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우장 추정을 위한 공간보간기법의 적용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3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돌발성 집중호우 등의 기상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재해로 인한 피해의 대응을 위해서 강우의 정밀한 관측과 더불어서 정확한 공간분포의 파악도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돌발성 집중호우 등의 기상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재해로 인한 피해의 대응을 위해서 강우의 정밀한 관측과 더불어서 정확한 공간분포의 파악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레이더 강우자료 등을 같이 활용하는 연구도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지상우량계의 강우공간분포를 추정하는데에는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공간보간기법인 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여 강우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리깅 기법인 OK(Ordinary Kriging), CK(Co-Kriging) 방법과 함께 KED(Kriging with External Drift) 기법을 적용하여 강우장을 추정하고 비교하여 각각의 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정량적 평가 결과, OK 기법은 상관계수 0.978, Slope best-fit line 0.915, R2 0.957의 값을 가지며 MAE, RMSE, MSSE, MRE 값이 0에 가장 근접하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KED, CK 순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정량적 평가만으로는 강우의 공간분포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하는데 있어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강우공간분포의 참값으로 가정되는 레이더강우장 과의 공간분포특성을 수치화하여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the natural disaster like localized heavy rainfall due to the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issue that the precise observation of rainfall and accurat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ainfall for fast recovery of dam...

      In recent, the natural disaster like localized heavy rainfall due to the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issue that the precise observation of rainfall and accurat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ainfall for fast recovery of damaged region. Thus, researches on the use of the radar rainfall data have been performed.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using rain gauge. Accordingly, this study uses the Kriging method which is a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to measure the rainfall field in Namgang river dam ba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KED(Kriging with External Drift) with OK(Ordinary Kriging) and CK(Co-Kriging), generally used in Korea, to estimate rainfall field and compare each method for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each method.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the OK method using the raingauge only has 0.978 of correlation coefficient, 0.915 of slope best-fit line, and 0.957 of R2 and shows an excellent result that MAE, RMSE, MSSE, and MRE are the closest to zero. Then KED and CK are in order of their good results. But the quantitative assessment alone has limitations in the evaluation of the methods for the precise estim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to application of more sophisticated methods which can qua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is can be used to compare the similarity of rainfall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강우의 공간분포 분석을 위한 공간보간기법
      • 2.1 공간보간기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강우의 공간분포 분석을 위한 공간보간기법
      • 2.1 공간보간기법
      • 2.2 크리깅 기법
      • 3. 대상지역 및 자료수집
      • 3.1 대상 지역
      • 3.2 분석자료 및 절차
      • 4.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강우장의 추정 및 평가
      • 5. 요약 및 결론
      • 사사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민, "확률강우량의 공간분포 추정을 위한 KED 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3 (43): 757-767, 2010

      2 노희성,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한국습지학회 14 (14): 243-254, 2012

      3 김광호, "크리깅 방법을 기반으로 한 레이더 강우강도 오차 조정" 한국지구과학회 34 (34): 13-27, 2013

      4 김병식, "지형분석모형과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모형 개발 : Ⅱ. 태풍 루사에 의한 양양 남대천 유역의 돌발홍수 모니터링" 대한토목학회 27 (27): 161-169, 2007

      5 김병식, "지형분석모형과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모형 개발 : Ⅰ. 방법론 및 모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 27 (27): 151-159, 2007

      6 김수전,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 30 (30): 159-167, 2010

      7 박노욱,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 43 (43): 1002-1015, 2008

      8 신현석,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지상강우의 보정방법 연구" 한국습지학회 16 (16): 19-32, 2014

      9 박진혁,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0 (10): 13-21, 2007

      10 김연수, "레이더 자료의 해상도를 고려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GIS 자료 최적 격자의 결정" 한국습지학회 13 (13): 105-116, 2011

      1 서영민, "확률강우량의 공간분포 추정을 위한 KED 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3 (43): 757-767, 2010

      2 노희성,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한국습지학회 14 (14): 243-254, 2012

