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강함수제 개발을 위한 오매, 비파엽, 오가피, 백지의 구취억제효과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8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희,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구취감소용 양치액의 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8 (28): 1-10, 2003

      2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23-937, 1998

      3 김진성, "타액침전물모델을 이용한 청구감로수 구성약물의 구취억제작용" 대한한의학회 30 (30): 79-87, 2009

      4 정호용, "타액과 설태량에 따른 구취발생에 관한 임상실험 연구"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2005

      5 박찬엘, "오매로부터 Helicobacter pylori의 urease 활성억제물질 분리에 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2006

      6 이상복, "송진과 죽염이 배합된 분말세치제가 치은염과 치아지각과민증에 미치는 영향" 54 (54): 71-81, 2003

      7 임대훈, "사과, 포도 및 상추 추출물을 이용한 구취억제 구강세정액의 개발" 부경대산업대학원 2006

      8 대한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집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129-616, 1994

      9 이은숙, "녹차 및 결명자 추출물의 치주조직병 원인균에 대한 억제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 27 (27): 569-580, 2003

      10 Kim JS, "구취 환자에 대한 음허 변증과 심박변이도 검사의 유용성" 7 (7): 1-8, 2001

      1 이준희,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구취감소용 양치액의 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8 (28): 1-10, 2003

      2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23-937, 1998

      3 김진성, "타액침전물모델을 이용한 청구감로수 구성약물의 구취억제작용" 대한한의학회 30 (30): 79-87, 2009

      4 정호용, "타액과 설태량에 따른 구취발생에 관한 임상실험 연구"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2005

      5 박찬엘, "오매로부터 Helicobacter pylori의 urease 활성억제물질 분리에 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2006

      6 이상복, "송진과 죽염이 배합된 분말세치제가 치은염과 치아지각과민증에 미치는 영향" 54 (54): 71-81, 2003

      7 임대훈, "사과, 포도 및 상추 추출물을 이용한 구취억제 구강세정액의 개발" 부경대산업대학원 2006

      8 대한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집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129-616, 1994

      9 이은숙, "녹차 및 결명자 추출물의 치주조직병 원인균에 대한 억제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 27 (27): 569-580, 2003

      10 Kim JS, "구취 환자에 대한 음허 변증과 심박변이도 검사의 유용성" 7 (7): 1-8, 2001

      11 엄국현, "淸口甘露水의 구취억제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 28 (28): 356-364, 2007

      12 정미영, "枇杷葉의 치주염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염효과" 대한한의학회 29 (29): 182-192, 2008

      13 Lee H,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duced by Helicobacter pylori" 40 (40): 421-426, 2006

      14 Loesche WJ,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mouthrinses on oral malodor and their status relative to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gulation" 30 (30): 311-318, 1999

      15 Cho SW, "The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on deodorizing activity of apple extract against methyl mercaptan" 30 (30): 1301-1304, 2001

      16 Bae KH, "The effect of mouserinse products containing sodium fluride, cetylpyridinium chloride(CPC), pine leaf extracts and green tea extracts on plague, gingivitis, dental caris and halitosis" 25 (25): 51-59, 2001

      17 Tamaki K, "Studies on the deodorization by mushroom (Agaricus bisporus) extract of garlic extract-induced oral malodor" 53 (53): 277-286, 2007

      18 Flotra L, "Side effects of chlorhexidine mouth washes" 79 (79): 119-125, 1971

      19 Rosenberg M, "Selfestimation of oral malodor" 74 : 1577-1582, 1995

      20 Tonzetich J, "Reduction of malodor by oral cleansing procedures" 42 : 172-181, 1976

      21 Bosy A, "Oral malodor: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spects" 63 : 196-201, 1997

      22 Pratibha PK, "Oral malod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80 (80): 8-, 2006

      23 Kleinberg I, "Modeling of the oral malodor system and methods of analysis" 30 : 357-359, 1999

      24 Inwook Choi, "Measurements of Deodorizing Activities of the Beverage Formulated with Green Tea Extract, Champignon Extract and Cyclodextrin" 한국식품과학회 13 (13): 318-322, 2004

      25 Rosenberg M, "Measurement of oral malodor: current methods and future prospects" 63 : 776-782, 1992

      26 Weinberg M, "Halitosis: the 'bad breath' syndrome" 26 (26): 46-57, 2001

      27 Kleinberg I, "H2S generation and Eh reduction in cysteine challenge testing as a means of determining the potential of test products and treatments for inhibiting oral malodor" 2 : 1-9, 2008

      28 Fiss EM, "Formation of chloroform and other chlorinated byproducts by chlorination of triclosan-containing antibacterial products" 41 (41): 2387-2394, 2007

      29 Park MS, "Epidemiologic Study on Oral Malodor for Korean" 26 (26): 107-114, 2001

      30 Sterer N, "Effect of various natural medicinals on salivary protein putrefaction and malodor production" 37 (37): 653-658, 2006

      31 Sterer N, "Effect of various natural medicinals on salivary protein putrefaction and malodor production" 55 (55): 9465-9469, 2007

      32 McDowell JD, "Diagnosing and treating halitosis" 124 : 55-64, 1993

      33 Kida K, "Deodorizing effects of tea catechins on amines and ammonia" 66 (66): 373-377, 2002

      34 Tokita F, "Deodorizing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methyl mercaptan" 58 (58): 585-589, 1984

      35 Kleinberg I, "Cysteine challenge testing: a powerful tool for examining oral malodour processes and treatments in vivo" 52 (52): 221-228, 2002

      36 Greenberg M, "Compressed mints and chewing gum containing magnolia bark extract are effective against bacteria responsible for oral malodor" 55 (55): 9465-9469, 2007

      37 Scully C, "Breath odor: etiopathogenesis, assessment and management" 105 (105): 287-293, 1997

      38 Rosenberg M, "Bad breath: diagnosis and treatment" 3 (3): 7-11, 1990

      39 De Boever EH,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anaerobic microflora of the tongue to oral malodor" 126 : 1384-1393,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KCI등재
      2013-05-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 Journal of Korean Medicin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0.5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