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 Analysis of Area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 Using Hotspot Analysis - A Case Study in Jeonju City, Jeollabuk-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7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계획을 세울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도시 내 어느 곳이 열 환경에 가장 취약한 곳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도시 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역과 낮...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계획을 세울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도시 내 어느 곳이 열 환경에 가장 취약한 곳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도시 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핫스팟과 콜드스팟)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주시를 공간적 범위로 도시열섬의 공간적 밀집지역을 도출하고, 밀집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도시열섬이 밀집해서 발생하는 지역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Landsat 8 위성영상을 활용해 지표면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 LST)를 추출한 뒤 국지적 Moran's I 분석과 Getis-Ord Gi<sup>*</sup> 분석을 통해 핫스팟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밀집지역은 전주시 원도심이라 불리는 중심부와 공업지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LST를 유발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토지피복도 중 시가화·건조지역의 상세분류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주거지역의 단독주거시설, 공업지역의 공업시설, 상업지역의 상업·업무시설이 LST를 높이는 요인으로, 별도의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녹지율을 대신해 변수로 선정한 NDVI가 LST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 저감 정책이 어느 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인은 무엇인지를 판단하고자 할 때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lans to mitigate overheating in urban area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The key information is the distribution of higher and lower temperatures (referred to as "hotspot" or "coldspot", r...

      Plans to mitigate overheating in urban area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The key information is the distribution of higher and lower temperatures (referred to as "hotspot" or "coldspot", respectively) in the c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reas within Jeonju City that are suffering from increasing land surface temperatures (LST) and the factors linked to such this phenomenon. To identify the hot and cold spots, Local Moran's I and Getis-Ord Gi<sup>*</sup> were calculated for the LST based on 2017 images taken using the thermal band of the Landsat 8 satellite. Hotspot analysis revealed that hotspot regions, (the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are located in the old town area and in industrial districts. To figure out the factors linked to the hotspot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covariates includ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land cover. The values of NDVI showed that it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lowering L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s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designing and policy development to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봉근, "토지피복유형 특성과 도시 온도의 관계 분석 - 김해시를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22 (22): 65-81, 2019

      2 차영화, "토지이용․토지피복 특성이 서울시 도시기온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0 (10): 107-120, 2009

      3 이우성,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42-154, 2010

      4 김준식, "정규화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열섬 취약지특성분석 - 대구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59-72, 2015

      5 공학양, "인천시에서 토지이용이 도시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공학회 3 (3): 315-321, 2016

      6 정종철, "위성영상을 통한 서울시 지표온도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2 (22): 19-26, 2013

      7 고영주,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7 (47): 100-116, 2019

      8 이재수, "서울시 오피스 건물의 공급 특성과 공간적 군집패턴 변화연구 : 2003~2012년 공급된 대형 오피스 건물 사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83-96, 2016

      9 신명철,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 밀집지역의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 연구" 한국감정평가학회 18 (18): 167-195, 2019

      10 채정은, "서울시 1인가구의 공간적 밀집지역과 요인 분석"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1 송봉근, "토지피복유형 특성과 도시 온도의 관계 분석 - 김해시를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22 (22): 65-81, 2019

      2 차영화, "토지이용․토지피복 특성이 서울시 도시기온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0 (10): 107-120, 2009

      3 이우성,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42-154, 2010

      4 김준식, "정규화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열섬 취약지특성분석 - 대구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59-72, 2015

      5 공학양, "인천시에서 토지이용이 도시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공학회 3 (3): 315-321, 2016

      6 정종철, "위성영상을 통한 서울시 지표온도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2 (22): 19-26, 2013

      7 고영주,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7 (47): 100-116, 2019

      8 이재수, "서울시 오피스 건물의 공급 특성과 공간적 군집패턴 변화연구 : 2003~2012년 공급된 대형 오피스 건물 사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83-96, 2016

      9 신명철,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 밀집지역의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 연구" 한국감정평가학회 18 (18): 167-195, 2019

      10 채정은, "서울시 1인가구의 공간적 밀집지역과 요인 분석"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11 김현옥,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203-214, 2012

      12 김형준,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39 (39): 18-27, 2011

      13 오규식,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47-63, 2005

      14 주성하, "고혈압, 당뇨, 뇌졸중 유병률에 대한 지역적 공간 자기상관 분석: 한국의 사례에 대하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2 (42): 301-308, 2017

      15 McCoy, J., "Using ArcGIS Spatial Analyst" ESRI 2018

      16 Zhou, B., "The role of city size and urban form in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7 : 1-7, 2017

      17 Laaidi, K., "The impact of heat islands on mortality in paris during the August 2003 heat wave" 120 (120): 254-259, 2012

      18 Getis, A.,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24 (24): 189-206, 1992

      19 Ackerman, B., "Temporal march of the Chicago heat island" 24 : 547-555, 1985

      20 Jeonju City, "Statistical Year Book" Jeonju City 2018

      21 Peng, J., "Seasonal contrast of the dominant factor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in urban areas" 215 : 255-267, 2018

      22 Akbari, H., "Peak power and cooling energy savings of shade trees" 25 (25): 139-148, 1997

      23 Anselin, L.,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 LISA -" 27 (27): 93-115, 1995

      24 박숭환,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표온도차 추정기법" 대한원격탐사학회 29 (29): 197-207, 2013

      25 권혁춘,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제주도 도심지역 지표면온도분포와 식생지수의 상관성 분석" 대한공간정보학회 17 (17): 39-44, 2009

      26 NASA, "Landsat 8(L8) Data Users Handbook Version 5.0" USGS 2019

      27 Yu, X., "Land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from landsat 8 TIRS – Comparison between radiative transfer equation based method, spllit window algorithm and single channel method" 6 (6): 9826-9852, 2014

      28 박종화, "LANDSAT영상을 이용한 여름철 청주지역의 토지피복과 지표면온도와의 관계 분석" 한국농공학회 48 (48): 39-49, 2006

      29 이경일, "LANDSAT영상을 이용한 서울시 행정구역 단위의 열섬효과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3 (33): 821-834, 2017

      30 김미경,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화와 열섬현상 분석" 대한토목학회 34 (34): 1033-1041, 2014

      31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3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3 Jung, S. Y., "KRHS Policy Brief 488" 2014

      34 "Jeonju City"

      35 Anderson, G. B., "Heat waves in the United States: Mortality risk during heat waves and effect modification by heat wave characteristics in 43 U.S. Communities" 119 (119): 210-218, 2011

      36 Lee, H. 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obmunsa 2011

      37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38 IPCC, "Climate Change 2014 Comprehensive Report: Summary Report for Policy Makers" IPCC, Meteorological Agency 2014

      39 Oke, T. R., "Boundary Layer Climates" Routledge 1988

      40 Alexander, L. V., "Assessing trends in observed and modelled climate extremes over Australia in relation to future projections" 29 (29): 417-435,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