      3 김광호, "크리깅 방법을 기반으로 한 레이더 강우강도 오차 조정" 한국지구과학회 34 (34): 13-27, 2013

      4 김병식, "지형분석모형과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모형 개발 : Ⅱ. 태풍 루사에 의한 양양 남대천 유역의 돌발홍수 모니터링" 대한토목학회 27 (27): 161-169, 2007

      5 김병식, "지형분석모형과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모형 개발 : Ⅰ. 방법론 및 모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 27 (27): 151-159, 2007

      6 김수전,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 30 (30): 159-167, 2010

      7 박노욱,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 43 (43): 1002-1015, 2008

      8 신현석,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지상강우의 보정방법 연구" 한국습지학회 16 (16): 19-32, 2014

      9 박진혁,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0 (10): 13-21, 2007

      10 김연수, "레이더 자료의 해상도를 고려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GIS 자료 최적 격자의 결정" 한국습지학회 13 (13): 105-116, 2011

      11 강나래, "레이더 강우 자료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출 모의" 한국습지학회 15 (15): 413-422, 2013

      12 백승균,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을 위한 공동크리깅 적용성 평가" 기후연구소 6 (6): 242-253, 2011

      13 홍승진, "강우계와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의 시공간적인 활용"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8 (18): 37-48, 2010

      14 Park, JH, "Verification of the Distributed Model Application Using the Radar Rainfall Image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9

      15 배영혜, "The Study on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Runoff Model with Gauge-adjusted Radar data" 한국습지학회 12 (12): 51-61, 2010

      16 Smith, J. A., "Radar rainfall estim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ing in small urban watersheds" 30 (30): 2087-2097, 2007

      17 Brandes, E. A., "Optimizing Rainfall Estimates with the Aid of Radar" 14 : 1339-1345, 1975

      18 Kim, SJ., "Noise Reduction Analysis of Radar Rainfall Using Chaotic Dynamics and Filtering Techniques" 10-, 2014

      19 Adams, R., "Modeling runoff in an urban catchment using VfloTM and QPE" 162 (162): 2009

      20 Choi, JG, "Geostatistics" Sigma press 2007

      21 Schiemann, R., "Geostatistical radar-raingauge combination with nonparametric correlograms :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 in Switzerland" 15 : 1515-1536, 2011

      22 Christian, B., "Geostatistical merging of rain gauge and radar data for high temporal resolutions and various station density scenarios" 508 : 88-101, 2014

      23 Goudenhoofdt, E., "Evaluation of radar-gauge merging methods fo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es" 13 : 195-203, 2009

      24 Vieux, B. E., "Evaluation of a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for flood forecasting" 298 : 145-154, 2004

      25 Bourennane, H., "Comparison of kriging with external drift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for predicting soil horizon thickness with different sample densities" 97 (97): 255-271, 2000

      26 Hengl, T., "Comparison of kriging with external drift and regression-kriging"

      27 황세운, "Co-kriging 기법을 이용한 일강우량 공간분포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 39 (39): 669-676, 2006

      28 Won, DC,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Kyungil University 2013

      29 Bernard, S. M., "Analysis of External Drift Kriging Algorithm with application to precipitation estimation in complex orography" ITC 2007

      30 Koistinen, J., "An improved spatial gauge-radar adjustment technique" 1179-1186, 1981

      31 Noh, HS, "Accuracy Evaluation and Hydrological Applicability of Gauge and Radar Rainfall Considering Wind Effect" Inha University 2015

      32 Carlos, A., "A non-parametric automatic blending methodology to estimate rainfall fields from rain gauge and radar data" 32 : 986-1002, 2008

      33 Krajewski, W. F., "A monte carlo study of rainfall sampling effect on a distributed catchment model" 27 (27): 119-128, 1991

      34 Bae, MS, "A Runoff Analysis by Kriging Method for the Nam River Dam Bas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8

      35 Jin, L., "A Review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Environmental Scientis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