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지용과 김영랑의 시청각 심상에 관한 쟁점 = The Issue over Audio-visual Imagery between Jung Ji-yong and Kim Young-r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지하듯이, 정지용은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며, 김영랑은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다. 두 시인에 관한 대비적인 연구는 이제까지 없었다는 데서, 이 연구는 시작된다.
      정지용이 시각을 창작의 향방으로 삼은 사실이 그가 영미권의 이미지즘 시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본인도 이 사실에 관해 밝힌 일이 없었다. 다만, 「유리창 · 1」에서 유리(창)라고 하는 최소한의 물성이 언어로써 드러나고 있으며, 「바다 · 2」에서는 시각적인 심상을 뚜렷이 엿볼 수 있는 표현이 명료한 것은 분명하다. 그의 2행시인 「겨울」이 이미지즘 시의 전형성을 얻게 되지만 그의 시 전체를 통해 볼 때 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김영랑의 시에 청각적 특성은, 음(⾳)상징, 시의 율격, 악기 소재, 음운의 자질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와 「청명」은 네 번째의 요인에 해당하는바, 가장 우리말다운 음운적 자질인 리을(ㄹ)을 잘 활용하고 있다. 한편 그의 대표적인 시편인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 표현된 ‘하냥’이야말로 그만의 ‘시성(poeticity)’을 유감없이 발휘한 시적 부사어, 언어 자체의 무게와 가치를 지닌 시적 언어라고 하겠다.
      두 시인 간에는, 사뭇 알고 보면, 시청각적인 심상에 대한 쟁점이 뚜렷이 놓여 있었다. 정지용은 ‘김영랑론’을 쓴 바 있었다. 그는 친구인 김영랑에게 비평적으로 고무적인 발언을 일삼았다. 하지만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은 대목에 이르면, 청각적인 것에 대한 시각적인 것의 우위를 밝히기도 했다. 반면에 김영랑은 박용철에게 보내는 편지글에서 정지용의 시각적인 심상들이 본연의 시 정신을 상실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정지용이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고, 김영랑이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라는 사실을 넘어서, 두 시인의 시 세계는 감각적인 수용 및 미의식의 기반에서 비롯된 분명히 다른 특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주지하듯이, 정지용은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며, 김영랑은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다. 두 시인에 관한 대비적인 연구는 이제까지 없었다는 데서, 이 연구는 시작된다. 정지...

      주지하듯이, 정지용은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며, 김영랑은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다. 두 시인에 관한 대비적인 연구는 이제까지 없었다는 데서, 이 연구는 시작된다.
      정지용이 시각을 창작의 향방으로 삼은 사실이 그가 영미권의 이미지즘 시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본인도 이 사실에 관해 밝힌 일이 없었다. 다만, 「유리창 · 1」에서 유리(창)라고 하는 최소한의 물성이 언어로써 드러나고 있으며, 「바다 · 2」에서는 시각적인 심상을 뚜렷이 엿볼 수 있는 표현이 명료한 것은 분명하다. 그의 2행시인 「겨울」이 이미지즘 시의 전형성을 얻게 되지만 그의 시 전체를 통해 볼 때 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김영랑의 시에 청각적 특성은, 음(⾳)상징, 시의 율격, 악기 소재, 음운의 자질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와 「청명」은 네 번째의 요인에 해당하는바, 가장 우리말다운 음운적 자질인 리을(ㄹ)을 잘 활용하고 있다. 한편 그의 대표적인 시편인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 표현된 ‘하냥’이야말로 그만의 ‘시성(poeticity)’을 유감없이 발휘한 시적 부사어, 언어 자체의 무게와 가치를 지닌 시적 언어라고 하겠다.
      두 시인 간에는, 사뭇 알고 보면, 시청각적인 심상에 대한 쟁점이 뚜렷이 놓여 있었다. 정지용은 ‘김영랑론’을 쓴 바 있었다. 그는 친구인 김영랑에게 비평적으로 고무적인 발언을 일삼았다. 하지만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은 대목에 이르면, 청각적인 것에 대한 시각적인 것의 우위를 밝히기도 했다. 반면에 김영랑은 박용철에게 보내는 편지글에서 정지용의 시각적인 심상들이 본연의 시 정신을 상실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정지용이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고, 김영랑이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라는 사실을 넘어서, 두 시인의 시 세계는 감각적인 수용 및 미의식의 기반에서 비롯된 분명히 다른 특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is paper begins with that there has never been a contrasting study of the two poets.
      The fact that Jung Ji-Yong used vision as the direction of creation cannot be inferred that it is natural that he was influenced by the poetry of imagism of English-American literature. He also never revealed this fact. However, the minimum property called glass is revealed in language in the ‘Window.1’ and expressions that give a clear glimpse of the visual images are clear in the ‘Sea. 2’. His poem consisting two-lines, ‘Winter’ is typical of imagism, but this is extremely limited throughout his poetry.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Kim Young-Rang's poem can be found in the musical symbol, the rhythm of poem, the material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e quality of phonetic rhyme. In particular, ‘On the find spring road of my heart’ and ‘Cheongmyeong’ is belonged to the fourth factor and they make good use of ㄹ as the most Korean phonetic qualities. Meanwhile, ‘ha-nyang’ expressed in his representative poem ‘Until the poeny blows’ is a poetic adverbial language that showed his poeticity without regret, and is a poetic language with the weight and value of the language itself.
      Between the two poets, it turns out, there was clearly an issue of audiovisual imagery. Jung Ji-yong once wrote about Kim Young-Rang's poetry. He made critical encouraging remarks to his friend Kim Young-rang. However, when they reached a point that was not easily seen, he revealed the visual is placed over the auditory. On the other hand, Kim Young-Rang said in a letter to Park Yong-Chul that he is concerned if Jung Ji-Yong's visual images can lead to the loss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poem.
      Beyond the fact that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e poetry of two poets has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the basis of sensory acceptance and aesthetics.
      번역하기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is paper begins with that there has never been a contrasting study of the two poets. The fact that Jung Ji-Yong used vision as the direction of ...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is paper begins with that there has never been a contrasting study of the two poets.
      The fact that Jung Ji-Yong used vision as the direction of creation cannot be inferred that it is natural that he was influenced by the poetry of imagism of English-American literature. He also never revealed this fact. However, the minimum property called glass is revealed in language in the ‘Window.1’ and expressions that give a clear glimpse of the visual images are clear in the ‘Sea. 2’. His poem consisting two-lines, ‘Winter’ is typical of imagism, but this is extremely limited throughout his poetry.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Kim Young-Rang's poem can be found in the musical symbol, the rhythm of poem, the material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e quality of phonetic rhyme. In particular, ‘On the find spring road of my heart’ and ‘Cheongmyeong’ is belonged to the fourth factor and they make good use of ㄹ as the most Korean phonetic qualities. Meanwhile, ‘ha-nyang’ expressed in his representative poem ‘Until the poeny blows’ is a poetic adverbial language that showed his poeticity without regret, and is a poetic language with the weight and value of the language itself.
      Between the two poets, it turns out, there was clearly an issue of audiovisual imagery. Jung Ji-yong once wrote about Kim Young-Rang's poetry. He made critical encouraging remarks to his friend Kim Young-rang. However, when they reached a point that was not easily seen, he revealed the visual is placed over the auditory. On the other hand, Kim Young-Rang said in a letter to Park Yong-Chul that he is concerned if Jung Ji-Yong's visual images can lead to the loss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poem.
      Beyond the fact that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e poetry of two poets has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the basis of sensory acceptance and aesthe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자, "현대시의 서정과 수사" 민음사 2009

