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 講學私記의 종류와 定本化의 필요성 = Type of Educational Commentaries and Necessity of Original Text Conversion in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5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seems that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occurs with the 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s a commentary about the study of and discussion about Buddhism. Certain texts examine the history of Buddhism. These also explain phrases used in discussion and the expression of personal opinion during the study of Buddhism. This commentary has some similarity to the p`ilgi Genre with Ch`agi Style which was popular with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gi Style is similar to an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This is because it includes what the students saw and experienced. However, an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has an educational character mostly, so it could be a different text. Some commentaries about Buddhism include interpreted letters or contexts of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that are written personal opinions about several scriptures or theses.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were comprised of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in existing research. However, the category of educational commentaries is not limited to only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Manuscripts of summaries of Buddhist doctrine written in the late 19th century show educational interest. Even though these commentaries are significant they weren’t accepted as cultural assets and were disregarded by researchers. Therefore, we need to study educational commentaries of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Buddhist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iginal text conversion is important to the study of educational commentaries. The three steps are collection, input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cursive style, and compilation. We can gather widespread educational commentarie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through collection, class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Chinese characters and making original texts by compilation. Completing this process would be begin in earnest research about educational commentaries.
      번역하기

      It seems that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occurs with the 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s a commentary about the study of and discussion about Buddhism. Certain texts exami...

      It seems that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occurs with the 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s a commentary about the study of and discussion about Buddhism. Certain texts examine the history of Buddhism. These also explain phrases used in discussion and the expression of personal opinion during the study of Buddhism. This commentary has some similarity to the p`ilgi Genre with Ch`agi Style which was popular with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gi Style is similar to an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This is because it includes what the students saw and experienced. However, an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has an educational character mostly, so it could be a different text. Some commentaries about Buddhism include interpreted letters or contexts of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that are written personal opinions about several scriptures or theses.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were comprised of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in existing research. However, the category of educational commentaries is not limited to only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Manuscripts of summaries of Buddhist doctrine written in the late 19th century show educational interest. Even though these commentaries are significant they weren’t accepted as cultural assets and were disregarded by researchers. Therefore, we need to study educational commentaries of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Buddhist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iginal text conversion is important to the study of educational commentaries. The three steps are collection, input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cursive style, and compilation. We can gather widespread educational commentarie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through collection, class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Chinese characters and making original texts by compilation. Completing this process would be begin in earnest research about educational commenta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 불교 講學私記는 강원의 성립과 더불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강학사기란 불교 경론 연구의 주석서이다. 개인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경론의 문구에 해 고증학적 으로 조사한 내용을 설명하거나 개인의 생각을 간략하게 적어놓은 것이다. 이러한 사기 는 조선후기 유교에서 유행했던 箚記体 필기류와 유사한 점이 있다. 箚記 역시 보고 느낀 점을 간략하게 적어놓은 메모이므로 불교의 私記와 형식적으로 비슷한 면이 있다. 하지만 불교 사기는 체로 교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기와는 다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강학사기의 종류로는 강원 교재의 글자나 내용을 해석한 講院私記와 여러 경전 이나 논서에 한 개인의 생각을 적어 놓은 硏學私記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강원교 재의 사기만을 불교 사기라고 표현하였으나 강학사기의 범주는 강원 교재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19세기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연학사기들은 당시의 교학적 관심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기들은 그 중요성에도 불 구하고 문화재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연구자들로부터 외면 받아왔다. 조선후기 불교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학사기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강학사기 연구의 전단계로서 定本化가 필요하다. 강학사기의 정본화는 집성-탈초-회 편의 세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집성을 통해 전국 강학사기를 수집하고, 탈초를 통해 그 계통에 따라 분류하며, 회편을 통해 정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될 때 비로소 강학사기에 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조선후기 불교 講學私記는 강원의 성립과 더불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강학사기란 불교 경론 연구의 주석서이다. 개인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경론의 문구에 해 고증학적 으로 조사한 내용...

      조선후기 불교 講學私記는 강원의 성립과 더불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강학사기란 불교 경론 연구의 주석서이다. 개인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경론의 문구에 해 고증학적 으로 조사한 내용을 설명하거나 개인의 생각을 간략하게 적어놓은 것이다. 이러한 사기 는 조선후기 유교에서 유행했던 箚記体 필기류와 유사한 점이 있다. 箚記 역시 보고 느낀 점을 간략하게 적어놓은 메모이므로 불교의 私記와 형식적으로 비슷한 면이 있다. 하지만 불교 사기는 체로 교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기와는 다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강학사기의 종류로는 강원 교재의 글자나 내용을 해석한 講院私記와 여러 경전 이나 논서에 한 개인의 생각을 적어 놓은 硏學私記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강원교 재의 사기만을 불교 사기라고 표현하였으나 강학사기의 범주는 강원 교재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19세기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연학사기들은 당시의 교학적 관심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기들은 그 중요성에도 불 구하고 문화재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연구자들로부터 외면 받아왔다. 조선후기 불교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학사기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강학사기 연구의 전단계로서 定本化가 필요하다. 강학사기의 정본화는 집성-탈초-회 편의 세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집성을 통해 전국 강학사기를 수집하고, 탈초를 통해 그 계통에 따라 분류하며, 회편을 통해 정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될 때 비로소 강학사기에 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下錄"

      2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3 김상현, "화엄경현담중현기" 동국대출판부 2013

      4 이정희,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하" 지식산업사 2013

      5 이선화, "조선후기 화엄 사기의 연구와 「왕복서」 회편 역주" 동국대 2017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 불교학연구회 25 : 283-328,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8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문화연구원 (61) : 297-332, 2012

      9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한국서지학회 (56) : 327-352, 2013

      10 이종수, "응송 박영희 소장 불교문헌의 종류와 가치" 불교문화연구원 (68) : 293-319, 2014

      1 "林下錄"

      2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3 김상현, "화엄경현담중현기" 동국대출판부 2013

      4 이정희,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하" 지식산업사 2013

      5 이선화, "조선후기 화엄 사기의 연구와 「왕복서」 회편 역주" 동국대 2017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 불교학연구회 25 : 283-328,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8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문화연구원 (61) : 297-332, 2012

      9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한국서지학회 (56) : 327-352, 2013

      10 이종수, "응송 박영희 소장 불교문헌의 종류와 가치" 불교문화연구원 (68) : 293-319, 2014

      11 김천학, "설파상언의 징관 『화엄소초』 이해의 일고찰 - 「십지품소」를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59) : 299-329, 2016

      12 "默庵集"

      13 이지관, "韓國高僧碑文總集"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14 "雲峯禪師心性論"

      15 "著譯叢譜"

      16 "華嚴品目問目貫節圖"

      17 "臺山集"

      18 "經國大典"

      19 이선화, "科圖와 私記를 활용한 看經法 -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30) : 123-152, 2016

      20 "禪源集都序解"

      21 "磻溪隨錄"

      22 "東師列傳"

      23 김영수, "朝鮮佛敎와 所依經典" (창간) : 1928

      24 이능화, "朝鮮佛敎通史 下編" 新文館 1918

      25 "曹溪高僧傳 권1"

      26 "少林通方正眼"

      27 "一枝庵文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