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6・25전쟁 이후 더욱 강화된 김일성의 독재 권력 확립 시도에 주목하고, 당시 북한 내 소련 담론을 다룬 출판물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8・15해방이후 소련은 한반도 북측에 수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6・25전쟁 이후 더욱 강화된 김일성의 독재 권력 확립 시도에 주목하고, 당시 북한 내 소련 담론을 다룬 출판물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8・15해방이후 소련은 한반도 북측에 수립...
본 글은 6・25전쟁 이후 더욱 강화된 김일성의 독재 권력 확립 시도에 주목하고, 당시 북한 내 소련 담론을 다룬 출판물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8・15해방이후 소련은 한반도 북측에 수립된 정권의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의 다양한 방면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특히 소련은 북한 사회의 근간을 새롭게 형성하는 배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었다. 이렇듯 ‘이상적 사회주의 국가’로서 그려졌던 소련은 1950년 발발한 6・25전쟁, 1953년 3월 스탈린의 사망과 신내각집권 이후 소련의 세계노선 변화, 중・소분쟁 등 일련의 사건을 거치며 북한 사회내에서 그 입지가 점차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6・25전쟁은 북한의 對소련 입지를 낮추고,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로써 북한과 소련간 관계도 이전과 다르게 변화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국내외적 사건들은 스탈린식 정치 체제를 북한에 이식하고자 하였던 김일성에게 ‘불편한 반응’을 야기하였을 뿐 아니라, 북한의 탈소련화 경향이 가속화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의 1인 체제는 6・25전쟁 이후 민족주의 전통 수립을 명목으로 한 각종 정책, 남로당계를 비롯한 반대파 숙청 과정을 통하여 본격적으로강화되었다. 또한 쏘베트신보 폐간 결정에 신문 조쏘친선의 창간으로 대응하는 등 ‘소련’이라는 선진적 이미지를 대체하려는 노력을 문화적 방면에서 우선적으로 기울여나갔다. 쏘베트신보는 소련대외문화협회의 주도 아래 북한 사회에서 발간되었으며, 사회주의 국가를 둘러싼 국제정세, 소련 국내 정치, 사회 소식을 다루었다. 그리고 소련으로부터 직접 원사료를 조달하여 그대로 싣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조쏘친선은 조선로동당의 지도를 받는 조쏘문화협회에 출판 및 편집 권한이 있었다. 내용상 조쏘친선이 쏘베트신보에 비하여 북한 내정치・사회와 관련된 글을 더 많이 다루었으며, 국내적 인물들의 글이 다수 실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탈소련화 경향은 전쟁 이후 시간이 지나며 더욱 가속화된다는 점에서, 북한 내 소련 담론이 변화하기 시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호민, "한반도의 격동 1세기 반 : 권력, 이데올로기, 민족, 국제관계의 교착" 한림대학교출판부 2010
2 강인구 ; 조한범, "한국전쟁기 북한에 대한 소련의 문화적 개입: 러시아측 자료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5 (15): 247-265, 2006
3 김보미, "한국전쟁 시기 북·중 갈등과 소련의 역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86-132, 2013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1950~1953" 2006
5 기광서, "한국전 개입에 나타난 스탈린의 역할 실상"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3) : 87-112, 2007
6 션즈화, "최후의 천조(天朝) : 모택동・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선인 2017
7 김선호, "조선인민군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한양대학교출판부 2020
8 조수룡,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9 조수룡,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재단 (56) : 246-287, 2017
10 김명섭,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 2015
1 양호민, "한반도의 격동 1세기 반 : 권력, 이데올로기, 민족, 국제관계의 교착" 한림대학교출판부 2010
2 강인구 ; 조한범, "한국전쟁기 북한에 대한 소련의 문화적 개입: 러시아측 자료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5 (15): 247-265, 2006
3 김보미, "한국전쟁 시기 북·중 갈등과 소련의 역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86-132, 2013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1950~1953" 2006
5 기광서, "한국전 개입에 나타난 스탈린의 역할 실상"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3) : 87-112, 2007
6 션즈화, "최후의 천조(天朝) : 모택동・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선인 2017
7 김선호, "조선인민군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한양대학교출판부 2020
8 조수룡,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9 조수룡,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재단 (56) : 246-287, 2017
10 김명섭,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 2015
11 고민정, "신문 「조쏘친선」 기사와 구호로 본 북한의 소련 담론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20
12 국사편찬위원회, "쉬띄코프의 일기" 2005
13 안드레이 란코브, "소련의 자료로 본 북한 현대 정치사" 오름 1995
14 기광서, "소련의 대북한 군사원조와 중소 군대의 참전 문제-한국전 발발 전후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25) : 81-, 2006
15 정진아, "북한이 수용한 ‘사회주의 쏘련’의 이미지" 평화문제연구소 22 (22): 140-168, 2010
16 김보미, "북한의 전후복구 시기 사회주의 진영의 원조와 ‘주체’의 제기(1953∼1955)" 아세아문제연구원 56 (56): 309-346, 2013
17 조수룡, "북한의 전후 복구 3개년계획 수립과 소련의 개입: 말렌코프 ‘신노선(New Course)’의 영향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심연북한연구소 21 (21): 204-243, 2018
18 신효숙, "북한의 문화 형성과 대중교육 : 1945~1950" 교육과학사 2001
19 정병준, "북한신문연구해제집" 선인 2021
20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21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22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23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선인 2005
24 "Телеграмма Суздалева в МИД СССР от 7 августа 1953 года с уведомлением о нам стран народной демократии с просъбой об оказании помощи в восстановлении разрушенных промышленных предприятий"
25 "РГАНИ, Ф. 5: Аппарат ЦК КПСС, ОП. 28, Д.189"
26 "ГАРФ, Ф. 5283. ОП. 18., Д. 253~ВОКС с Заграницей. ОВНР. отчето работе уполномоченного ВОКС в КНДР за полугодие 1954 и переписка с уполномоченным ВОКС В КНДР"
27 "ГАРФ, Ф. 5283. ОП. 18. Д. 239~ВОКС с заграницей, ОВНР, Соде ржание газеты “Советский Вестник” за 1951 г"
28 "ГАРФ, Ф. 5283, ОП. 18, Д. 252 ~ ВОКС с заграницей, ОВНР, Анн отация журнала Корейско-Советская дружба и газеты Корейско~советская культура за 1953г"
29 "АВПРФ, Ф.0102, ОП. 10, Референтура по Корее, Справка о работе редакции газеты "Советский Вестник" и уполномоченного ВОКС в КНДР за 1953г"
30 Wilson Center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Note, V. Molotov to Cde. Stalin"
31 JAMES G. HERSHBERG, "Documents: More Soviet Translations" (4) : 1994
32 권혁범, "1950년대 북한의 정치변동(1953-1958): 김일성계 권력독점체계의 확립" 1996
33 강인구, "1948년 평양 소련문화원의 설립과 소련의 조쏘문화교류 활동" 90 : 1995
34 우동현, "1945~1950년 재북 소련계 조선인의 활동과 성격" 서울대학교 2016
35 이세영,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국학연구원 (174) : 1-31, 2016
36 류기현, "1945~1950 조쏘문화협회의 조직과 활동" 서울대학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