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태진, "金致陽亂의 性格" 17 : 1977
2 윤홍기,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 13 : 2001
3 남동신,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1993
4 이종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묘청 관련 서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역사교육학회 (52) : 261-295, 2014
5 戶川芳郞, "유교사" 이론과 실천 1990
6 하워드 웨슬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윈 2005
7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8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9 정수아, "고려중기 개혁정치와 북송신법의 수용"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10 안지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의례 연구 : 연등·팔관회와 제석도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 이태진, "金致陽亂의 性格" 17 : 1977
2 윤홍기,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 13 : 2001
3 남동신,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1993
4 이종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묘청 관련 서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역사교육학회 (52) : 261-295, 2014
5 戶川芳郞, "유교사" 이론과 실천 1990
6 하워드 웨슬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윈 2005
7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8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9 정수아, "고려중기 개혁정치와 북송신법의 수용"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10 안지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의례 연구 : 연등·팔관회와 제석도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1 박종덕,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부산경남사학회 (105) : 211-244, 2017
12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신구문화사 2015
13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하현강, "高麗西京考" 35·36 : 1967
15 이병도, "高麗時代의 硏究" 亞細亞文化社 1980
16 김기덕, "高麗時代 開京과 西京의 風水地理와 遷都論" 한국사연구회 (127) : 177-210, 2004
17 박성봉, "高麗史의 제문제" 삼영사 1986
18 "高麗史節要"
19 "高麗史"
20 洪承基, "高麗初期 政治와 風水地理" 일조각 14 : 1994
21 김병인, "高麗 睿宗·仁宗代 政治勢力 비교연구" 17 : 2001
22 이정란,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 고려사학회 (55) : 7-41, 2014
23 南仁國, "高麗 仁宗代 政治支配勢力의 性分과 動向" 15 : 1990
24 김기덕, "韓國 中世社會에 있어 風水圖讖思想의 전개과정*-高麗初期에서 朝鮮初期까지 遷都論議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1) : 141-178, 2006
25 최병헌,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 -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11 : 1975
26 "補閑集"
27 "東文選"
28 "朝鮮金石總覽 上"
29 "書經集傳"
30 陳芳明, "中國의 歷史認識 下" 創作과 批評社 1985
31 西嶋定生, "中国古代国家と東アジア世界" 東京大学出版会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