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1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수록된 경상도 고을의 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1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수록된 경상도 고을의 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1415년(태종 15)에 결정된 ‘주척 6척=1보, 360보=1리’의 거리 측정 원칙이 언제부터 적용되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도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에 수록된 거리 정보는 주척이 아니라 영조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주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다.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거리측정의 원칙은 1415년에 결정되었지만 그것이 적용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토대였던『팔도지리지』(1477)를 편찬되기 위해 전국적으로 거리 정보를 측정할 때였다. 『팔도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1481)을 거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그 이전의 어느 지리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거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고 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자료가 되었다. 그 토대는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새로운 원칙 아래 전국 방방곡곡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수록하려 했던 팔도지리지 편찬 사업의 거대한 결과물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yeongsang Province villages" distance information from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1425),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Gyeongsang-do-Sokchan-Jiriji (慶尙道續撰地理誌, 1469), ...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yeongsang Province villages" distance information from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1425),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Gyeongsang-do-Sokchan-Jiriji (慶尙道續撰地理誌, 1469), a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all of which are jiriji (geography book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udy"s aim is to find out when the distance measuring principle of “jucheok(周尺) 6 cheok(尺) = 1 bo(步) ; and 360 bo = 1 li(里),” which was determined in 1415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information in Gyeongsang-do-Jiriji, Sejong-Sillok-Jiriji, and Gyeongsang-do-Sokchan-Jiriji was measured based on yeongjocheok and not jucheok. Seco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was measured based on jucheok. Even though the distance measurement principle was proclaimed in 1415, it was actually applied when distance information was measured nationwide to publish Paldo-Jiriji(八道地理志, 1477), the basis for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completed after Paldo-Jiriji and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1481), contains more distance information than any other previous geography books, and becam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identifying Joseon"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apmaking pract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조선전기 4대 지리지의 거리 정보 비교
      • 3. 『경상도속찬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서울-고을 간 거리 측정 기준척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조선전기 4대 지리지의 거리 정보 비교
      • 3. 『경상도속찬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서울-고을 간 거리 측정 기준척
      • 4. 결론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선유문화사 1997

      2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소명출판 2016

      3 이영희,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110-122, 2010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시스템"

      6 양보경, "일본 大阪府立圖書館 소장 ≪朝鮮圖≫의 고찰" 17 : 421-436, 1999

      7 류명환, "여암 신경준과 역주 도로고" 역사문화 2014

      8 이기봉,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여편고』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7-41, 2012

      9 최재화, "고산자 김정호 관련 측량 및 지도 사료 연구" 대한측량협회 166-225, 2003

      10 이종봉, "韓末 度量衡制의 개혁과 성격" 석당학술원 (64) : 173-226, 2016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선유문화사 1997

      2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소명출판 2016

      3 이영희,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110-122, 2010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시스템"

      6 양보경, "일본 大阪府立圖書館 소장 ≪朝鮮圖≫의 고찰" 17 : 421-436, 1999

      7 류명환, "여암 신경준과 역주 도로고" 역사문화 2014

      8 이기봉,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여편고』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7-41, 2012

      9 최재화, "고산자 김정호 관련 측량 및 지도 사료 연구" 대한측량협회 166-225, 2003

      10 이종봉, "韓末 度量衡制의 개혁과 성격" 석당학술원 (64) : 173-226, 2016

      11 이종봉, "韓國中世 度量衡制 硏究" 혜안 2001

      12 박흥수, "韓·中度量衡制度史"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13 "續大典"

      14 李宗峯, "朝鮮後期 度量衡制 硏究" 부산경남사학회 (53) : 41-76, 2004

      15 서인원, "朝鮮初期 地理志 硏究: 東國輿地勝覽을 중심으로" 혜안 2002

      16 "新增東國輿地勝覽"

      17 "慶尙道續撰地理誌"

      18 "慶尙道地理志"

      19 金正浩, "大東地志" 아세아문화사 1976

      20 "大典會通"

      21 "世宗實錄地理志"

      22 범선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택리지』가 갖는 기후 및 식생 연구 자료적 의의"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16-33, 2010

      23 김현종, "『大東地志』 「程里考」에 기반한 조선후기의 1리(里)" 대한지리학회 53 (53): 501-522,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