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were compared to explore the character of scientific empathy ability. Investigated sample of 686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response from two trial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92568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5-258(1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were compared to explore the character of scientific empathy ability. Investigated sample of 686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response from two trials...
In this study,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were compared to explore the character of scientific empathy ability. Investigated sample of 686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response from two trials, the first trial gathered 729 responses and second gathered 686 responses) were surveyed twice at a month intervals. The IRI is a tool consisting of four sub-factors to measure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ttributes of empathy domain, and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have been developed into five sub-factors by adding ‘Empathy with problem situation’ domain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IRI to introduce empathy into science educat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empathy factors in terms of domain-general and domain-specific.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scales was checked using the IRI and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track on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were related to each sub-factor of the IRI but different depending on its domain-general and domain-specific. Especially, in terms of domain-specific, the empathy factor in science class showed, in all its factors, that natural science track students averaged higher than those in the liberal art track students. In the significant difference, empathy with problem situations, a domain that exists only in science classes, was shown a larger gap than empathy with others according to academic tracks. This study is intended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empathy factors and the applicability of empathy in science classes.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와 ‘대인관계반응척도(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의 비교를 통하여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감 요소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와 ‘대인관계반응척도(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의 비교를 통하여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감 요소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 686명을 대상(1차 응답 729명, 2차 응답 686명)으로 2회(월 1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차에 걸친 설문 조사(1차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 35문항, 2차 IRI 28문항)를 하였다. IRI는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4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된 도구이며,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는 과학 교육에 공감을 도입하기 위해 IRI의 속성을 기반으로 '문제 상황과의 공감' 영역을 추가하여 5가지 하위요소로 개발된 도구이다. 영역 일반성 및 특수성 측면에서의 과학 공감 요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IRI와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를 이용하여 두 척도간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았으며,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에 대한 학문계열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는 IRI의 각 하위요소와 연관성이 있으나, 각 하위요소의 영역 일반성 및 특수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영역 특수성 측면에서,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요소는 모든 요인에서 자연계 학생들이 인문계의 학생들에 비하여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그 유의미성의 차이에서, 과학 수업에서만 존재하는 영역인 문제 상황과의 공감 영역이 타인과의 공감 영역보다 학문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공감 요소의 특성 탐색 및 과학 수업에서의 공감 적용 가능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원, "초등 과학 수업에서 공감능력에 따른 집단 구성이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1-15, 2019
2 최경덕, "중학교 과학 교과에 공감을 도입한 수업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79-596, 2017
3 유찬기, "사회과학의 공감연구 동향과 특성"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3) : 75-100, 2018
4 박재윤, "미래 교육 비전"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2010
5 김창완, "문제해결형 산학연계 모델 사례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39-64, 2012
6 이지선,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개방형 협업 창의발상 시스템 연구" 2012
7 양희선, "과학자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탐색된 과학 공감"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249-261, 2019
8 최준환,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221-239, 2009
9 이도현, "과학 교육에서 초・중등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프로세스의 제안 및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43-453, 2015
10 박성희, "공감학 : 어제와 오늘" 창지사 2004
1 김경원, "초등 과학 수업에서 공감능력에 따른 집단 구성이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1-15, 2019
2 최경덕, "중학교 과학 교과에 공감을 도입한 수업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79-596, 2017
3 유찬기, "사회과학의 공감연구 동향과 특성"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3) : 75-100, 2018
4 박재윤, "미래 교육 비전"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2010
5 김창완, "문제해결형 산학연계 모델 사례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39-64, 2012
6 이지선,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개방형 협업 창의발상 시스템 연구" 2012
7 양희선, "과학자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탐색된 과학 공감"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249-261, 2019
8 최준환,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221-239, 2009
9 이도현, "과학 교육에서 초・중등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프로세스의 제안 및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43-453, 2015
10 박성희, "공감학 : 어제와 오늘" 창지사 2004
11 신경일,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29 (29): 1-37, 1994
12 이준, "공감기반 학습모형 개발연구" 교육연구원 30 (30): 157-177, 2014
13 우영진, "공감 중심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 과학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 연구" 한국영재학회 28 (28): 259-283, 2018
14 안근재, "고등학생의 성별‧계열과 메타인지 및 과학적 태도의 관계" 과학교육연구소 38 (38): 257-269, 2014
15 정충덕, "고등학생의 계열 및 성별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61 : 29-48, 2014
16 Nott M,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 An activity for science teachers" 75 : 109-, 1993
17 Duschl RA, "Two views about explicitly teaching nature of science" 22 (22): 2109-2139, 2013
18 Egan G, "The skilled helper : A systematic approach to effective helping" Thomson Brooks/Cole Publishing Co 1990
19 Zeyer A, "The role of empathy for learning in complex science| environment| health contexts" 41 (41): 297-315, 2019
20 Eisenberg N,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101 (101): 91-, 1987
21 Shernoff DJ, "The influence of the high school classroom environment on learning as mediated by student engagement" 38 (38): 201-218, 2017
22 Pulos 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32 (32): 355-360, 2004
23 Cliffordson C,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empathy : Dimensional organization and relations to social functioning" 43 (43): 49-59, 2002
24 Rifkin J, "The empathic civilization :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Penguin 2009
25 OECD, "The PISA 2015 draft science framework" OECD
26 Nersessian NJ, "The Cognitive Basis of Science" 133-153, 2002
27 Gravetter FJ, "Statistic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Cengage Learning 2016
28 Lave J, "Situated learning :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9 Davis MH,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44 (44): 113-, 1983
30 De Corte K, "Measuring empathic tendencies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utch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47 (47): 235-260, 2007
31 Jaber LZ, "Learning to feel like a scientist" 100 (100): 189-220, 2016
32 Yang H, "International comparative case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empathy" 10 (10): 148-163, 2019
33 Walther J, "Fostering empathy in an undergraduate mechanical engineering course" 2016
34 Chun O, "Exploration of empathy factors in the science and development of related scales" 5 (5): 1499477-, 2018
35 Cooper B, "Empathy, interaction and caring : Teachers’ roles in a constrained environment" 22 (22): 12-21, 2004
36 Mayer J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22 (22): 89-113, 1996
37 Hogan R, "Development of an empathy scale" 33 (33): 307-, 1969
38 Carroll M, "Destination, imagination and the fires within : Design thinking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29 (29): 37-53, 2010
39 Martin R, "Design thinking : Achieving insights via the"knowledge funnel"" 38 (38): 37-41, 2010
40 Kelley T, "Creative confidence : Unleashing the creative potential within us all" Crown Business 2013
41 Davis M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101, 1980
42 Mehrabian A,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40 (40): 525-543, 1972
43 강남화,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32-143, 2013
유전 영역에서의 우성 돌연변이에 대한 분자적인 특징의 이해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을 활용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의 야외지질학습 적용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신규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28 | 0.649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