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인종대 서경천도론과 풍수지리사상 = The Debate of Transferring Capital of Seokyung and the Thoery of Fungshui of Goryeo Dynasty in King IN-jeong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4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ejo Wang Geon founded the Koryo Dynasty and emphasized Goryeo's legitimacy. This is part of the succession of the Silla dynasty and whether he received the fiat from heaven. First of all, his fiat consciousness can be found in 『Goryeosa』 and Hunyosibjo. The fiat consciousness of Goryeo Taejo is characterized by being linked to the idea of divination based on tipography. The sanctity of this Wang Gun is also confirmed in the Hunyosibjo. The following is the succession of Silla. Taejo Wang Geon emphasized the succession of Shenyang and the Gung Ye regime to reveal that Goryeo inherited Silla.
      Since this point has been settled, Goryeo has acted diligently in the management of Soegeong which is actively and Sudeok. Seongjong as well as Jeongjeong transferring Capital of Seokyung, Seongjong was equipped with the formation of the October ritual. This Seokyung centric order began to fall out of the age of King Yejong, and it was intended to correct it. King Injong did not take control of the state because of his accession to the throne by Lee Ja geom' forces, and the revolt of his interest. He changed this political situation and tried to carry out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eokyung in order to control administrative control by King Injong himself. Seokyeong is an area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 kingdom along with the clarity of the dynasty. To this end, King Injong tried to dominate the opposition forces such as Kim Boo Sik by renewing the gwageo and the gookhak management by using the new law of Wang An-Shek as a model. And he came to Seokyeong and proclaimed the Yyushinjigeo.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letter of Eizi's statement that the Seokyeong' Daewhagong is a place where it can fulfill these intentions of King Injong.
      Howev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eokyeong was not accomplished, and the revolt of the Myeongcheong was suppressed. Since then, King Injong has praised Sa-ma Gung's Hungeomoon which was the opposition party of Wang An-Shi. This shows that King Injong has changed his administration's direction as well as the status of Seokyeong in Goryeo dynasty. Realistically, after that, Seogyeong became a negative perception that it was a place of rebellion, and this was to foresee the change of the central order of Seogyeong civilization.
      번역하기

      Taejo Wang Geon founded the Koryo Dynasty and emphasized Goryeo's legitimacy. This is part of the succession of the Silla dynasty and whether he received the fiat from heaven. First of all, his fiat consciousness can be found in 『Goryeosa』 and Hun...

      Taejo Wang Geon founded the Koryo Dynasty and emphasized Goryeo's legitimacy. This is part of the succession of the Silla dynasty and whether he received the fiat from heaven. First of all, his fiat consciousness can be found in 『Goryeosa』 and Hunyosibjo. The fiat consciousness of Goryeo Taejo is characterized by being linked to the idea of divination based on tipography. The sanctity of this Wang Gun is also confirmed in the Hunyosibjo. The following is the succession of Silla. Taejo Wang Geon emphasized the succession of Shenyang and the Gung Ye regime to reveal that Goryeo inherited Silla.
      Since this point has been settled, Goryeo has acted diligently in the management of Soegeong which is actively and Sudeok. Seongjong as well as Jeongjeong transferring Capital of Seokyung, Seongjong was equipped with the formation of the October ritual. This Seokyung centric order began to fall out of the age of King Yejong, and it was intended to correct it. King Injong did not take control of the state because of his accession to the throne by Lee Ja geom' forces, and the revolt of his interest. He changed this political situation and tried to carry out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eokyung in order to control administrative control by King Injong himself. Seokyeong is an area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 kingdom along with the clarity of the dynasty. To this end, King Injong tried to dominate the opposition forces such as Kim Boo Sik by renewing the gwageo and the gookhak management by using the new law of Wang An-Shek as a model. And he came to Seokyeong and proclaimed the Yyushinjigeo.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letter of Eizi's statement that the Seokyeong' Daewhagong is a place where it can fulfill these intentions of King Injong.
      Howev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eokyeong was not accomplished, and the revolt of the Myeongcheong was suppressed. Since then, King Injong has praised Sa-ma Gung's Hungeomoon which was the opposition party of Wang An-Shi. This shows that King Injong has changed his administration's direction as well as the status of Seokyeong in Goryeo dynasty. Realistically, after that, Seogyeong became a negative perception that it was a place of rebellion, and this was to foresee the change of the central order of Seogyeong civi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태조 왕건은 고려왕조를 창업하면서 고려의 정통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자신이 하늘의 수명을 받은 존재임과 동시에 고려가 신라를 계승한 왕조임을 강조하였다. 먼저 자신의 수명의식은 『高麗史』 세계편과 훈요십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태조의 수명의식은 풍수지리사상과 연동되어 등장하는 특색이 있다. 이러한 왕건의 신성성은 훈요십조에서도 확인이 된다. 다음은 신라의 승계여부이다. 태조 왕건은 고려가 신라를 승계했음을 밝히기 위하여 선양과 궁예 정권의 계승문제를 중시하였다.
      이 부분을 정리한 이후 고려는 수덕이 강한 서경경영에 적극적이었다. 정종대 서경천도 계획뿐만 아니라 성종대는 서경의 10월 치제의 정형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서경중심질서는 예종대에 어긋나기 시작하였고, 이를 인종대에 바로잡고자 하였다. 인종은 이자겸 세력에 의한 자신의 즉위, 그리고 이자겸의 반란 등으로 국정을 장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을 바꾸고 인종 자신이 국정을 장악하기 위하여 서경 천도를 단행하고자 하였다. 서경은 왕조의 선명성과 함께 국왕권의 강화와 직결되는 지역이다. 이를 위하여 인종은 왕안석의 신법을 모델로 과거제와 국학 운영을 일신하여 김부식 등의 반대파 세력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서경에 행차하여 유신지교를 반포하였다. 서경의 대화궁이 인종의 이러한 의도를 잘 이행할 수 있는 장소라는 것은 이지저의 상소문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서경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묘청의 반란은 진압되었다. 이후 인종은 왕안석의 반대파인 사마광의 훈검문을 찬양하고 있다. 이는 묘청의 반란 이후 고려왕조에서 서경이 가지는 위상뿐만 아니라 인종의 국정기조가 바뀌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이후 서경은 반역의 땅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강해졌으며 이는 서경중심질서가 바뀌어 나감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번역하기

