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古朝鮮과 燕의 경계 滿番汗의 실체와 위치 = The substance and location of Manfanhan, the border between Gojoseon and Y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6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滿番汗은 진개 침공 이후 고조선과 연나라와의 경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지점이다. 19세기 전반 정약용은 만번한이 요동군 汶縣과 番汗縣이 연칭된 것이라는 2개 지점 연칭론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연칭론은 고대 중국에서 ‘至滿番汗爲界’의 ‘至~’와 ‘~爲界’의 문법과 용례가 구체적인 1개 지점과 연결되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틀린 해석이다. 사기 「조선열전」, 염철론, 한서 「지리지」, 설문해자의 기록과 역사지리적 정황을 종합할 때, 진개 침공 이후 고조선과 연의경계, 고조선과 진나라와의 경계는 ‘沛水’로 표기된 청천강,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는 ‘浿水’로 표기된 압록강이다.
      요동군 번한현은 沛水가 번한현 塞外에서 발원한다고 하였으므로, 청천강 최상류단의 서북측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고, 그 위치는 압록강 중류단 남안의 자강도 雩時郡으로 비정된다. 연나라는 새로 점령한 평북 일대의 지리정보가 분명치 않았던 까닭에 압록강~청천강 일대를 번한으로 일괄하여 지칭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까닭에 번한현과 거리가 있는 청천강 유역 국경지대의 중요 지점을 만번한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만번한은 ‘滿’이 ‘물이 성대하다’, ‘물이 가득차다’라는뜻을 갖고 있으므로, 대령강이 합류하는 청천강 하류단 지점을 특칭하는 것으로볼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지점은 박천군 단산리 일대이다.
      번역하기

      滿番汗은 진개 침공 이후 고조선과 연나라와의 경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지점이다. 19세기 전반 정약용은 만번한이 요동군 汶縣과 番汗縣이 연칭된 것이라는 2개 지점 연칭론을 제기하였다. ...

      滿番汗은 진개 침공 이후 고조선과 연나라와의 경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지점이다. 19세기 전반 정약용은 만번한이 요동군 汶縣과 番汗縣이 연칭된 것이라는 2개 지점 연칭론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연칭론은 고대 중국에서 ‘至滿番汗爲界’의 ‘至~’와 ‘~爲界’의 문법과 용례가 구체적인 1개 지점과 연결되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틀린 해석이다. 사기 「조선열전」, 염철론, 한서 「지리지」, 설문해자의 기록과 역사지리적 정황을 종합할 때, 진개 침공 이후 고조선과 연의경계, 고조선과 진나라와의 경계는 ‘沛水’로 표기된 청천강,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는 ‘浿水’로 표기된 압록강이다.
      요동군 번한현은 沛水가 번한현 塞外에서 발원한다고 하였으므로, 청천강 최상류단의 서북측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고, 그 위치는 압록강 중류단 남안의 자강도 雩時郡으로 비정된다. 연나라는 새로 점령한 평북 일대의 지리정보가 분명치 않았던 까닭에 압록강~청천강 일대를 번한으로 일괄하여 지칭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까닭에 번한현과 거리가 있는 청천강 유역 국경지대의 중요 지점을 만번한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만번한은 ‘滿’이 ‘물이 성대하다’, ‘물이 가득차다’라는뜻을 갖고 있으므로, 대령강이 합류하는 청천강 하류단 지점을 특칭하는 것으로볼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지점은 박천군 단산리 일대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貞培, "한국사-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리정남, "자강도 초산군 연무리 2호 무덤 발굴 중간 보고" (4) : 1989

      3 유정준, "자강도 내 원시유적 및 옛날 돈이 발견된 유적" (5) : 1958

      4 金南中, "위만조선의 영역과 왕검성" 22 : 2001

      5 리정남, "운평리 고구려무덤떼 제4지구 돌각담무덤 발굴보고" (1) : 1990

      6 정세호, "사기를 중심한 고조선의 위치에 관하여" (2) : 1956

      7 강인숙,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8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9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10 송호정,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58) : 19-60, 2010

      1 金貞培, "한국사-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리정남, "자강도 초산군 연무리 2호 무덤 발굴 중간 보고" (4) : 1989

      3 유정준, "자강도 내 원시유적 및 옛날 돈이 발견된 유적" (5) : 1958

      4 金南中, "위만조선의 영역과 왕검성" 22 : 2001

      5 리정남, "운평리 고구려무덤떼 제4지구 돌각담무덤 발굴보고" (1) : 1990

      6 정세호, "사기를 중심한 고조선의 위치에 관하여" (2) : 1956

      7 강인숙,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8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9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10 송호정,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58) : 19-60, 2010

      11 정찬영, "고조선에 관한 토론론문집" 과학원출판사 1963

      12 림건상, "고조선에 관한 토론 론문집" 과학원출판사 1963

      13 김석형, "고조선에 관한 토론 론문집" 과학원출판사 1963

      14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15 윤내현, "고조선 연구" 一志社 1994

      16 리지린, "고조선 연구" 과학원출판사 1963

      17 桓寬, "鹽鐵論"

