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의 현황과 법적 과제 = Study on the Administrative Compulsions and its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4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been raised a number of problems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which enforces an administrative obligation has been steadily discussed. This discussion...

      Recently,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been raised a number of problems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which enforces an administrative obligation has been steadily discussed. This discussion is based on what apart from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and “National Tax Collection Act” a general act of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an advantage for an application of public law principle and for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The need for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in regard to administrative compulsion is in a way acceptable, but it is necessary that we distinguish a necessity from effectiveness.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might not resolve all problem. Korean current individual legislation which each law provide an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an advantage in point of respect of legislator and adaptability of administration.
      However, it is undeniable fact that the current system has problem for the restriction of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lack of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Moreover, a citizen has less possibility for a protection of his rights and an administrative remedies in the process of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conclusion it is more effective to continue the improvement of current individual legislation or make an effort its perfection than to enact new a general 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비교적 최근에 행정집행의 실효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면서, 행정상 의무이행을 강제할 수단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이 꾸준히 논의되고 있다. 행정집행에 있어서 ...

      비교적 최근에 행정집행의 실효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면서, 행정상 의무이행을 강제할 수단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이 꾸준히 논의되고 있다. 행정집행에 있어서 행정대집행법과 국세징수법상의 대집행과 강제징수 이외에 개별법상의 이행강제금과 직접 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필요성이 오히려 행정작용에 대한 공법상의 규율필요성, 기본권 보호의 강화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행정강제에 있어서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은 타당한 논거를 가지고 있지만,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과 그 유용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행정대집행법의 예에서 보듯이, 행정작용에 근거가 되는 개별법상의 규정 체계와 일반법의 적용 문제는 행정 실무상의 문제로, 일반법의 제정이 행정집행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행의 개별법상 필요한 강제집행 수단을 선별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제는 입법자 입법재량 존중 측면에서, 행정 현장에서의 적응성의 측면에서 보면 현행 법체계도 그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행정 목적 달성의 실효성, 행정현장에서 집행 공무원의 편의성에만 국한하여, 국민의 기본권 보호에 관한 논의 보다는 다양한 제재수단을 마련하고 있는데 반해 개별법상 행정집행의 한계 및 제한에 관한 사항 등에 관한 미비점이 발견된다. 즉 비례의 원칙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또한 행정소송에 있어서 국민의 권리구제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점은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중 사실행위로서의 성질을 가지는 사안에 있어서는 손해배상, 손실보상 등 금전적 전보 이외에는 권리 보호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은 더구나 이 영역에서 제재수단의 선택에 신중함을 기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에 착안하여, 행정소송법의 개정이나 행정상 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안 이전에 제시할 수 있는 차선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개별법상 행정상 실효성 확보수단이 학설과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비추어 미흡한 점이 없는 지를 살펴보고, 법령의 명확성 측면이나 사인의 권리구제에 있어서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행정집행에 관한 일반법이 제정되어 있지 않은 프랑스는 행정상 실효성 확보수단의 인정에 있어서 신중을 기하고 있고, 행정상 강제집행제도가 인정되고 있지만, 법령의 규정이 명확하고, 비례의 원칙의 입각하여 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태, "현행 행정집행제도의 체계상의 문제점" 비교법학연구소 49 : 699-738, 2016

      2 김유환, "현대 행정법강의" 법문사 763-, 2019

      3 조태제, "행정집행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법조협회 53 (53): 80-121, 2004

      4 박재윤, "행정집행에 관한 통일적 규율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공법학회 40 (40): 433-466, 2011

      5 최봉석, "행정상 즉시강제의 안착(安着)을 위한 법치국가적 과제" 유럽헌법학회 (20) : 423-456, 2016

      6 이기춘, "행정상 즉시강제에 관한 연구 ― 즉시강제이론의 재구성 再論 ―" 한국공법학회 39 (39): 289-316, 2011

      7 김연태,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적 개선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27 (27): 121-152, 2016

      8 송동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비교법적 검토 - 독일과 한국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64 : 257-275, 2014

      9 신상민, "행정상 강제수단의 관계와 체계화 방안" 법학연구소 (42) : 167-202, 2016

      10 박정훈, "행정법의 체계와 방법론" 박영사 541-, 2005

      1 김연태, "현행 행정집행제도의 체계상의 문제점" 비교법학연구소 49 : 699-738, 2016

      2 김유환, "현대 행정법강의" 법문사 763-, 2019

      3 조태제, "행정집행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법조협회 53 (53): 80-121, 2004

      4 박재윤, "행정집행에 관한 통일적 규율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공법학회 40 (40): 433-466, 2011

      5 최봉석, "행정상 즉시강제의 안착(安着)을 위한 법치국가적 과제" 유럽헌법학회 (20) : 423-456, 2016

      6 이기춘, "행정상 즉시강제에 관한 연구 ― 즉시강제이론의 재구성 再論 ―" 한국공법학회 39 (39): 289-316, 2011

      7 김연태,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적 개선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27 (27): 121-152, 2016

      8 송동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비교법적 검토 - 독일과 한국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64 : 257-275, 2014

      9 신상민, "행정상 강제수단의 관계와 체계화 방안" 법학연구소 (42) : 167-202, 2016

      10 박정훈, "행정법의 체계와 방법론" 박영사 541-, 2005

      11 홍정선, "행정법원론(上)" 박영사 1304-, 2019

      12 박균성, "행정법론(上)" 박영사 1194-, 2009

      13 김남진, "행정법Ⅰ" 법문사 944-, 2014

      14 박균성, "행정법 강의" 박영사 1342-, 2019

      15 정훈, "한국의 행정제재 현황과 문제점" 법학연구소 33 (33): 267-293, 2013

      16 박균성, "한국과 프랑스의 식품안전법제에 관한 비교연구" 법학연구소 47 (47): 81-120, 2012

      17 강지은, "프랑스 행정절차법상 일방적 행정행위 ― 행정절차법전 제2권의 주요개념 및 해석원리를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9) : 29-51, 2017

      18 박현정, "프랑스 행정소송법상 가처분결정의 잠정적 효력"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55) : 1-28, 2018

      19 김동희, "프랑스 行政法上의 行政行爲의 觀念에 대한 一考" 법학연구소 46 (46): 238-277, 2005

      20 강지은, "제재적 행정처분에 대한 소송 - 프랑스의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545-568, 2013

      21 김형섭, "의무이행확보수단으로서의 제재적 행정처분에 관한 소고" 한양법학회 26 (26): 167-188, 2015

      22 Nelly Ferreira, "La notion d'exécution d'office" 41-44, 1999

      23 Pierre Delvolvé, "La définition des actes administratifs" (01) : 35-39, 2016

      24 David Bailleul, "L'exécution des décisions administratives par le juge" 386-392, 2008

      25 Pierre-Laurent Frier, "L'exécution d'office : principe et évolutions" 45-48, 1999

      26 Jean WALINE, "Droit administratif" Dalloz 72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