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들어 세계의 도시들은``문화``가 국가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 임을 인식시켰고 현재 이를 모방하여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95268
2009
Korean
6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19(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래 들어 세계의 도시들은``문화``가 국가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 임을 인식시켰고 현재 이를 모방하여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하고 있...
근래 들어 세계의 도시들은``문화``가 국가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 임을 인식시켰고 현재 이를 모방하여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지난 2000년 중앙정부의``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을 시작으로,`` 녹색도시``, `` 서울시 디자인 중심도시``와 광주 광역시의``아시아중심 문화도시``그외 여러 지역에서 ``거리문화도시``, ``녹색문화도시``, ``생태문화도시``등 문화를 표방한 지역의 이미지 향상과 발전을 위한 각 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O세기의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른 경제 성장은 물 질 풍요의 사회를 이룩하였지만, 21세기의 신경제는 사회적 경제적 회계가치와 함께 환경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적 경제적 요인이 도시의 동역학임이 분명하지만, 도시 는 경제적, 사회적 하드웨어 그 이상의 가치를 담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발전을 위한 일련의 과정(process)이라 할 수 있는 랜드리의《창조도시》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 사하고 있다. 오늘날 도시환경은 국가의 위상과 이미 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때문에 이 연구에서 는 도시발전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위해 제시된 올바른 지향점 10가지는 앞으로 우리 도시들이 나아갈 방 향의 중요한 창조성의 과정으로 인식되기를 기대한 다. 1)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any cities in the world recognised the ``Culture`` is an important resource as nation`s image highe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up and nowadays many other cities try to imitate various way. In Korea the past year 2000 the central go...
Recently many cities in the world recognised the ``Culture`` is an important resource as nation`s image highe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up and nowadays many other cities try to imitate various way. In Korea the past year 2000 the central government begin to the projects named ``culture centered city development``and ``Seoul design city``, ``Asia culture city``in Gwangju City and also other region area try ``Street culture city``, ``Environmental culture city``, ``Green culture city``etc, to have region area image higher and develop well. In 20century, economy well growth with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made material richness. however new economy in 21century presents new precious of culture environment with account value of social and economical. This social and economical factor is a certain city`s dynamics. however we also understandings the city have special meaning more then of it. The 《Creative City》by Charles Landry as process to city develop gives many of a previews to us. Nowadays city environment is important space to define nation`s status and image. So, in this research presents for 10 articles with Integrate approach to city development as a process of consequence creativity which will expect to the right direction where our city goes.
참고문헌 (Reference)
1 데이비드 하비, "희망의 공간" 한울 2001
2 스튜어트 홀, "현대성과 현대문화" 현실문화연구 2001
3 김재현, "하버마스에서 공론영역의 양면에서" 문예출판사 1996
4 찰스 랜드리, "창조도시" 해남 2005
5 "일본경제 공공디자인으로 다시 살아나다" 가인 2007
6 조흡, "의미 만들기와 의미 찾기" 개마고원 2001
7 곽수정,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대학원 2006
8 박찬숙, "유럽의 도시 공공디자인을 입다" 가인 2007
9 전영옥, "신문화도시 전략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6
10 발터벤야민,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5
1 데이비드 하비, "희망의 공간" 한울 2001
2 스튜어트 홀, "현대성과 현대문화" 현실문화연구 2001
3 김재현, "하버마스에서 공론영역의 양면에서" 문예출판사 1996
4 찰스 랜드리, "창조도시" 해남 2005
5 "일본경제 공공디자인으로 다시 살아나다" 가인 2007
6 조흡, "의미 만들기와 의미 찾기" 개마고원 2001
7 곽수정,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대학원 2006
8 박찬숙, "유럽의 도시 공공디자인을 입다" 가인 2007
9 전영옥, "신문화도시 전략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6
10 발터벤야민,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5
11 안상수, "문화콘텐츠 디자인의 유형과 정책과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12 김기정, "문화콘텐츠 개념과 의의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08
13 전영옥, "문화자원 개발과 지역 활성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4
14 사무엘 헌팅턴, "문화가 중요하다" 김영사 2001
15 김병화,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생각의 나무 2007
16 마틴 제이, "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 시각과 언어 2004
17 앤디 메리필드, "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 시울 2005
18 조엘 코트킨, "도시의 역사" 을유문화사 2005
19 고성종, "도시와 환경디자인" 미진사 1992
20 김찬호, "도시는 미디어다" 책세상 2007
21 이삼수, "도시 패러다임 변화의 의의" 대한건축학회 2006
22 존 스토리,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경문사 2006
23 임종엽, "대중문화를 통해 본 현대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24) : 2000
24 심혜련, "대중매체에 관한 발터벤야민의 미학적 고찰이 지니는 현대적의의" 30 : 2001
25 박용남, "꿈의 도시 꾸리찌바" 녹색평론사 2005
26 박노영,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 이론 연구 : 스펙터클의 도시공간에 대한비판과 실천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27 국토연구원,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2001
28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1999
29 권영걸, "공간 속의 디자인 디자인속의 공간" 효형출판 2003
30 사스키아 사센, "경제의 세계화와 도시의 위기" 푸른길 1998
31 Berger, John, "Ways of Seeing" British Broadcasting & Corporation Penguin Books 1972
32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33 Landry, Charles, "The Creative City: A Toolkit for Urban Innovators" Earthscan Publications Ltd 2001
34 Harvey, David,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Inquiry in to the Origin of Culture Change" Blackwell Publishers 1990
35 Giddens, Anthony, "The Class Structure of the Advanced Societies" Hutchinson 1973
36 "The Art of City Making" Earthscan Publications Ltd 2006
37 Story, John, "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e Theory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3
38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솔 2002
TV드라마 외주제작 정책현황 및 대응방안 -사전제작 의무외주비율을 중심으로-
새로운 예술형식으로서의 인터랙티브 비디오 퍼포먼스 가능성 연구 -작품〈Cycle of Hollow(虛)〉를 중심으로-
응시의 시각적 재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31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