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의 선양 낭성 암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서 대타액선 혹은 소타액선에서 발병하는 악성 타액선 종양이다. 질병 자체의 희소성과 장기간의 추적 관찰의 필요성 때문에 선행 연구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810642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2023
한국어
선양 낭성 암종 ; 침샘 ; 생존율 ; 예후 ; adenoid cystic carcinoma ; salivary glands ; survival rate ; prognosis
서울
A retrospective study of surgically treate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ofacial region
vii, 41장 : 삽화(주로천연색) ; 26 cm
지도교수: 김형준
I804:11046-00000054975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두경부의 선양 낭성 암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서 대타액선 혹은 소타액선에서 발병하는 악성 타액선 종양이다. 질병 자체의 희소성과 장기간의 추적 관찰의 필요성 때문에 선행 연구들 ...
두경부의 선양 낭성 암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서 대타액선 혹은 소타액선에서 발병하는 악성 타액선 종양이다. 질병 자체의 희소성과 장기간의 추적 관찰의 필요성 때문에 선행 연구들 사이에는 많은 불일치가 있으며 현재까지도 질병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기관에 내원하여 선양 낭성 암종으로 진단받았으며 수술적 치료를 받은 40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선양 낭성 암종 환자의 5년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무질병 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은 84.9%, 36.5%였으며 10년 전체 생존율, 무질병 생존율은 62.9%, 16.2%였다.
2) TNM stage에 따른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및 질병 특이 생존율 (Disease specific survival)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34)
3) pT stage에 따른 무질병 생존율 (Disease free survival)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26)
4) 다변량 분석에 따르면 국소-구역 재발 무병 생존율과 관련된 유의미한 예후 인자는 없었다.
5) 다변량 분석에 따르면 조직학적 등급이 원격 전이 무병 생존율의 유의미한 예후 인자였다. (P = 0.031)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표본 환자 수가 적다는 점, 후향적 연구라는 점에 한계가 있으나,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선양 낭성 암종에 대한 수술 후 병리 조직학적 결과를 확인한 임상가로 하여금 환자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