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훈의 50년 화업은 한국 극사실주의 미술의 탄생과 전개의 역사에 정확히 일치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고영훈은 자신을 솔거와 윤두서의 후예로 여길 만큼 한국 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고영훈의 50년 화업은 한국 극사실주의 미술의 탄생과 전개의 역사에 정확히 일치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고영훈은 자신을 솔거와 윤두서의 후예로 여길 만큼 한국 리...
고영훈의 50년 화업은 한국 극사실주의 미술의 탄생과 전개의 역사에 정확히 일치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고영훈은 자신을 솔거와 윤두서의 후예로 여길 만큼 한국 리얼리즘 미술의 자생적, 주체적 역사 안에서 한국 전통의 미감을 현대적으로 탐색해 오고 있으며, 극사실적 묘사를 통한 ‘한국(성)’의 표현 가능성에 몰두해 왔다. 본 연구는 고영훈 회화에 ‘한국(성)’의 본질이 초기에서 후기로 나아감에 따라 사회적 주체성에서 문화적 정체성의 문제로, 네이션의 근대적 일체감에서 에스니의 원시적 공동체 의식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극사실 회화에서 한국(성)이라는 집단적 의식은 과연 무엇인가?”에 답하기 위해 사회학적⋅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고영훈의 회화뿐만 아니라 1970년대에 태동한 한국 극사실 회화가 민족의 유구한 문화적 연속성 안에서 개인의 체험된 삶을 미학화한 우리 현대미술의 소중한 자산임을 밝히려는 시도의 일환이기도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 Young-hoon’s 50-year painting industry has a very special meaning in that it exactly matches the history of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Korean hyperrealist art. Ko Young-hoon has been modernly exploring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within the ...
Ko Young-hoon’s 50-year painting industry has a very special meaning in that it exactly matches the history of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Korean hyperrealist art. Ko Young-hoon has been modernly exploring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within the self-sustaining and subjective history of Korean realism art to the extent that he considers himself the descendants of Solgeo and Yoon Doo-Seo, and has been immersed in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Korea(Koreanity)” through hyperrealistic descript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ssence of “Korea(Koreanity)” in Ko Young-hoon’s paintings is shifting from social subjectivity to cultural identity and from Nation’s modern sense of unity to Esney’s primitive sense of community, and aims to approach it from a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is is part of an attempt to reveal that not only Ko Young-hoon’s paintings but also Korean hyperreal paintings, which were born in the 1970s, are valuable assets of our contemporary art that aestheticallyize individuals’ experienced lives within the country’s long cultural continu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훈, "한국의 미'를 둘러싼 담론의 특성과 의미" 한국문화인류학회 40 (40): 195-222, 2007
2 박찬승,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의 형성" 한림과학원 (1) : 79-120, 2008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미술의 자생성 간행위원회, "한국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1999
5 "한국미술 다국어용어사전"
6 김영호, "한국 극사실 회화의 미술사적 규정 문제" 현대미술학회 13 : 7-29, 2009
7 "총인구의 4%가 외국인…‘다문화 사회’ 넘어 ‘다민족 국가’"
8 김광억 외, "종족과 민족" 아카넷 2005
9 임근준, "일본인만의 내적인 리얼리티?"
10 진태원,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역사문제연구소 (96) : 169-201, 2011
1 김영훈, "한국의 미'를 둘러싼 담론의 특성과 의미" 한국문화인류학회 40 (40): 195-222, 2007
2 박찬승,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의 형성" 한림과학원 (1) : 79-120, 2008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미술의 자생성 간행위원회, "한국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1999
5 "한국미술 다국어용어사전"
6 김영호, "한국 극사실 회화의 미술사적 규정 문제" 현대미술학회 13 : 7-29, 2009
7 "총인구의 4%가 외국인…‘다문화 사회’ 넘어 ‘다민족 국가’"
8 김광억 외, "종족과 민족" 아카넷 2005
9 임근준, "일본인만의 내적인 리얼리티?"
10 진태원,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역사문제연구소 (96) : 169-201, 2011
11 앤디 워홀, "앤디 워홀의 철학" 미메시스 2007
12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된 공동체 : 민주주의의 기원과 보급에 대한 고찰" 도서출판 길 2018
13 앤서니 D. 스미스, "민족의 인종적 기원" 그린비 2018
14 박명규, "네이션과 민족: 개념사로 본 의미의 간격" 국학연구원 (147) : 27-65, 2009
15 한국사연구회 편,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지식산업사 1995
16 박동천, "“민족”이라는 단어의 등장은 ‘1897년’"
17 Anthony D. Smith, "The Ethnic Origins of Nations" Blackwell 1993
18 Émile Durkheim, "Sociologie et philosophie" PUF 1974
19 Dominique Schnapper, "Qu’est-ce que l’intégration?" Gallimard 2007
20 David Jary, "Collins Dictionary of Sociology" HarperCollins Publishers 1995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문화적 기억과 기념관에서 일제강점기 역사의 재현: ‘아는 지식’을 넘어 ‘삶에 대한 통찰’로 안내
디지털 시대 박물관의 전시연출과 관람양상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