (68) : 293-319, 2014
1 "林下錄"
2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3 김상현, "화엄경현담중현기" 동국대출판부 2013
4 이정희,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하" 지식산업사 2013
5 이선화, "조선후기 화엄 사기의 연구와 「왕복서」 회편 역주" 동국대 2017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 불교학연구회 25 : 283-328,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8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문화연구원 (61) : 297-332, 2012
9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한국서지학회 (56) : 327-352, 2013
10 이종수, "응송 박영희 소장 불교문헌의 종류와 가치" 불교문화연구원 (68) : 293-319, 2014
11 김천학, "설파상언의 징관 『화엄소초』 이해의 일고찰 - 「십지품소」를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59) : 299-329, 2016
12 "默庵集"
13 이지관, "韓國高僧碑文總集"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14 "雲峯禪師心性論"
15 "著譯叢譜"
16 "華嚴品目問目貫節圖"
17 "臺山集"
18 "經國大典"
19 이선화, "科圖와 私記를 활용한 看經法 -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30) : 123-152, 2016
20 "禪源集都序解"
21 "磻溪隨錄"
22 "東師列傳"
23 김영수, "朝鮮佛敎와 所依經典" (창간) : 1928
24 이능화, "朝鮮佛敎通史 下編" 新文館 1918
25 "曹溪高僧傳 권1"
26 "少林通方正眼"
27 "一枝庵文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