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검증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자료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Hayes(2013)의 PROCESSmacro(Model=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 그릿,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 관계에서 그릿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자료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Hayes(2013)의 PROCESSmacro(Model=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 그릿,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 관계에서 그릿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Hayes (2013)’s PROCESS macro (Model=4), a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using bootstrapping. There were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rit level in order to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collected d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Hayes (2013)’s PROCESS macro (Model=4), a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using bootstrapping. There were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rit level in order to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07-123, 2004

      2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연구" 6 : 541-552, 1997

      3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15

      4 황매향,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301-319, 2017

      5 민솔비, "체육계열 대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25-138, 2018

      6 황서윤,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그릿과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017

      7 류수현,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관계와 자아 정체감의 관계에서 인터넷 몰입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2018

      8 옥 정,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 지각된 유능감(Perceived Competence)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9 김계현, "상담심리학" 학지사 2002

      10 이현주,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41-59, 2010

      1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07-123, 2004

      2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연구" 6 : 541-552, 1997

      3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15

      4 황매향,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301-319, 2017

      5 민솔비, "체육계열 대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25-138, 2018

      6 황서윤,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그릿과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017

      7 류수현,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관계와 자아 정체감의 관계에서 인터넷 몰입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2018

      8 옥 정,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 지각된 유능감(Perceived Competence)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9 김계현, "상담심리학" 학지사 2002

      10 이현주,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41-59, 2010

      11 김래경,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12 임수진, "부모애착과 심리적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49-363, 2015

      13 문명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애착과 진로기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21-245, 2015

      14 한혜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대학생(4년제) 및 전문대학생(2-3년제) 간의 다집단 분석" 영남대학교 2016

      15 최동선,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115-143, 2003

      16 장지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7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 311-333, 1997

      18 정미경, "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소 9 (9): 65-81, 2019

      19 정진철, "대학생의 전공몰입이 진로탐색효능감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7 (27): 229-250, 2012

      20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1 황은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Grit)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2017

      22 이은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태도성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529-548, 2009

      23 김누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7

      24 윤정원, "대학생의 그릿(Grit)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7

      25 이지영, "대학생의 그릿(Grit)과 어려운 과제 수행의 관계 : 자기조절효능감과 몰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26 강차연,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13 (13): 51-69, 2001

      27 황광원, "그릿(Grit)의 인성교육 적용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2017

      28 김수정,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국민대학교 2017

      29 이솔지, "경호학과 학생들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과학회 4 (4): 85-104, 2015

      30 Gravino, K. L, "The role of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63 (63): 2650-, 2002

      31 Bowlby, J, "The nature of the child's the to his mother" 39 : 350-373, 1958

      32 Armsden, G. 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16 (16): 427-454, 1987

      33 Kenny, M. E, "The extent and function of parental attachment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16 (16): 17-27, 1987

      34 Ainsworth, M. D. S, "Object relations, dependency, and attachment : A theoretical review of the infant-mother relationship" 40 : 969-1025, 1969

      35 Barber, A. E, "Job search activities: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47 (47): 739-766, 1994

      36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Guilford 2013

      37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 1087-1101, 2007

      38 Blustein, D. L, "Contribution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38 : 39-50, 1991

      39 Kenny, M. E, "College senior's perceptions of parental attachment : The value and stability of family ties" 31 : 39-46, 1990

      40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 Retrospect and prospect" 52 (52): 664-678, 1982

      41 Levy, J. M, "Attachment and Grit : Exploring possible contributions of attachment styles(from past and present life)to the adult personality construct of Grit" 4 (4): 16-49, 2011

      42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 282-298,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