      태조 왕건은 고려왕조를 창업하면서 고려의 정통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자신이 하늘의 수명을 받은 존재임과 동시에 고려가 신라를 계승한 왕조임을 강조하였다. 먼저 자신의 수명의식은 『...

      태조 왕건은 고려왕조를 창업하면서 고려의 정통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자신이 하늘의 수명을 받은 존재임과 동시에 고려가 신라를 계승한 왕조임을 강조하였다. 먼저 자신의 수명의식은 『高麗史』 세계편과 훈요십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태조의 수명의식은 풍수지리사상과 연동되어 등장하는 특색이 있다. 이러한 왕건의 신성성은 훈요십조에서도 확인이 된다. 다음은 신라의 승계여부이다. 태조 왕건은 고려가 신라를 승계했음을 밝히기 위하여 선양과 궁예 정권의 계승문제를 중시하였다.
      이 부분을 정리한 이후 고려는 수덕이 강한 서경경영에 적극적이었다. 정종대 서경천도 계획뿐만 아니라 성종대는 서경의 10월 치제의 정형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서경중심질서는 예종대에 어긋나기 시작하였고, 이를 인종대에 바로잡고자 하였다. 인종은 이자겸 세력에 의한 자신의 즉위, 그리고 이자겸의 반란 등으로 국정을 장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을 바꾸고 인종 자신이 국정을 장악하기 위하여 서경 천도를 단행하고자 하였다. 서경은 왕조의 선명성과 함께 국왕권의 강화와 직결되는 지역이다. 이를 위하여 인종은 왕안석의 신법을 모델로 과거제와 국학 운영을 일신하여 김부식 등의 반대파 세력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서경에 행차하여 유신지교를 반포하였다. 서경의 대화궁이 인종의 이러한 의도를 잘 이행할 수 있는 장소라는 것은 이지저의 상소문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서경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묘청의 반란은 진압되었다. 이후 인종은 왕안석의 반대파인 사마광의 훈검문을 찬양하고 있다. 이는 묘청의 반란 이후 고려왕조에서 서경이 가지는 위상뿐만 아니라 인종의 국정기조가 바뀌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이후 서경은 반역의 땅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강해졌으며 이는 서경중심질서가 바뀌어 나감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진, "金致陽亂의 性格" 17 : 1977

      2 윤홍기,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 13 : 2001

      3 남동신,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1993

      4 이종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묘청 관련 서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역사교육학회 (52) : 261-295, 2014

      5 戶川芳郞, "유교사" 이론과 실천 1990

      6 하워드 웨슬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윈 2005

      7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8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9 정수아, "고려중기 개혁정치와 북송신법의 수용"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10 안지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의례 연구 : 연등·팔관회와 제석도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 이태진, "金致陽亂의 性格" 17 : 1977

      2 윤홍기,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 13 : 2001

      3 남동신,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1993

      4 이종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묘청 관련 서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역사교육학회 (52) : 261-295, 2014

      5 戶川芳郞, "유교사" 이론과 실천 1990

      6 하워드 웨슬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윈 2005

      7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8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9 정수아, "고려중기 개혁정치와 북송신법의 수용"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10 안지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의례 연구 : 연등·팔관회와 제석도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1 박종덕,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부산경남사학회 (105) : 211-244, 2017

      12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신구문화사 2015

      13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하현강, "高麗西京考" 35·36 : 1967

      15 이병도, "高麗時代의 硏究" 亞細亞文化社 1980

      16 김기덕, "高麗時代 開京과 西京의 風水地理와 遷都論" 한국사연구회 (127) : 177-210, 2004

      17 박성봉, "高麗史의 제문제" 삼영사 1986

      18 "高麗史節要"

      19 "高麗史"

      20 洪承基, "高麗初期 政治와 風水地理" 일조각 14 : 1994

      21 김병인, "高麗 睿宗·仁宗代 政治勢力 비교연구" 17 : 2001

      22 이정란,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 고려사학회 (55) : 7-41, 2014

      23 南仁國, "高麗 仁宗代 政治支配勢力의 性分과 動向" 15 : 1990

      24 김기덕, "韓國 中世社會에 있어 風水圖讖思想의 전개과정*-高麗初期에서 朝鮮初期까지 遷都論議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1) : 141-178, 2006

      25 최병헌,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 -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11 : 1975

      26 "補閑集"

      27 "東文選"

      28 "朝鮮金石總覽 上"

      29 "書經集傳"

      30 陳芳明, "中國의 歷史認識 下" 創作과 批評社 1985

      31 西嶋定生, "中国古代国家と東アジア世界" 東京大学出版会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4 1.2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