      2 유종호, "함부로 쏜 화살" 문이당 1989

      3 하영삼, "한자와 에크리튀르" 아카넷 2011

      4 조현용, "한글의 감정" 한글파크 2020

      5 오세영, "한국현대시의 분석적 읽기" 고려대 출판부 1998

      6 이어령, "한국작가전기연구(상)" 동화출판공사 1975

      7 이승훈, "한국 대표시 해설" 탑출판사 1993

      8 사나나 히로코,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 역락 2002

      9 박태상,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2016

      10 정지용, "정지용 전집 2" 민음사 1993

      1 김현자, "현대시의 서정과 수사" 민음사 2009

      2 유종호, "함부로 쏜 화살" 문이당 1989

      3 하영삼, "한자와 에크리튀르" 아카넷 2011

      4 조현용, "한글의 감정" 한글파크 2020

      5 오세영, "한국현대시의 분석적 읽기" 고려대 출판부 1998

      6 이어령, "한국작가전기연구(상)" 동화출판공사 1975

      7 이승훈, "한국 대표시 해설" 탑출판사 1993

      8 사나나 히로코,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 역락 2002

      9 박태상,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2016

      10 정지용, "정지용 전집 2" 민음사 1993

      11 정지용, "정지용 전집 1" 민음사 1993

      12 김학동, "정지용 연구" 새문사 1988

      13 최동호, "정지용" 문학세계사 276-313, 1996

      14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가 한 권으로 간추린 심리학의 원리" 도서출판 부글북스 2014

      15 이숭원, "원본 정지용 시집" 깊은샘 2003

      16 허윤회, "원본 김영랑 시집" 깊은샘 2007

      17 이근섭, "영문학사 Ⅰ" 을유문화사 1997

      18 서정주, "영랑의 서정시"

      19 김윤식, "영랑론의 행방"

      20 정약용, "아언각비 ․ 이담속찬" 현대실학사 2005

      21 E. 슈타이거, "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24-, 1978

      22 김종길,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고려대 출판부 1998

      23 윤재근, "시론" 도서출판 둥지 1990

      24 김종길, "시론" 탐구당 1965

      25 이어령, "시 다시 읽기 : 한국 시의 기호론적 접근" 문학사상사 1995

      26 손민달, "생태학적 상상력을 통해 본 김영랑의 "청명(淸明)"" 문학과환경학회 18 (18): 127-154, 2019

      27 송희복, "불꽃 같은 서정시" 글과마음 2019

      28 이상섭, "복합성의 시학 : 뉴 크리티시즘연구" 민음사 1987

      29 김용직, "박용철 유필원고 자료집" 깊은샘 2005

      30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 국립현대미술관 2021

      31 이상섭, "문학의 이해" 서문당 1996

      32 로만 야콥슨,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2001

      33 이인모, "문체론" 선명문화사 1973

      34 윤정룡, "문예사조" 새문사 1992

      35 David G. Myers, "마이어스의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441-, 2009

      36 황성규, "동백 사랑 이야기" 국립국어원 26 (26): 173-183, 2016

      37 김선태, "남도의 서정과 상상의 깊이" 강진군 시문학파기념관 35-52, 2013

      38 김환태, "김환태 전집" 현대문학사사 1972

      39 김학동, "김영랑 연구" 진단학보 (43) : 95-141, 1977

      40 조영복, "김영랑 방언 의식의 근원 - 모성적 상상력과 모어의 음성성" 한국시학회 (27) : 318-345, 2010

      41 허웅, "국어 음운학" 샘문화사 2008

      42 권영민, "‘삼백예순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를 다시 생각하며" 국립국어원 9 (9): 161-167,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