      18 魏收, "魏書"

      19 오강원, "高句麗初期積石墓의 出現과 形成過程" 고구려발해학회 43 : 9-56, 2012

      20 韓非, "韓非子"

      21 金貞培, "韓國民族文化의 起源" 高麗大學校 出版部 1973

      22 徐榮洙, "韓國史市民講座 2집" 一潮閣 1988

      23 林炳泰, "韓國古代史論叢 1" 韓國古代社會硏究所 1991

      24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3

      25 尹乃鉉, "韓國古代史新論" 一志社 1986

      26 崔夢龍, "韓國 古代의 國家와 社會" 一潮閣 1985

      27 徐光輝, "靑果集 1" 知識出版社 1993

      28 都興智, "關于古朝鮮硏究的幾個問題" 吉林大學 (2) : 2004

      29 杜佑, "通典"

      30 許愼, "說文解字注"

      31 李源益, "紀年東史約"

      32 孫進己, "第1卷-先秦-東漢民族與建置的分佈-" 黑龍江人民出版社 1988

      33 稻葉岩吉, "秦長城東端及王險城考" 21 (21): 1910

      34 成海應, "硏經齋全集"

      35 呂思勉, "白話本國史 (二)" 商務印書館 1923

      36 陳灃, "漢書地理志水道圖說"

      37 班固, "漢書"

      38 鄭玄, "漢四郡考" 17 : 1950

      39 大原利武, "滿鮮に於ける漢代五郡二水考" 近澤書店 1933

      40 北洋政府淸史館, "淸史稿"

      41 津田左右吉, "浿水考" 2 (2): 1912

      42 李丙燾, "浿水考" 13 : 1933

      43 酈道元, "水經注"

      44 柳希齡, "標題音註 東國史略"

      45 劉珍, "東觀漢記校注"

      46 洪汝河, "東國通鑑提綱"

      47 韓百謙, "東國地理志"

      48 金澤榮, "東史輯略"

      49 安鼎福, "東史綱目"

      50 吳澐, "東史簒要"

      51 金毓黻, "東北通史 卷2" 洪氏出版社 1944

      52 張博泉, "東北地方史稿" 吉林大學出版社 1985

      53 程妮娜, "東北史" 吉林大學出版社 2001

      54 張博泉, "東北古代民族・考古與疆域" 吉林大學出版社 1998

      55 白鳥庫吉, "朝鮮歷史地理 第1卷"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56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高桐書院 1948

      57 谷豊信, "朝鮮史硏究會論文集" 朝鮮史硏究會 1968

      58 鄭寅普, "朝鮮史硏究(五千年間朝鮮의얼) 上卷" 서울신문社出版局 1946

      59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圖書刊行會 1970

      60 小泉顯夫, "朝鮮古代遺跡の遍歷" 六興出版 1986

      61 桶口隆次郞, "朝鮮半島に於ける漢四郡の疆域及沿革考(1)" 22 (22): 1911

      62 申采浩, "朝鮮上古史" 人物硏究所 1982

      63 玄采, "普通敎科 東國歷史"

      64 西川權, "日韓上古史の裏面(上)" 東京偕行社 1910

      65 申景濬, "旅菴全書"

      66 元泳義, "新訂 東國歷史"

      67 劉向, "戰國策"

      68 오강원, "戰國時代 燕나라 燕北長城 동쪽 구간의 構造的 實體와 東端" 한국고대학회 (33) : 163-205, 2010

      69 丁若鏞, "我邦疆域考"

      70 崔景煥, "大東歷史"

      71 洪敬模, "大東掌攷"

      72 李東陽, "大明會典"

      73 朴容大, "增補文獻備考"

      74 司馬遷, "史記"

      75 오강원, "古朝鮮의 浿水와 沛水" 강원사학회 (13) : 61-82, 1998

      76 鄭世鎬, "古朝鮮의 位置에 대한 一考察-問題의 提起로서-" 16 : 1950

      77 박대재, "古朝鮮과 燕 齊의 상호관계-기원전 4세기말-3세기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3) : 1-38, 2006

      78 張碧波, "古朝鮮硏究中的誤區-東北史評之一-" (4) : 1999

      79 千寬宇,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1989

      80 李鍾旭, "古朝鮮史硏究" 一潮閣 1993

      81 盧泰敦,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서울大國史學科 23 : 1990

      82 崔鴻, "十六國春秋"

      83 宋濂, "元史"

      84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85 范文瀾, "中國通史簡編 上冊" 新知書店 1947

      86 顧頡剛, "中國疆域沿革史" 商務印書館 1938

      87 呂思勉, "中國民族史" 世界書局 1934

      88 佟冬, "中國東北史" 吉林文史出版社 1987

      89 李德山, "中國東北古民族發展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90 千寬宇, "三韓의 成立過程-「三韓攷」 第1部-" 26 : 1975

      91 陳壽, "三國志"

      92 오현수, "『魏略』 기재 朝鮮侯와 ‘取地二千餘里’의 검토" 고려사학회 (61) : 47-7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