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이상 강제금연자의 재흡연과 관련요인 정 진 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전공 (지도교수 남해성)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 의지가 아닌 강제로 금연한 강제금연자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31493
대전: 忠南大學校 保健大學院, 2017
학위논문(석사) -- 忠南大學校 保健大學院 , 보건학 전공 , 2017. 2
2017
한국어
614 판사항(22)
대전
The Factors Related to Smoking Relapse for People Forced to Smoking Cessation for ≥1 Year
38 p.; 26 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남해성
참고문헌 : p.30-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년 이상 강제금연자의 재흡연과 관련요인 정 진 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전공 (지도교수 남해성)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 의지가 아닌 강제로 금연한 강제금연자의 ...
1년 이상 강제금연자의 재흡연과 관련요인
정 진 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전공
(지도교수 남해성)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 의지가 아닌 강제로 금연한 강제금연자의 출소 후 강제성이 소멸된 뒤 재흡연 양상과 재흡연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범법자 수용병원에서 1년 이상 수용 후 출소한 사람(강제 금연기간이 1년 이상인 사람)을 기준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8월 31일 사이에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하여 설문에 응답한 성인남자 8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특성, 흡연관련 특성, 금연관련 특성 및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여 강제금연기간에 따른 재흡연율 양상과 재흡연 관련요인에 대해 SPSS(Version 22.0)로 유의수준 p<0.05에서 χ2-검정, t-test, Logistic regression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의 전체 재흡연율은 56.8%였고, 교도소를 포함한 집단거주시설로 출소한 경우, 현재 지지자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경우, 금연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금연동기, 금연자신감, 금연준비도가 낮은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흡연율이 높았으며, 재흡연군이 금연유지군에 비해 강제금연기간이 길고, 총 흡연기간은 짧았으며, 입소 전 흡연량이 더 많고, 니코틴 의존도는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았다.
강제금연 기간이 길수록 재흡연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로, 자발적 금연의지가 아닌 강제적으로 금연을 시행한 대상자가 출소하여 흡연행위를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강제금연 기간은 금연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대상자의 니코틴 의존도가 높고, 교도소를 포함한 집단거주시설로 출소한 경우에 재흡연에 대한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범법자 수용병원에서는 수용자의 지속적인 금연유지를 위하여 강제금연을 지속하는 수용기간 동안 적극적인 금연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출소 후 치료계획에 금연관리가 포함되도록 교도소 및 집단거주시설과 연계하여 금연유지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등 수용자가 출소 후에도 지속적인 금연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중심단어 : 범법자 수용병원, 강제금연, 재흡연, 금연의지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