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진군, 2022
2 해남군, "「한국의 고려청자요지」 세계유산 지정을 위한 해남 화원면 청자요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3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군 산이면 녹청자 도요지" 1987
4 해남군, "해남 화원 초기청자 가마터의 성격과 해양 교류" 2011
5 해남군, "해남 청자의 현황과 성격" 2019
6 해남군, "해남 청자요지 정밀지표조사" 2020
7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진산리 녹청자요지" 1992
8 문화재청, "한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정비" 2007
9 김희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추진 현황과 과제-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향토문화개발협의회 35 : 2016
10 문화재청,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2020
1 강진군, 2022
2 해남군, "「한국의 고려청자요지」 세계유산 지정을 위한 해남 화원면 청자요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3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군 산이면 녹청자 도요지" 1987
4 해남군, "해남 화원 초기청자 가마터의 성격과 해양 교류" 2011
5 해남군, "해남 청자의 현황과 성격" 2019
6 해남군, "해남 청자요지 정밀지표조사" 2020
7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진산리 녹청자요지" 1992
8 문화재청, "한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정비" 2007
9 김희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추진 현황과 과제-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향토문화개발협의회 35 : 2016
10 문화재청,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2020
11 조유진, "세계유산 확장 등재에 대한 연구" 서울역사편찬원 (91) : 229-261, 2015
12 박진재, "세계문화유산 제도의 전개 양상과 운영의 추이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13 심승구, "북한산성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전략 - 한양도성과 연융대성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 북악사학회 (11) : 145-176, 2020
14 부안군, "부안고려청자유적지구 세계유산잠정목록 신청서"
15 김희태, "고려청자 요지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전략과 방안" 주최 강진군·부안군·해남군, 주관 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22
16 전라남도, "강진 도요지 세계유산 등재 기본계획" 2018
17 김희태, "강진 고려청자 요장의 세계유산 추진 전략" 전라남도·강진군·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민족문화유산연구원, 후원 세계유산고려청자요지보존회 2021
18 해남군, "『해남 진산리 청자요장 성격』-74호 발굴조사 보고서-" 2020
19 박소현, "『세계유산협약의 유형·무형 유산 연계가치 연구』-세계유산등재를 위한 가치 기준 여섯째 항목(OUV Criterion vi)을 중심으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2
20 조기정, "『녹청자소고(綠靑磁小考)』-해남 산이면 녹청자도요지를 중심으로-" 무등도요 토석도요문화연구원 1987
21 해남군, "‘한국의 고려청자 요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협약서"
22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23년도 문화재위원회 제3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23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23년도 문화재위원회 제2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2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23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25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22년도 문화재위원회 제6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26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22년도 문화재위원회 제4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27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20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