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WCI6-EtAICI2 촉매에 의한 폴리(페닐아세틸렌)의 합성과 전자-광 및 전기화학적 특성연구 = Synthesis of Poly(phenylacetylene) Catalyzed by WCI6-EtAICI2 and Its Electro-opt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16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WCl6-EtAlCl2촉매계를 이용하여 비교적 큰 분자량을 갖는 폴리(페닐아세틸렌)을 합성하였다.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었으며 중합수율은 81%였다. 합성한 폴리(페닐아세틸렌) 분자구조를 NMR (1H-,13C-...

      WCl6-EtAlCl2촉매계를 이용하여 비교적 큰 분자량을 갖는 폴리(페닐아세틸렌)을 합성하였다.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었으며 중합수율은 81%였다. 합성한 폴리(페닐아세틸렌) 분자구조를 NMR (1H-,13C-),IR,UV-visible,원소분석 등으로 분석한 결과 페닐 치환기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332 nm의 빛으로 여기시킬 경우 PL 최대 peak는 424 nm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2.93 eV의 광 에너지에 해당한다. 이 고분자의 순환 전압전류 그림은 도핑과 탈도핑사이에서 비가역적인 전기화학적 거동을 보여주었다. 이 고분자의 전기화학적 과정이 매우 안정하였으며, 스캔속도에 따른 산화전류밀도 실험으로부터 이 고분자의 산화-환원 과정은 확산-제어과정에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y(phenylacetylene) with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was prepared by using WCl6-EtAlCl2catalystsystem.This polymerization proceeded well in the mild reaction condition to give a high yield of polymer (polymer yield: 81 %). The chemical structur...

      Poly(phenylacetylene) with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was prepared by using WCl6-EtAlCl2catalystsystem.This polymerization proceeded well in the mild reaction condition to give a high yield of polymer (polymer yield: 81 %). The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ylacetylene) was characterized by such instrumental methods as NMR (1H-,13C-),IR,UV-visiblespectroscopies,andelementalanalysistohavetheconjugatedpolymerbackbonebearingphenylsubstituents. The photoluminescence maximum peak of polymer was located at 424 nm, which corresponds to the photon energy of 2.93 eV. The cyclovoltammograms of poly(phenylacetylene) exhibited the electrochemically stable window at the -1.5 ~ +1.5 V region. The kinetics of the redox process of poly(phenylacetylene) was found to be mainly controlled by the reactant diffusion process based on the experiment of the oxidation current density of polymer versus the scan ra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